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e time password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3초

Security in the Password-based Identification

  • Park, Byung-Jun;Park, Jong-Mi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5권4호
    • /
    • pp.346-350
    • /
    • 2007
  • Almost all network systems provide an authentication mechanism based on user ID and password. In such system, it is easy to obtain the user password using a sniffer program with illegal eavesdropping. The one-time password and challenge-response method are useful authentication schemes that protect the user passwords against eavesdropping. In client/server environments, the one-time password scheme using time is especially useful because it solves the synchronization problem. It is the stability that is based on Square Root Problem, and we would like to suggest PBSI(Password Based Secure Identification), enhancing the stability, for all of the well-known attacks by now including Off-line dictionary attack, password file compromise, Server and so on. The PBSI is also excellent in the aspect of the performance.

시간을 이용한 효율적인 일회용 패스워드 및 시간 교정 알고리즘 (A Study on the Algorithm of Improved One-Time Password using Time and Time Correction)

  • 강철오;박중길;홍순좌;배병철;박봉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1C호
    • /
    • pp.1074-1080
    • /
    • 2002
  • 시간을 이용한 일회용 패스워드 방식은 별도 동기가 필요 없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서버 환경 등에서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을 이용한 일회용 패스워드 방식에서는 시간편차에 의한 인증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시간편차에 의한 인증이 실패할 가능이 있는 기간을 표시하는 1비트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편차에 의한 인증 실패가 발생하지 않는 효율적인 일회용 패스워드 알고리즘을 제안하며, 아울러 제안된 일회용 패스워드 알고리즘에 부가정보 2 비트를 추가하여 시간교정을 겸할 수 있는 알고리즘 또한 제안한다.

모바일 환경에서 안전한 One-Time Password 인증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ne-Time Password Authentication Scheme in Mobile Environment)

  • 김홍기;이임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785-793
    • /
    • 2011
  • 컴퓨팅 환경이 발전됨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등장하게 되었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정당한 사용자를 확인하는 인증기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인증 기술의 발달로 한 세션에서 패스워드 값을 사용 후 폐기하는 일회용 패스워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일회용 패스워드는 생성한 테이블의 일회용 패스워드 값들이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있어 Seed값과 일회용 패스워드의 사용 횟수가 노출되면 다음 사용될 일회용 패스워드의 값을 유추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S/Key 방식의 일회용 패스워드는 사용 횟수가 고정되어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일회용 패스워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원곡선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한 일회용 패스워드 생성방식과 시간 값을 이용하여 임의성을 증가시킨 일회용 패스워드 생성방식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One Pass Identification processing Password-based

  • Park, Byung-Jun;Park, Jong-Mi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4권4호
    • /
    • pp.166-169
    • /
    • 2006
  • Almost all network systems provide an authentication mechanism based on user ID and password. In such system, it is easy to obtain the user password using a sniffer program with illegal eavesdropping. The one-time password and challenge-response method are useful authentication schemes that protect the user passwords against eavesdropping. In client/server environments, the one-time password scheme using time is especially useful because it solves the synchronization problem.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identification scheme: OPI(One Pass Identification). The security of OPI is based on the square root problem, and OPI is secure: against the well known attacks including pre-play attack, off-line dictionary attack and server comprise. A number of pass of OPI is one, and OPI processes the password and does not need the key. We think that OPI is excellent for the consuming time to verify the prover.

인증서를 이용한 보안성이 강화된 일회용 패스워드 검증 시스템의 설계 (A Design of One-time Password Verification System with Enhanced Security Using Certificate)

  • 김현철;이창수;이경석;전문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4B호
    • /
    • pp.435-441
    • /
    • 2009
  • 일회용 패스워드 메커니즘은 동일한 비밀번호를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패스워드 재사용 문제를 해결한다. 그러나 패스워드 생성 시점에 주기적 대표성으로 인해 여전히 패스워드 재사용 문제가 존재하며, 시간 편차 및 인증 횟수 비동기화 등으로 인한 인증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등기적으로 패스워드를 생성하여 사용자와 교환하고 교환한 패스워드에 대해 사용자의 개인키로 전자서명한 후 인증서와 함께 유효성 검증을 요청함으로써 부인방지를 보장한다. 위와 더불어 유효성 검증을 인증서 검증과 패스워드 검증으로 세분화하여 수행함으로써 보안성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는 일회용 패스워드 검증 시스템을 제안하고 설계한다. 또한, 기존 메커니즘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제안하는 메커니즘이 재생공격, 부인방지, 동기화로 인한 실패 확률 등에서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시간 동기 방식의 OTP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A Digital Door Lock System Using Time- Synchronous One Time Password)

  • 황형진;김권양;하일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027-1034
    • /
    • 2017
  • 최근 들어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하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OTP (One-time- Password)를 이용한 로그인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OTP 방식은 은행의 개인 계정 보안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어온 방법으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받아 사용하는 보안성이 강화된 방법 중 하나이다. 한편,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락은 편의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요구한다.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관련 기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아직 보안성에는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 비밀번호 입력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은 편의성을 제공하지만 비밀 번호 노출, 망각 등과 같은 부작용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밀 번호 노출과 망각의 위험이 없는 보안성과 편의성이 강화된 OTP 기반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Human Memorable Password based Efficient and Secure Identification

  • Park Jong-Mi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3권4호
    • /
    • pp.213-216
    • /
    • 2005
  • Almost all network systems provide an authentication mechanism based on user ID and password. In such system, it is easy to obtain the user password using a sniffer program with illegal eavesdropping. The one-time password and challenge-response method are useful authentication schemes that protect the user passwords against eavesdropping. In client/server environments, the one-time password scheme using time is especially useful because it solves the synchronization problem. It is the stability that is based on Square Root Problem, and we would like to suggest PBI(password Based Identification), enhancing the stability, for all of the well-known attacks by now including Off-line dictionary attack, password file compromise, Server and so on. The PBI is also excellent in the aspect of the performance.

OTP-EKE:원-타임-패스워드 기반의 키 고환 프로토콜 (OTP-EKE: A Key Exchange Protocol based on One-Time-Password)

  • 서승현;조태남;이상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9권5호
    • /
    • pp.291-298
    • /
    • 2002
  • 키 교환 프로토콜에서 상호 인증은 필수 요소이며,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패스워드 기반의 프로토콜은 패스워드가 가지는 제약으로 인한 공격에 대해서 안전해야 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작업량을 줄이기 위한 효율성도 매우 중요한 요건 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버와 사용자간의 인증을 제공하고 세션키를 공유하기 위한 키 교환 프로토콜 OTP-EKE(One Time Password based Encrypted Key Exchange)를 제안하였다. 키 교환을 위한 사용자 인증방식으로 패스워드 방식을 채택하였다. 특히 서버 디렉토리에 대한 공격 등에 대해서 안전도를 높이기 위하여 원-타임-패스워드 확인자와 서버의 공개 패스워드를 이용하였다. 제안한 프로토콜은 모듈라지수승 계산 횟수와 메시지 전송 횟수를 줄임으로써 효율성 향상을 보인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신원확인을 위한 암호기반 시스템 (The Password base System for the safe and Efficient Identification)

  • 박종민;박병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81-86
    • /
    • 2009
  • 사용자 고유번호와 패스워드 기반의 사용자 인증 매커니즘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환경에서는 스니퍼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불법 도청함으로써 쉽게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알아낼 수 있다. 이러한 불법적인 도청에 의한 패스워드 노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일회용 패스워드, Challenge-Response 인증 방식이 유용하게 사용되며,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는 별도 동기가 필요 없는 시간을 이용한 일회용 패스워드 방식이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전성은 Square root problem에 기초를 두고 있고, 프리플레이 공격, 오프라인 사전적 공격 그리고 서버 등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잘 알려진 공격(해킹)들에 대해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암호기반 시스템을 제안한다. 암호기반 시스템 확인은 패스워드를 생성하는데 특별한 키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암호기반 시스템은 검증자를 확인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적게 소요되면서 특출하다.

모바일 환경에서 안전한 일회용 패스워드 인증 (Secure One-Time Password Authentication in Mobile Environments)

  • 김동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423-430
    • /
    • 2013
  •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금융 분야가 활성화되어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들 간의 상호 인증이 매우 중요해졌다. ID와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은 보안성이 낮기 때문에 일회용 패스워드 인증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일회용 패스워드 인증방식인 S/Key 인증방식은 평문 전송 외에 여러 문제점이 있고, 김홍기 등의 방식은 세션 키의 생성 및 분배 방법에 관한 제시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