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mija water extract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초

치자와 오미자를 첨가한 인삼 피클의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Ginseng Pickles with Chija and Omija)

  • 김애정;한명륜;우나리야;강신정;이건순;김명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24-529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physiological evaluation of Korean Ginseng pickles with added Chija and Omija pigment. Prior to the processing of 3 different colors of pickles, SOD-liked activ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and lecithin oxidation inhibitory effects of Korean Ginseng, Chija and Omija water extracts were assessed. After processing the 3 colors of pickles, sensory evaluation and color values were conducted. SOD-liked activity of Korean Ginseng(42.58%) and Chija(41.88%) water extracts were similar to those of tocopherol(54.62%), bu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mija(29.01%).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inseng water extract(87.85%) was similar to that of BHT(83.13%) and tocopherol(71.57%), bu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hija(68.01%) and Omija(37.15%). The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of Korean Ginseng, Chija, and Omija water extracts were measured at $1.01{\sim}1.66\;mg/m{\ell}$, levels similar to those of tocopherol($1.26\;mg/m{\ell}$) but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HT($3.89\;mg/m{\ell}$)(p<0.05). The lecithin oxidation inhibitory effects of Ginseng water extract(98.86%) was similar to that of BHT(92.82%) and tocopherol(89.13%), bu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ija(64.28%) and Omija (53.34%). With regard to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for the 3 colors of Ginseng pickles, the color and overall quality of P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1 and P3(p<0.05). With regard to luminance, P1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P2 and P3(p<0.05). The a value of P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1 and P2, and the b values of P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1 and P3.

오미자를 이용한 식초발효 및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Fermented Using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모혜원;정영희;정지숙;최경호;최상원;박찬성;최미애;김미림;김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41-449
    • /
    • 2013
  • 본 연구는 건조 오미자 추출액을 이용하여 오미자 식초를 발효하였다. 산패한 오미자 와인에서 식초산균 OV1과 OV2를 분리하고 분리균의 식초산 생성능력을 비교하였다. 분리균 OV1은 알코올농도 8%까지 발효 가능하였으며, 알코올 농도 6%의 오미자 와인으로부터 산도 5.21%의 식초를 발효하였다. 발효 오미자 식초는 시판 중인 타 식초에 비하여 관능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오미자 와인 및 식초의 항균력을 paper disc법으로 검정한 결과 식초는 4종의 검정균(B. subtilis, S. aureus, E. coli 및 P. fluorescens)에 대하여 직경 9.5~17.00 mm의 clear zone을 형성한 반면에 오미자 와인은 S. aureus와 P. fluorescens에 대해서만 clear zone을 생성하였고 clear zone의 직경 또한 9.5 mm 이하로 추출물과 비슷하였다. 오미자 와인 및 오미자 식초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오미자 와인(80배수)이 70.25%로 발효 전 추출액에 비하여 약 1.6배 증가하였으나 오미자 식초는 추출액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능 또한 와인에서 높고 식초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보당한 건조 오미자 추출액을 사용하여 기호성과 기능성을 갖춘 고품질의 식초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Characterization of Kombucha Beverages Fermented with Various Teas and Tea Fungus

  • Lee, Sam-Pin;Kim, Chan-Shic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65-169
    • /
    • 2000
  • Kombucha beverages were made from sweetened tea by Oriental, European and Tibetan tea fungus starters. The hot water extracts o green tea, black tea, Gugija and Omija were mixed with white and/or brown sugar, and were fermented under a static culture at 3$0^{\circ}C$. Titrable acidity, pH, color and cellulose production in kombucha beverages were evaluated. All tea fungus starters showed a higher acid production in green/black tea extracts rather than Gugija and Omija extracts. In green/black tea extracts Oriental tea fungus produced a kombucha beverage with a higher titrable acidity and lower pH than those of European and Tibetan tea fungus starters. By the static fermentation of green/black tea extract for 18 days, Oriental, Tibetan and European tea fungus starters produced cellulose pellicles of 0.43g, 0.16g, and 0.19 g (dry weight) on the top in the culture, respectively. As a mother starter, the cellulose pellicle was more efficient in acid production compared with tea fungus broth. Oriental/Tibetan mixed tea fungus showed the best acid production in the green/black tea extract supplemented with brown sugar.

  • PDF

오미자 추출물의 간암세포 (SNU-398) 증식 억제 효과 (Effect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on the Growth of Liver Cancer Cell Line SNU-398)

  • 노숙령;오현석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2호
    • /
    • pp.201-206
    • /
    • 200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search the anti-tumor effect of omija (methanol extract(I), malic acid & ethanol extract(II), and water extract (III)) on human liver cancer cell line SNU-398. MTT assay was used in vitro. The longer th\ulcorner exposure time and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Omija extract, the stronger the anti-tumor effect. When the concentration of (II) was 1,600 $\mu\textrm{g}$/$m\ell$ and the exposure time reached 96 hours, The strongest propagation inhibition effect occurred with the viability rate as low as 5.06%. $IC_{50}$/ value was 363 $\mu\textrm{g}$/$m\ell$. Under the condition of 1,600$\mu\textrm{g}$/$m\ell$ and 96 hours, (I) lowered the rate to 7.75%. $IC_{50}$/ value was 489 $\mu\textrm{g}$/$m\ell$. When it was 1,600$\mu\textrm{g}$/$m\ell$ and 72 hours, (III) the rate decreased to 15.97%. $IC_{50}$/ value was 703 $\mu\textrm{g}$/$m\ell$. In all three cases, the viability of the cancer cell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 exposure time ranged between 24 and 48 hours.

물의 종류에 따른 오미자 추출액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with Various Water Types)

  • 이성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06-712
    • /
    • 2013
  • 음청류에 이용할 수 있는 오미자 추출액을 얻기 위해 증류수, 수돗물과 Ca, Mg 등의 미네랄이 풍부한 청송약수를 이용하여 오미자 추출액을 제조하고 이화화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오미자 추출조건으로는 25배의 용매비로써 실온에서 6, 9, 12, 15시간, $65^{\circ}C$에서 2, 3, 6, 9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용액의 명도(L, Lightness), 적색도(a, redness), 황색도(b, yellowness), 가용성 고형분(solid content), 산도(acidity), pH, DPPH 라디칼을 소거능을 이용한 전자 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으로부터 전반적으로 양호한 추출조건을 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온에서는 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12시간 추출하는 것이 적당하였으며, $65^{\circ}C$ 가온 상태에서는 6시간 추출함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가온 상태에서 약수의 경우 증류수, 수돗물에 비해 빠른 추출이 가능하였으며, 추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산도는 낮아지나, 고형분의 양과 DPPH 라디칼을 소거능은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고려할 때에 오미자 추출을 위한 가장 적합한 물로는 미네랄이 풍부한 약수이며, 다음으로 수돗물 그리고 증류수 순서임을 알 수 있다.

약용식물추출물을 첨가한 건강미숫가루음료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Misutkaru Drink Added with Several Medicinal Herbs Extracts)

  • 이가순;이진일;이종국;이종수;박원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4-159
    • /
    • 2004
  • 캔음료용 건강미숫가루를 개발하기 위하여 쌀, 보리 및 콩을 이용하여 기본미숫가루용액을 만든 후 몇 종의 한약재를 선발하여 적정 혼합비율로 혼합 추출, 첨가하여 건강미숫가루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기본미숫가루용액으로 적당한 재료의 혼합은 물 100mL에 쌀, 보리 및 콩을 각각 5 g씩 혼합한 것이 가장 물성이 좋았다. 건강미숫가루용액 제조를 위하여 첨가한 한약재의 추출물은 맥문동 50, 오미자 15, 인삼 10, 대추 25의 비율로 혼합 후 10배 량의 물을 가하여 75$^{\circ}C$에서 36시간 처리하여 얻었으며 기본미숫가루용액 80에 혼합한 한약재 추출물 20의 비율로 혼합한 것이 기본미숫가루용액보다 기호도가 높았다. 건강미숫가루용액의 장기 저장을 위하여 가압살균처리를 함으로써 물성이 걸쭉한 형태로 변하므로서 살균처리시의 건강미숫가루는 배합비율을 기본미숫가루 60, 한약재혼합추출물 30, 물 10의 비율로 달리할 필요가 있었으나 기호도는 살균처리하지 않은 것보다 낮은 경향이었다. 살균처리하지 않은 건강미숫가루용액은 첨가한 한약재추출물에 의하여 방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살균처리하지 않은 상태로 제품화할 경우 $25^{\circ}C$에서 6일간 저장이 가능하였다.

오미자 추출액이 알루미늄 투여에 의한 흰쥐의 알루미늄 축적률에 미치는 영향 (Biochemical Study on the Effects of the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in Rat Kidney Toxicity Induced by Aluminum)

  • 정영희;한성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8-36
    • /
    • 2011
  •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tea extracts against the aluminum toxicity, Sprague-Dawley rats($100{\pm}10\;g$) were divided into 6 groups consisting of a control group, a 3%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tea plus extract group, a 1,000 and 2,000 ppm aluminum group, and a 1,000 and 2,000 ppm aluminum plus 3%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tea plus extract group. The rats administered aluminum were given 1,000 and 2,000 ppm of $Al_2(SO_4)_3$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The aluminum content in tissues from rats administered aluminum was lower than in the tissues of rats of administered aluminum plus 3%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tea in the water extrac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ALT) levels were increased in the aluminum group and lower in the group receiving a 3%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tea. Lactate dehydrogenase(LDHase) was lower in the group receiving a 3%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tea plus aluminum than in the aluminum group. Cholinesterase(ChEase) was higher in the 3%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tea-aluminum group than in the aluminum group. Plasma levels of renin were increased in the aluminum group, compared to the group receiving 3%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tea plus aluminum. Plasma levels of aldosterone were increased in the aluminum group compared with the 3%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tea plus aluminum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roup receiving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tea in water extract had a lowered level of aluminum accumulation, and it is believed that the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tea plus water had some protective effects against aluminum toxicity when administered in rats, but the mechanism of these effects remains obscure.

천연 색소 추출물을 첨가한 수박 음료의 제조 (Manufacturing of Watermelon Beverage Added with Natural Color Extracts)

  • 황영;이기권;정기태;고복래;최동칠;최정식;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26-232
    • /
    • 2004
  • 음료 제조를 위한 수박 원료 희석 농도, 당, 구연산, 비타민 C 첨가농도, 살균 방법, 천연 색소 추출 방법, 풍미증진 재료의 첨가량에 따른 색과 맛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주스 제조를 위한 조건을 실험한 결과 수박의 맛과 색이 남아있는 수박즙의 최적 희석 농도는 40%이었고, 음료로서 적정 당도는 $12^{\circ}Brix$였으며, 산미와 항산화 효과를 위한 구연산과 비타민 C첨가 농도는 0.5+0.3 g/L 또는 1.0+0.3 g/L이 적절하였다. 가열살균과 시간을 비교한 결과 수박 음료를 $70^{\circ}C$이상의 온도에서 살균 시 수박 고유의 적색도가 감소되었으며, 관능 검사 결과 $60^{\circ}C$ 10-30분 또는 $70^{\circ}C$에서 10 분간 살균 시 양호하였다 또 $60^{\circ}C$이상으로 살균 시 $30^{\circ}C$에서 한 달 동안 저장 후 처리시간에 관계없이 부패된 것은 발견되지 않았다. 천연 색소 추출 방법에 있어서는 열수 추출에 비해 알콜 추출은 전반적으로 효과가 낮았으며, 첨가 재료에 있어서도 알콜 추출보다는 열수 추출에 유리한 재료인 복분자와 오미자가 효과적이었고 복분자 20 g/L와 오미자 30g/L를 열수추출한 것을 7:3으로 배합하여 음료를 제조했을 때 가장 기호도가 높았다. 추후 다른 재료를 탐색 할 때도 수용성 가용분이 많은 재료가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본 실험에서는 주스 제조 시 침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희석과 예열 처리로 응고되는 침전물을 미리 여과하는 방법을 사용했으나 이 보다 더 좋은 개선 방법을 찾기 위한 연구가 앞으로 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 주인식;김병철;이우식;김미자;이병구;안봉전;김정환;권오준;조영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198-203
    • /
    • 2007
  • 오미자 추출물로부터 항산화효과 및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 및 Helicobacter pylori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알아보았다. 페놀함량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에서는 4.35 mg/g로 나타났으며, ethanol 추출물에서는 60% ethanol 추출물이 6.35 mg/g로 가장 높은 페놀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효과와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추출물의 농도를 200 ${\mu}g/ml$로 조절하여 실험하였다.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물 추출물에서는 97.5%, 60% ethanol 추출물에서는 96.2%로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decolorlization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에서는 96.8%, 60% ethanol 추출물에서는 97.0%로 나타났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에서는 물 추출물이 1.77 PF, 60% ethanol 추출물은 2.08 PF로 나타났으며, PF와 같이 지용성 물질의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TBARS값은 control값이 $1.17{\times}10^2$ ${\mu}M$으로 나타났고, 물 추출물에서는 $1.03{\times}10^2$ ${\mu}M$, 60% ethanol 추출물에서는 $0.54{\times}10^2$ ${\mu}M$의 TBARS값을 나타내어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는 물 추출물보다 60% ethanol 추출물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lpha}-Amyl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물과 60% ethanol 추출물 모두에서 100%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효과는 물 추출물에서는 97.4%, 60% ethanol 추출물에서는 84.5%로 물 추출물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H. pylori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200 ${\mu}g/ml$의 농도의 60% ethanol 추출물에서 $23{\pm}1.6$ mm의 저해환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