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mija extracts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3초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항균활성 분석 (Analysis of Antioxidative Effec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 Extracts)

  • 김정효;강근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9-116
    • /
    • 201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Omija. Total phenol contents of Omija extracted with ethanol and water were $53.4{\pm}2.2tannic\;acid\;equivalent/mg$, and $47.9{\pm}2.1tannic\;acid\; equivalent/mg$,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s of Omija extracted with ethanol and water were $16.3{\pm}1.1naringin\;equivalent/mg$, and $13.1{\pm}1.4naringin\;equivalent/mg$, respectively.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ethanol extract ($1,000{\mu}g/mL$) of Omija was $5.1{\pm}0.4%$. This result was lower than the antioxidant vitamin (ascorbic acid: $96.4{\pm}0.6%$) and artificial antioxidant BHT ($70.0{\pm}0.5%$).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Omija were lower than ascorbic acid and BHT. SOD-like activities of Omija extracts, natural antioxidant, and artificial antioxidant at 5 mg/mL were in the other of ascorbic acid ($99.0{\pm}0.5%$) > BHT ($72.6{\pm}0.5%$) > ethanol extract ($16.3{\pm}0.4%$) > water extract ($14.4{\pm}0.3%$). The order of O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Omija extracts and natural antioxidant at 5 mg/mL was ascorbic acid ($98.9{\pm}0.6%$) > tocopherol ($85.4{\pm}0.6%$) > water extract ($59.1{\pm}0.5%$) > ethanol extract ($33.1{\pm}0.3%$). The results show that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Omija could not be detected at both concentrations and extraction methods.

식품과 한약재 에탄올 추출물이 대추.오미자 약선소스의 항산화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xtracts of various foods and medicinal herb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ujube-omija herbal sauce)

  • 곽은정;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3-439
    • /
    • 2002
  • 식품 12종과 한약재 12종의 에탄을 추출물이 대추·오미자 약선소스의 항산화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녹차, 쑥, 민트, 레몬 및 부추 등의 식품 추출물과 인삼, 솔잎, 갈근, 모과 및 귤홍 등의 한약재 추출물 첨가시 시료 소스는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이들 에탄을 추출물은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전자공여능이 높고. 과산화물 생성량은 적어 항산화 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녹차, 쑥, 인삼 및 솔잎 추출물은 특유의 맛과 향 때문에 시료 소스에 첨가시 기호도는 높지않았으나 레몬과 모과 등의 추출물은 강한 단맛과 신맛에 의해 기호도도 증가시켰다. 특히 레몬즙은 대추·오미자 약선소스의 항산화 효과 및 기호도를 높이는데 가장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미자의 부위에 따른 지방산 조성과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The Studies of Composition of Fatty Aci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이정숙;이성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7-153
    • /
    • 1991
  • We have studies fatty acid composition of water extracts of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ractionated omija parts (fruits, endocarps, seeds) were determined by DPPH methods and by in vitro hepatic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system. Fatty acid composition was not different by parts of omija and major fatty acids are linoleic, oleic, and palimitic acids, among fatty acids is water extracts of parts of omija, linoleic acid was highest in content. Methanol and buthanol fractions of seeds and ethyl acetate fraction of endocarps showed stronger antioxidant activities by DPPH methods. Methanol and buthanol fractions of seeds also showed on inhibitory effect on in vitro liver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 PDF

오미자 첨가 양파초음료 제조 및 항균·항산화 활성 (Processing of Onion Vinegar Beverage containing Omija Extract and Its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 정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9-116
    • /
    • 2018
  • Onion vinegar, which has an undesirable flavor and taste formed through alcohol and acetic acid fermentation, possesses additives that can improve sensory quality.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n optimized blending ratio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s for an onion vinegar beverage by adding Omija extrac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ormulate an Omija-onion vinegar beverage (OOVB) and investigate its antioxidant properties and antimicrobiological effect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conducted using an optimal mixture model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hich generated eighteen experimental trials with overall acceptance as the responses.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analyses, OOVB demonstrated a ratio containing onion vinegar, water, brown sugar, apple extracts and Omija extracts of 10, 72.3, 4.4, 12.2 and 1.1 (weight ratio), respectively. The OOVB revealed desirable nutrition values (phenolics compounds 19.3 mg/100 g, total flavonoids 3.1 mg/100 g, quercetin 1.9 mg/100). The OOVB displayed antibacterial effects in Gram negative Enterobacter aerogene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and Gram 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The findings revealed that OOVB was 18% in DPPH radical inhibitionand 11% in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thus, OOVB has nutritional value and good quality as well as potential biological activities for functional beverages.

오미자(Schizandra chjinensis)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einensis) Extracts)

  • 정강현;이상호;이영춘;김지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7-132
    • /
    • 2001
  •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미생물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균, 효모, 곰팡이가 포함되는 12종류의 미생물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은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지만 효모와 곰팡이의 생육은 억제하지 못하였다. B. subtilis와 S. aureus에 대한 최소치사농도는 1.6~3.2 mg/mL이었으며, E. coli를 비롯한 gram음성 세균의 최소치사농도는 6.3~12.5 mg/mL이였다. B. subtilis와 S. aureus의 생육은 각 각 900 ppm과 300 ppm에서 억제되었으며 gram음성 세균의 생육은 2,000 ppm 첨가시 4시간 정도 생육이 억제되었다. 오미자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열처리에 안정하였으며 부위에 따른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오미자 과육의 추출물이 주로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추출 조건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혈당 강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ntioxidative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under Variable Extract Conditions)

  • 김순임;심기현;주신윤;한영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1-47
    • /
    • 2009
  • 오미자의 전통식품소재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물과 에탄올, 그리고 추출온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로부터 항산화능과 혈당 강하능을 살펴보았다. 총 페놀함량은 추출온도에 따른 차이를 크게 나타내었다. 60$^{\circ}C$에서 추출하였을 때 실온에서 추출한 것보다 51${\sim}$68%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또한 물 추출보다는 6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더 높은 페놀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DPPH 유리 라디칼 소거능을 비롯한 $ABTS^+$ 라디칼, Nitrite 소거능 또한 60$^{\circ}C$에서 6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환원력도 6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오미자 추출물의 인슐린 비의존형인 제2형 당뇨환자들의 식후 혈당을 저하시키는 효능을 검토하기 위해 ${\alpha}$-glucosidase 의 활성 저해력을 살펴본 결과, 5가지 추출 조건중 60$^{\circ}C$에서 6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저해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오미자로부터 유용성분 용출 및 기능성 증대를 위해 60$^{\circ}C$에서 60%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오미자를 이용한 식초발효 및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Fermented Using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모혜원;정영희;정지숙;최경호;최상원;박찬성;최미애;김미림;김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41-449
    • /
    • 2013
  • 본 연구는 건조 오미자 추출액을 이용하여 오미자 식초를 발효하였다. 산패한 오미자 와인에서 식초산균 OV1과 OV2를 분리하고 분리균의 식초산 생성능력을 비교하였다. 분리균 OV1은 알코올농도 8%까지 발효 가능하였으며, 알코올 농도 6%의 오미자 와인으로부터 산도 5.21%의 식초를 발효하였다. 발효 오미자 식초는 시판 중인 타 식초에 비하여 관능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오미자 와인 및 식초의 항균력을 paper disc법으로 검정한 결과 식초는 4종의 검정균(B. subtilis, S. aureus, E. coli 및 P. fluorescens)에 대하여 직경 9.5~17.00 mm의 clear zone을 형성한 반면에 오미자 와인은 S. aureus와 P. fluorescens에 대해서만 clear zone을 생성하였고 clear zone의 직경 또한 9.5 mm 이하로 추출물과 비슷하였다. 오미자 와인 및 오미자 식초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오미자 와인(80배수)이 70.25%로 발효 전 추출액에 비하여 약 1.6배 증가하였으나 오미자 식초는 추출액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능 또한 와인에서 높고 식초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보당한 건조 오미자 추출액을 사용하여 기호성과 기능성을 갖춘 고품질의 식초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오미자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권후자;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87-59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천연 보존료나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오미자를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생리활성(항균활성, 항산화능, 혈전용해능)을 측정하였다. 오미자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511.5, 696.6 mg/100 g이었다. 오미자의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은 식중독세균인 L. monocytogenes와 S. aureus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1,000 ppm 농도에서, 전자공여능은 각각 88.6%, 94.5%였으며 SOD 유사활성은 51.2, 53.6%,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70.2%, 76.2%였다. 폴리페놀함량이 높은 에탄올추출물이 물추출물에 비하여 항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반면에 오미자 추출물 $1.25{\sim}5.0%$의 혈전용해능은 물추출물이 에탄올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오미자 추출물은 건강식품 개발 소재 혹은 가공식품에서 천연 첨가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추출온도 및 함수율에 따른 오미자 종자유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Seed Oil Extrac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Moisture Contents)

  • 박예근;박소연;박윤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2-73
    • /
    • 2022
  • Omija seed oil was extracted from Omija seeds, a by-product of Omija, using an eco-friendly pressed extraction metho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12 extracts using different combinations of seed moisture content (5, 7.5, and 10%) and extraction temperature (25, 49, 75, and 100℃) were then investigated.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was 31.33% at moisture of 5% and temperature of 75℃. The lowest acid value was 4.18±0.25 at moisture of 5% and temperature of 49℃or moisture of 7.5% and temperature of 25℃. Peroxide value, iodine value, and saponification value were the lowest at 0.64±0.56 meq/kg, 159.38± 6.03, and 57.60±9.40, respectively, at moisture of 5% and temperature of 25℃.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ics was the highest at 4,413±125 mg TAE/100 g when the moisture content was 10% and the extraction temperature was 25℃.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oil extracts at 20~100 mg/mL were 28.68±7.30~87.65±2.20%. The maximum antioxidant activity and IC50 were 87.65±2.20% and <20 mg/mL, respectively, for extract obtained at moisture of 10% and temperature at 100℃. As a result, the extraction yield, acid value, peroxide value, iodine value, saponification value, and so on were excellent at moisture content of 5% and extraction temperature of 25℃ or 49℃. However,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the highest at moisture of 10% and extraction temperature of 100℃. In conclusion, extracting Omija seed oil from Omija seeds, a by-product of Omija, is effective with a pressed extraction method.

저온숙성 방법에 따른 생오미자 당절임 농축액인 오미자청의 파일럿 규모 생산 및 품질특성 (Pilot-scale production of Omija-cheong by low temperature incubation: An assessment of quality characteristics)

  • 박미나;고은성;이창주;최준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65-771
    • /
    • 2016
  • 전통적인 저온숙성 당절임 방법을 이용한 오미자청의 제조과정에서 최적의 배양시간을 찾기 위하여 파일럿 규모(1톤)의 연구를 시행하였다. 생오미자와 동일한 량으로 투입된 설탕은 배양시간에 따라 과당과 포도당으로 전환되었으며 오미자청에 존재하는 유리당의 조성은 68일 이상의 배양기간에서는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배양기간에 따른 오미자청의 pH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 반면, 적정 산도와 유기산의 함량은 배양시간 37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한 이후 68일 이후에는 일정한 조성을 유지하였다. 생오미자에 존재하는 주요 유기산은 숙신산으로 확인되었으며 오미자청에 존재하는 유기산의 조성 역시 생오미자와 유사하였다. 오미자에 존재하는 주요 생리활성물질인 총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화합물은 60일 이상 배양한 오미자청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고 138일까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특히, 오미자청에 함유된 총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화합물의 함량은 생오미자 과육에 비하여 각각 9배와 5배 정도 높은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생오미자를 저온숙성 당절임 방법을 적용하여 오미자청으로 제조 가공하는 과정에서 유리당, 유기산 및 생리활성물질 등에 대한 일정한 품질을 확보를 위해서는 최소 60일 이상의 배양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통적인 저온숙성 당절임 방법으로 제조 가공되는 오미자청의 고품질화와 기능성 음료 개발을 위한 제조 가공공정의 표준화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