•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music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3초

Musical Identity Online: A "Netnographic" Perspective of Online Communities

  • Strubel, Jessica;Pookulangara, Sanjukta;Murray, Ambe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13권2호
    • /
    • pp.15-29
    • /
    • 2013
  • Today's technology enables consumers to trade millions of dollars, conduct online banking, access entertainment, and do countless other activities at the click of a button. Online social networks (OSN) have become a cultural phenomenon that allows for individualistic consumerism. Consumers are increasingly utilizing OSN to share ideas, build communities, and contact fellow consumers who are similar to themselves. The relevance of online communities to the music is immense especially because musicians are now using social media to build global audiences. Not only is information about music and performance disseminated online, but musical commodities are sold and traded online. Online music communities allow consumers to elect and create new identities online through the purchase of subcultural commodities. Given the growing economic importance of online music communities it is important to get a holistic view of subcultural communities online. This study utilized content analysis of online music community websites using the Netnography methodology as developed by Kozinet for data collection to analyze consumers' purchasing and consumption behavior of subcultural commodities online a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subcultural identities. Findings showed that subcultural items are predominantly purchased online, especially digital music, and there is a need for more custom craft items. The authors presented a new conceptual taxonomy of online subcultural consumer classifications based on online behavior patterns.

Online Music Distribution Strategy to Develop the future Hallyu Music Industry

  • Woo-Jun JANG;Min-Ho CH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22권6호
    • /
    • pp.115-122
    • /
    • 2024
  • Purpose: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uggest new online music distribution models targete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Wave (Hallyu) music market in all locations of the world. This study is conducted through a close analysis of the prevailing distribution models, the unique challenges of the K-pop market, and the trends in new technolog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o address the issue of how the online music distribution market could be domesticated for the Korean music industry, a systematic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was conducted. The use of the PRISMA approach was followed so that an accurate and transparent method for choosing the studies is ensured. Results: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literature analysis, the online distribution strategy may consist of four key plannings as follows, 1. Leveraging Social Media and User-Generated Content Platforms, 2. Embracing Immersive and Interactive Experiences, 3. Fostering Direct-to-Fan Connections and Monetization, 4. Harnes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nalytics. Conclusions: Finally, collaboration and strategic partnerships will be vital. The Korean music companies should seek to cooperate with the technology companies, social media platforms, and the global music streaming services so that they can grow their market, acquire new technologies, and to better their online distribution strategies.

음원 추천시스템이 온라인 디지털 음원차트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Impact of Music Recommender Systems on Online Digital Music Rankings)

  • 김현모;김민용;박재홍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49-68
    • /
    • 2014
  • 대다수의 국내외 온라인 디지털 음원 유통 사이트들은 음원 판매 활성화 방책의 일환으로 음원 추천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국외의 경우와 다르게, 우리나라의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온라인 디지털음원 유통 사이트 5곳은 독자적인 기준으로 추천 음원을 선정하고 있으며, 추전 음원의 선정 기준 및 절차를 소비자에게 공개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국내 온라인 디지털 음원 유통 사이트가 보유한 음원 추천시스템의 공정성 여부를 확인하고, 이러한 음원 추천시스템으로부터 선정된 추천 음원이 음원차트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갖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2년 11월부터 약 한달 간 온라인 디지털 음원 유통 사이트의 일간 음원차트에 등록되어 있는 1위부터 100위까지의 음원과 추천 음원을 수집하였다. 먼저, 수집된 음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음원 추천시스템의 공정성 여부를 실증적인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첫째, 추천 음원의 노출 위치를 분석하였으며 둘째, 추천 음원이 제공되는 서비스 구조를 확인하였다. 셋째, 기획사에 따른 추천 음원 분포를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이러한 음원 추천시스템으로부터 선정된 추천 음원이 음원차트 내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갖는지 실증적인 분석 방법으로 확인 하였다. 첫째, 음원차트의 동일 비동일 진입 시기에 따라 추천 음원과 미추천 음원의 순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모든 사이트에서 동시에 중복 추천된 음원과 단일 추천된 음원의 순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추천 받은 음원이 음원차트에 처음으로 진입하는 시기 및 순위를 확인하였다. 넷째, 음원차트 상위권 순위에 분포되어 있는 추천 음원의 비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온라인 디지털 음원 유통 사이트가 보유한 음원 추천시스템의 현행 및 현상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공정성 문제를 제기하였으며, 음원 추천시스템이 음원차트에 미치는 파급력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온라인 디지털 음원 유통 사이트의 내 외부 이해관계자에게 음원 추천시스템 악용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켜 음원차트의 공정성을 확보하고자하는 것에 산업적 의의를 가진다.

온라인 쇼핑몰 소비자의 기분-태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음악 특성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music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mood and attitude in the online shopping mall)

  • 최수진;여은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5호
    • /
    • pp.793-806
    • /
    • 2015
  •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music characteristics (i.e., likeliness and familiarity of music)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od and attitude toward the product in the online shopping mall selling hand-made shoes. A total of 319 consumers participated in experiments with online shopping mall stimuli with a variety of background music. In results, consumer mood positively affected attitude toward the hand-made shoe products in the online shopping mall under background music. A moderating effect of music likeliness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od and product attitude, indicating that mood more strongly affected product attitude under more liked music than under less liked music. When consumers are listening to more liked music and are in good mood, they may build their attitudes toward products independently from their mood, whereas they may build positive attitude under good mood versus negative attitudes under bad mood if they are listening to less liked music. A moderating effect of music familiarity was not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od and product attitude. Based on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S-O-R model could be applied to explain the effect of background music on consumer responses in online shopping malls. Marketers may be able to select and adjust the likeliness and familiarity of background music to better serve consumers in diverse shopping conditions, referring to the study findings.

국내 포털사이트 음원서비스 취약점분석 및 대응방안 제안 (Security Analysis on Commercial Online Music Streaming Service and Countermeasures)

  • 이상식;최동현;원동호;김승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6호
    • /
    • pp.681-690
    • /
    • 2009
  • 현재 국내 음악산업은 음반시장에서 디지털음악시장으로 중심이 이동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대형 포털사이트에서 디지털 음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포털사이트(도시락, 싸이월드, 네이버)에서 제공하고 있는 음원서비스프로세스를 살펴보고 취약점을 분석한다. 또한 분석된 취약점을 바탕으로 실제 공격을 수행하여 음원서비스의 문제점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취약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인 대응방안을 제안함으로써 기업과 저작권자의 이익을 보호하고자 한다.

Research on value-added services of Chinese online music platforms

  • Yuan, Yuxu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287-294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음악 플랫폼에서 부가가치서비스의 개념을 정의하고 온라인 음악 플랫폼에서 부가가치서비스를 사용하려는 사용자의 의향 모델을 제시하고 영향요인이 사용자의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정보가치, 사회적 가치, 오락가치를 독립변수로, 플로우경험을 매개변수로, 자기인식을 매개변수로 하여 온라인 음악 서비스 플랫폼의 특성과 결합된 자극-반응 모델을 기반으로 하였다. 종속변수는 소비자의 사용의향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와 AMOS 통계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온라인 음악 플랫폼의 부가가치서비스가 소비자의 플로우경험과 소비자의 사용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음악 플랫폼 서비스의 이론적 결함을 채울 수 있으며, 이는 음악 플랫폼 사업자의 서비스 역량 향상 및 소득 향상에 긍정적이고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An exploratory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nline music users' willingness to pay

  • Yu-Xuan, Yu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217-225
    • /
    • 2023
  • 온라인 음악 사용자의 지불 의지는 음악 저작권 보호와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의 핵심이다. 본 논문은 탐색적 분석을 통해 온라인 음악 이용자의 지불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고객 인지 가치 이론, 기술 수용 및 사용의 통합 이론, 팬 열광 이론을 기반으로 연구 모델이 구성되었다. 획득한 583개의 유효한 데이터를 검증하였다. 분석을 통해 지각된 가치, 대인관계 영향, 팬 열광, 개인 결제 인식이 온라인 음악 사용자의 지불 의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는 지각된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경제적 비용과 편집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온라인 입소문은 인지된 가치가 사용자의 음악에 대한 지불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원 플랫폼은 이를 바탕으로 운영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온라인 원격 학위 과정에 대한 고찰 : 미국의 음악교육 석사학위 과정을 중심으로 (Online Master's Degrees in Music Education)

  • 이가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88-297
    • /
    • 2017
  • 정보통신의 발달과 함께 평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인식은 원격교육의 발달을 가져오게 되었으며, 이는 미래의 새로운 교육시스템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학위 취득을 원하는 현직 교사들에게 온라인 원격교육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 비용과 같은 걸림돌 없이,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이미 음악교육 분야에서 온라인 석사학위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이에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s of Music(NASM)이 승인한 총 8개의 대학을 선정하여, 입학요건, 프로그램의 특징,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온라인 원격교육의 편리함을 담보로 한 양적 팽창과 함께 온라인 교육과정의 질에 대한 우려도 계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위한 교수진의 재교육 뿐 아니라, 기술적 지원에 대한 문제, 지적재산권, 소유권과 같은 행정적인 문제,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술적 문제, 온라인 교육과정의 계획, 개발, 평가를 위한 기준 마련 등 생각해야 될 부분이 많이 있다. 하지만,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이론과 실제사이의 격차를 줄여 나간다면 궁극적으로, 지리적, 시간적으로 소외된 계층에게 학습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국가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음악 파일 공유 기술의 사용자 수용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User Acceptance of Music File Sharing Technology)

  • 심선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47-70
    • /
    • 2008
  • File sharing technology is the most popular methodology through which consumers gain music from online. However, music file sharing and free downloads of music have caused terrible recession of traditional music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underlying theory for understanding the acceptance of music file sharing technology and empirically test our theoretical model. We develop extended TAM model and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user acceptance of music file sharing technology. Our study delivers a better understanding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s music downloads. By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that makes consumers enthusiastic, traditional music industry will gain managerial implications.

온라인 음악 관리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음원 인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User Music Recognition System For Online Music Management Service)

  • 성보경;고일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91-99
    • /
    • 2010
  • 최근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분야에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자원 인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 기반 음악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 취향 분석, 음원 추천 및 음악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자 음원인식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태그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음원 인식 후 음악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태그정보의 변조 및 삭제 등의 취약점으로 인식 오류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보완 방안으로 음악 자체를 이용하는 내용기반 사용자 음원 인식 기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의 파형에서 추출된 특징 정보를 기초로 온라인상에서 사용자 음원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사용자 음원의 내용기반 인식을 위해 구조에 적합한 음원의 전처리 후 특징 추출을 하였다. 추출된 특징은 음악 서버에 특징 형태로 저장된 음원과의 매칭 과정을 통한 인식을 진행하여 태그데이터에 독립적으로 사용자 음원을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제안된 사용자 음원 인식 방법의 검증을 위해 600개의 음악을 무작위 선정하고, 각각을 5가지 음질로 변화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3000개의 실험음원을 30만곡을 포함하는 음악 서버를 기준으로 인식실험을 진행하였다. 평균 인식율은 85%를 나타내었다. 제안하는 내용기반 음원 인식을 통하여 태그기반 음원 인식의 취약점에 대한 극복을 하였으며, 음원 인식의 성능은 실제 온라인 음악 서비스에 적용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