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청심연자탕으로 호전된 올리브교소뇌위축증 환자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a Patient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Improved with Chengsimyeonja-tang)

  • 박지은;이슬;이정윤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41-151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report significant improvement of dizziness, gait disturbance and dysarthria after treatment with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reatment on a Taeeumin patient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Methods A 53-year-old female diagnosed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about one year ago suffered from dizziness, gait disturbance and dysarthria. The patient was identified as Taeeumin Joyeol pattern and treated with Cheongsimyeonja-tang and Taegeuk acupuncture. The patient's main symptoms were observed using Global Assessment Scale (GAS) during the treatment period. In addition, the Unified Multiple System Atrophy Rating Scale (UMSARS) was used to assess the overall function of patient. Results We observ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ymptoms of dizziness, gait disturbance and dysarthria using GAS, and UMSARS score decreased in Part I and II. Conclusions This case showed that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reatment can be effective treatment for Taeeumin patient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We consider that consistent treatment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수면장애와 보행장애를 호소하는 올리브교소뇌위축증 환자 증례보고 1례 (A Case Report of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Multiple Systemic Atrophy-Cerebellum) Patient Complicating Sleep Disorders and Gait Disturbance)

  • 이수영;김두리;이현승;채한나;윤종민;문병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802-813
    • /
    • 2018
  • This case report describes a patient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accompanied by sleep disorder and gait disturbance whose condition was improved by treatment with Korean medicine. The 61-year-old woman, who was diagnosed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Multiple Systemic Atrophy-Cerebellum), was admitted to hospital twice and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The Korean medicine was Gwibiondam-tang-gami and Jaeumgeonbi-tang-gami. Clinical symptoms were assessed by the Modified Bathel index,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ment, Berg balance scale, and Unified Multiple System Atrophy rating scale. A brain MRI at the one-year follow up after onset showed similar progress but clinical symptoms were improved after treatment, and the evaluation index score increased. Multiple system atrophy, a type of degenerative neurological disease, has no targeted treatment. In this situation, although this report describes a single case, Korean medicine treatment could provide a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 sleep disturbance and gait disorder symptoms of patients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조위승청탕(調胃升淸湯)으로 호전된 올리브교소뇌위축증 환자 1례 (A Case Study of a Taeeumin Patient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Improved with Jowisengcheong-tang)

  • 이미숙;배나영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43-253
    • /
    • 201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ignificant improvement of dizziness, gait disturbance, insomnia and xerostomia after treatment with Jowisengcheong-tang in a Taeeumin patient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OPCA). Methods The patient's subjective and objective symptoms were observed daily throughout the hospitalization period using global assessment (G/A), and the Unified Multiple System Atrophy Rating Scale (UMSARS) was used to assess the overall function of patient. Results The symptoms of dizziness and xerostomia decreased from G/A 100 to G/A 10~30 for five days, and the UMSARS score decreased in Part I,II. Conclusions This case showed that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reatment can be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OPCA. We consider that consistent treatment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재활치료와 한방치료를 병행한 다발성 뇌신경계 위축증 1례 (Case of Multiple Systemic Atrophy Treated with Korean Medical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Therapy)

  • 박장경;맹유숙;이승복;김동일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8-125
    • /
    • 2011
  • 난치성 질환인 다발성 뇌신경계 위축증으로 진단 받은 환자를 신음허, 비기허, 중풍으로 변증하고 한약 치료, 침구 치료 및 재활 치료를 시행한 결과 근력 및 연하기능이 호전된 경과를 관찰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향후 다발성 뇌신경계 위축증에 대한 한방치료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추가적인 증례 보고와 다양한 실험 및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livopontocerebellar Atrophy의 임상상과 전산화단층뇌촬영 소견 (Clinical Study of CT-diagnosed Olivopontocerebellar Atrophies)

  • 박미영;어경윤;하정상;변영주;박충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2호
    • /
    • pp.87-93
    • /
    • 1988
  • 저자등은 최근 5년동안 본원 신경과 외래와 입원 환자중 CT상 특징적인 뇌교소노위축을 보이고 그에 따른 임상적 증상을 보인 OPCA 환자 12예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분포는 49세에서 72세이며 주로 50대에서 60대에 많았다. 성별분포는 암자에서 약 4.5배 더 빈발하였다. 가족력이 있는 것으로 추정이 되는 1예에서는 발병연령이 보다 빨랐다. 2. 증상의 발현부터 진단까지의 기간은 대부분 1년에서 6년 사이였다. 3. 초기증상으로는 현기증(58%), 운동실조(33%) 등이 흔하였고 그 외에도 지전, 하지무력감, 구음장애, 두통, 뇨실금 등이었다. 또 진단당시 임상적 특징으로는 소뇌기능장애(100%), 구음장애(83%), 심부건반사항진(58%) 등이 주요 소견이었다. 4. CT소견으로 소뇌홈은 전례에서 1mm이상 확장되어 있었고 4예에서는 2mm이었다. 소뇌뇌교뇌조의 폭은 대부분이 3mm 내지 4mm이며 2예에서는 5mm였다. 제 4 뇌실은 전후 직경이 4mm, 좌우직경이 4mm 내지 8mm까지 확장된 소견을 보였으며 전례에서 전뇌교뇌조와 사구외조의 확장이 나타났다. 6예에서는 대뇌위축도 동반 되었음이 발견되었다.

  • PDF

중추신경계질환 동반 여부에 따른 렘수면 행동장애의 임상 특성과 수면다원기록소견 소견 비교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olysomnographic Findings between REM Sleep Behavior Disorder with and without Associated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 이유진;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2권1호
    • /
    • pp.58-63
    • /
    • 2005
  • 목 적:중추신경계 질환의 병발 여부에 따라 렘수면 행동 장애 환자들을 두 군으로 나눈 후, 인구학적 특성, 임상양상, 수면 변인들을 비교하여 차이점과 특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서울대학교병원에서 야간수면다원검사를 통해 렘수면 행동장애로 확진받은 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과 수면다원검사 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필요한 경우 전화문진을 통해 자료를 보완하였다. 중추신경계 질환력과 뇌 자기공명검사 소견을 근거로 전체 대상을 중추신경계 질환을 동반한 병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과 그렇지 않은 특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으로 이분하였다. 그 후 두 군 사이의 인구학적 특성, 임상양상, 수면 변인을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전체 대상군 81명 중 남자는 64명, 여자는 17명이었다. 그리고 전체 대상중에 21명(25.9%)에서 중추신경계 질환이 동반되어 병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으로, 나머지 60명(74.1%)에서 그렇지 않아 특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으로 분류하였다. 동반된 중추신경계 질환은 파킨슨병(11명), 올리브뇌교소뇌위축(olivopontocerebellar atrophy)(3명), 다발신경계위축증(multiple system atrophy)(2명), 파킨슨병을 동반하지 않은 치매(2명), 뇌경색(1명), 뇌교부종(1명), 뇌종양(1명)이었다. 전체 대상에서 수면장애가 병발된 경우는 74.1%로서 주기성 사지운동증과 폐쇄성무호흡증이었다. 주기성 사지운동증(사지운동 지수>5)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호흡장애지수>5)의 유병율이 병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각각 p<0.001, p=0.0042, Fisher 검증). 심한 정도를 나타내는 주기성 사지운동지수와 호흡장애지수도 병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각각 p<0.001, p=0.017, 독립 t-test). 수면변인 중 서파수면분율과 수면효율은 병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각각 p<0.001, p=0.017, 독립 t-test). 고 찰:렘수면 행동장애 환자의 25%에서 중추신경계 질환이 동반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추신경계 질환이 동반된 렘수면 행동장애에서는 주기성 사지운동증과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같은 다른 수면장애가 더 흔하게 병발하였고 그 정도 역시 더 심하게 나타났다. 수면구조에서도 특발성 렘수면 행동장애에 비해 서파수면과 수면효율이 모두 더 감소하는 소견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