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eoresin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3초

고추 Oleoresin의 추출에 관한 연구 (Extraction of Oleoresin from Korean Red Pepper)

  • 장성준;한성연;주제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5-163
    • /
    • 199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condition of the extraction of red pepper oleoresin. The yield of oleoresin form red pepper was 24~28% when it was extracted by ethanol and methanol. and 8~10% by acetone, ethylene dichloride and n-hexane. But more than 60% of portion in alcohol extracts were moisture and sugars. Capsaicin and pigment were extracted more than 70% of those in red pepper when it was extracted by ethylene dichloride Those useful components were extracted most efficiently by mixed solvents of ethanol and ethylene dichloride at the ratio of 50:150. other extracting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ies, such as optimal extraction time was more than 3 hours, temperature was 55$^{\circ}C$ and particle size was finer than 250 mesh

  • PDF

향유와 꽃향유 향기성분의 생리활성 검정 (Biological Activity of Flavor Components Extracted from Elsholtzia ciliata and Elsholtzia splendens)

  • 정재훈;손현옥;신한재;현학철;이동욱;임흥빈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9-30
    • /
    • 2005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iological activity of flavor components extracted from E. ciliata and E. splendens in order to survey the possibility applicable to tobacco and food industry. Flavor components were extracted with dividing into three parts; essential oil, absolute, oleoresin. In the nonenzymatic lipid peroxidation system, the inhibition rate($\%$) of essential oil were $67.3\;\pm\;20.7\%,\;58.1\;\pm\;19.3\%$ at the concentration of 50 ${\mu}g/mL$ of E. ciliata and E. splendens, respectively. The inhibition rate($\%$) of the oleoresin in E. ciliata was higher than one in E. splendens. In the enzymatic lipid peroxidation system, the inhibition rate($\%$) of essential oil and oleoresin was$14.28\;\pm\;2.38\%,\;and\;65.93\;\pm\;0.01\%,\;and\;was\;22.58\;\pm\;2.84\%\;and\;40.73\;pm\;6.04\%$. The oleoresin of two species were showed above $90\%$ of the inhibition rate($90\%$) against autooxidative lipid peroxidation system. $EC_{50}$ values in neutral red uptake assays 24 h of exposure times were $23.3\;{\mu}g/mL,\;341.0\;{\mu}g/mL\;and\;17.2\;{\mu}g/mL$ in essential oil, absolute and oleoresin from E. ciliata respectively, and were $46.4\;{\mu}g/mL,\;681.7\;{\mu}g/mL\;17.6\;{\mu}g/mL$ in three extractions of E. splendens. Oleoresin of two species showed high rate in the cytotoxic effect by neutral red uptake assay. Absolute and oleoresin did not show antibiotic and mutagenic activity. On the contrary, essential oil with over 500 ug/plate showed antibiotic and mutagenic activity in Ames test. Essential oil and oleoresin have a prolongating effect the ciliostasis of rat trachea. This results indicate that flavor components extracted from E. ciliata and E. splendens can be considered to be toxicological safe and to be the possibility applicable the cigarette, food and drug industry as a flavor for expectoration.

마늘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특성과 갈변억제 효과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Browning Inhibitory Effects of Fresh Garlic by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 강덕순;정승원;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91-297
    • /
    • 2000
  • 마늘을 MAE방법에 의하여 물과 에탄올로 추출한 후 기능성과 갈변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에탄올, 물 추출물의 수율은 5분 동안 추출한 경우 각각 12.9% 및 12.7%이었고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Polyphenol 함량은 5분 추출물이 각각 574.3mg% 및 569.0mg%로 가장 높았다. 에탄올과 물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은 20분 추출물의 경우 각자 17.0% 및 20.7% 수준으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1.2일 때 5분 동안 추출한 추출물이 각각 98.9% 및 99.7%로 가장 높았으며 pH가 증가할수록 효과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저해 효과는 물 추출물의 경우 5분 추출물이 83.1%로 가장 높은 것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은 87.1%로 20분 동안 추출 하였을 때 그 값이 제일 높았다. Tyrosinase 저해효과는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30%이하로 매우 낮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15분 에탄올 추출물은 60%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들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 대해 0.1% ascorbic acid, citric acid 및 cysteine으로 10일 동안 갈색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 비해 0.1% cysteine이 가장 높은 갈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0.1% ascorbic acid는 cysteine보다는 낮은 갈변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0.1% citric acid는 대조구와 비슷한 갈변화 진행을 나타내었다. 갈색화 억제 상승 효과는 0.1% cysteine과 ascorbic acid를 첨가한 실험구가 citric acid를 첨가한 실험구에 비해 효과적인 갈색화 억제를 나타내었다.

  • PDF

고추 Oleoresin의 가열조리중 휘발성 성분 및 Capsaicin의 변화 (Changes in Volatile Components and Capsaicin of Oleoresin Red Pepper during Cooking)

  • 최옥수;하봉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2-237
    • /
    • 1994
  • 건조 고추를 100mesh의 입자이하로 분쇄하여 먼저 감압증류시켜 정유성분을 추출하고, 다시 3배량의 ethyl alcohol을 가하여 $25^{\circ}C$에서 3시간 동안 진탕 추출후 여과, 농축시켜 정유성분을 합하였다. 여기에 같은양의 물과 유화제를 첨가하여 유화시킨 고추 oleoresin을 고온에서 가열조리 중 일어나는 휘발성성분 및 capsaicin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고추 및 고추 oleoresin-의 휘발성 성분은 119성분이 분리되어 그중 35성분이 동정되었다. 2-methoxy-phenol, 2,6-bis(1,1-dimethylethyl)-4-methyl-phenol, 1,4-dimethylbenzene, 1,2-benzenedicarboxylic acid, 2-methoxy-4-methylphenol, 4-ethyl-2-methoxy-pheonl 및 5-methyl-2-furancarboxaldehyde 등이 주요 향기 성분이었으며, 시료로부터 oleoresin으로의 이행율은 저분자에서의 휘발성성분의 경우는 매우 낮았다. 온도 100^{\circ}C$에서 3시간 가열조리 후 휘발성 성분은 93성분이 분리되었고 $150^{\circ}C$ 가열조리의 경우는 82성분만 분리되었다. 가열조리 중 휘발성 성분의 소실은 극심하였으며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더욱 심하였다. 100^{\circ}C$에서 가열한 경우 상당량이 가열조리 중 소실되었으며 잔존율은 각각의 휘발성 성부넹 크게 달랐다. 특히 nonanoic acid, 2-(1,1-dimethylethyl)-phenol, pentadecane, 1,2-benzenedic-arboxylic acid 등은 70% 이상의 높은 잔존율을 보였고, 1-methyl-1H-pyrrole, 1-(2-furanyl)-ethanone, 2,4-dimethyl-pheonl, d-fenchyl alcohol 및 4-ethyl-2-methoxy-phenol 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150^{\circ}C$에서 가열시킨 고추 oleoresin의 휘발성 성분은 $100^{\circ}C$ 보다도 상대적인 잔존율이 더욱 낮았다. Nonanoic acid와 1,2-benzenedicarboxylic acid만 70% 이상의 잔존율을 보였고, 30% 이하의 잔존율을 나타낸 성분으로서는 2-furancarboxaldehyde, 5-methyl-2-furancarboxdldehyde, 1,4-dimethylbenzene, 2,3-diethyl-2-cyclopenten-1-one, 1H-indole 및 9,12-octadecadienoic acid였다. 그리고 $100^{\circ}C$ 가열에서의 미검출성분과 흔적량을 보이던 2-methyl-2=cyclopenten 및 octanoic acid은 검출되지 않았다. 가열조리 중 capsaicin은 비교적 열에 안정하여 대기하의 $100^{\circ}C\;및\;150^{\circ}C$에서 5시간 가열조리 후 잔존율은 각각 84.7% 및 73.3%였고, 질소가스 통기하에서는 잔존율이 88.9% 및 81.8%로 더욱 안정하였다.

  • PDF

베이컨 육에 있어서 고추 Capsaicin 및 Oleoresin의 항산화 작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apsaicin and Oleoresin from Red Pepper in Grounded Bacon Belly Meat)

  • 이치호;정구용;임성천;최도영;김천제;최병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96-499
    • /
    • 1994
  • 본 실험에서는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고추의 매운 성분인 캡사이신 및 올레오신을 세절시킨 베이컨 육에 첨가하여 그 저장성효과를 TBA가 및 최근에 개발된 형광 발광 검출기가 부착된 CL-HPLC법을 이용한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다. 세절 베이컨 육에 있어서의 TBA가는 캡사이신 0.02% 첨가구, 올레오레신 0.02% 첨가군이 기존에 사용해 온 에리 솔빈산 0.02% 첨가수준보다 항산화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CL-HPLC로 검출한 hydroperoxide의 생성은 에리솔빈산 첨가구가 대조군에 비해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으나, 에리솔빈산 0.01% 및 0.02%간의 첨가수준에 따른 차이 보이지 않았다. 캡사이신 0.01% 첨가구는 에리솔빈산 0.02% 첨가효과와 거의 같은 효과를 나타냈으며, 5주째에 있어서는 캡사이신 0.02% 첨가구가 캡사이신 0.01% 첨가구에 비해 항산화효과가 유의하게(p<0.05) 더 높게 나타났다. CL-HPLC를 이용해 세절 베이컨에 대한 과산화물가를 책정한 결과, 올레오레신 0.02% 첨가구는 에리솔빈산 0.02% 및 캡사이신 0.01% 첨가수준의 효과와 거의 비슷한 효과를 나타 냈으며, 올레오레신 0.02% 첨가구는 캡사이신 0.02% 첨가수준과 거의 필적할 정도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CL-HPLC는 항상화 효과 측정에 도입할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 PDF

초피 Oleoresin 제조시 용매에 따른 추출물특성과 추출조건에 따른 휘발성 성분 변화 (Properties of Chopi Oleoresin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and Effects of Extraction Conditions on Volatile Components)

  • 최용희;허상선;배동호;김상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06-412
    • /
    • 1998
  • Such extraction conditions as the kinds of solvent, extracting temperature, extracting time, ratio of material to solvent and particle size of material, were studied to maximize the extraction of oleoresin from chipi. Larger amount of soluble solids were extracted from seeds with nonpolar solvents (hexane, pentane, ether) for extraction, because the seeds contained large amount of crude fats and monoterpene(limonene) volatile compounds. Larger amount of soluble solids were extracted from peel with polar solvents(methanol, ethanol) of extraction because of large amount of water soluble colors, sugars and oxygenated terpene bolatile compounds in the peel. The application of the solvents in intermediate polarity (dichloromethane, acetone) resulted in more effective extraction of soluble solid and volatile compounds. Expecially, dichloromethane was an excellent solvent in extrac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the concern of volatile compound recovery yield,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time, mixing ratio of material to dichloromethane and mean particle size, were $25^{\circ}C$, 10min, 1:10(w/v), 355~250${\mu}{\textrm}{m}$ for chopi peels and 3$0^{\circ}C$, 10min, 1:8(w/v), 355~250${\mu}{\textrm}{m}$ for chopi seeds, respectively.

  • PDF

단기간(短期間)의 파라퀄처리(處理)가 리기다소나무의 수지증수(樹脂增收)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hort-Term Paraquat Treatment on Oleoresin Increases in Pitch Pine)

  • 박원규;안원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14-22
    • /
    • 198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hort-term paraquat treatment without insecticides on the enhancement in oleoresin of pitch pine (Pinus rigida M.) at various distances from the wound height. The trees were treated with 0.5, 2 and 4% paraquat solutions using the bore-hole technique. Duplicate cores from treated and untreated sides of treated trees were made at 5 height levels (-0.3, 0.0, 0.3, 0.9 and 1.5 m above the wound height) at 3 months after treatment. The alcohol-benzene extractives based on unextracted oven-dry cores were taken as oleoresin cont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ffect of oleoresin enhancement at wound height were not affected by paraquat concentration. 2. Ascending distance of the enhancing effects above the wound height was directly related to paraquat concentration. Only in 4% paraquat treated trees, the effect extended to 1.5 m above the wound height. 3. As a result of examining descending distance of the enhancing effects at 0.3 m below the wound height, the effects extended to there in 4% and 2% paraquat treated trees.

  • PDF

Rosemary, Sage, Clove 및 Nutmeg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성분의 항산화성 (Antioxidative Effects of Volatile Oil and Oleoresin Extracted from Rosemary, Sage, Clove and Nutmeg)

  • 이영춘;윤종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51-354
    • /
    • 1993
  • 천연 향신료의 항산화력을 탐색하기 위하여 항산화력이 있다고 보고된 rosemary, sage, clove, nutmeg 등 4종의 휘발성 정유성분 및 비휘발성 추출물을 수증기 증류법 및 용매 추출법을 써서 추출하였다. 항산화성은 lard를 기질로 하여 랜시매트법과 POV를 측정하여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Rosemary, sage, clove 및 nutmeg 등 4종의 향신료를 랜시매트법에 의하여 휘발성 정유성분의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농도를 0.01, 0.05, 0.1%로 증가시켰으나, 4종 공히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항산화력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4종 향신료의 비휘발성 정유성분을 랜시매트법에 의하여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농도를 0.01, 0.05, 0.1%로 증가시킴에 따라, 항산화성이 증가하였고, 특히 rosemary, nutmeg가 항산화효과가 컸다. 4종 향신료의 항산화력을 POV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랜시매트법으로 측정한 결과와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lard사용 제품류에 상기 4종 향신료의 비휘발성 정유성분을 0.1% 첨가시키면 현저한 항산화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양파 Oleoresin의 가공 (Processing of Oleoresin Onion)

  • 최옥수;배태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02-308
    • /
    • 1997
  • 양파의 일시 대량 처리가 가능한 oleoresin 가공을 시도하여 추출율과 품질 안정성을 고려한 제조조건을 검토하였다. 시료의 일반성분 조성은 수분 88.9%, 조단백질 1.97%, 조지방 0.51%, 탄수화물 8.12% 및 조회분 0.48%였고 total pyruvate 함량은 743.8$\mu\textrm{g}$/g이었다. 생채양파 액즙을 Brix 70%로 감압농축하고 남은 잔사를 ethyl alcohol로 추출.농축하여 합한 제품, 양파를 가압열처리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제품 및 동결건조하여 50 mesh로 마쇄시킨 양파를 ethyl alcohol로 추출.농축한 제품의 수율은 각각 7.3, 9.1 및 0.8%이었으며, 총당함량은 각각 616.4, 712.3 및 150.3mg/g으로 ethyl alcohol 추출제품은 수율과 유리당의 함량이 매우 낮았다. 그리고 overall odor intensity의 지표로서 total pyruvate 함량은 각각 1,733.7, 520.6 및 2,716.5$\mu\textrm{g}$/g으로 가압 열처리하여 추출한 제품의 경우는 열처리 과정에서 향기성분의 소실이 심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양파 oleoresin 제조는 수율가 총당함량은 약간 낮으나 oleoresin의 품질을 크게 좌우하는 향기성분의 회수가 뛰어난 생채양파를 직접 사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였다. 양파액즙 농축액과 용매추출물의 균일한 혼합을 위하여 2% PGDR(polyglycerol condensed ricinoleate)을 첨가하고 교반(10,000rpm, 30분)하여 유화시켰다. 이때 계면장력은 1.9 dyne/cm였고, 6$0^{\circ}C$에서 24시간 방치시켰을 때 유화된 emulsion 생성율은 96.2%, 유화후 원심분리(2,000$\times$G, 80분) 시켰을 때 분리되지 않는 emulsion층의 부피는 92.6%로 유화안정성이 매우 높았다. 대두유 및 참깨유에 양파 oleoresin을 1% 첨가하여 가열산화를 유도시켰을 때의 유도기간 연장효과는 0.02% BHA를 첨가한 효과에 대하여 80.8~82.2%에 해당하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