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 emulsions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7초

제주산 알로에 베라(Aloe vera Linne)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capacities of Aloe vera (Aloe vera Linne) from Jeju Island, Korea)

  • 설남규;장은영;성장훈;문기원;이재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43-647
    • /
    • 2012
  • The antioxidant capacity of aloe vera gel (AG), aloe vera exudates (AE), and a low molecular filtrate of aloe vera gel (ALMF) prepared from aloe vera grown on Jeju Island, Korea was evaluated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ssays, and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total flavonoid content (TFC) were determined. The phenolic compounds in aloe samples were analyzed. Antioxidant capacities in oil-in-water emulsions following riboflavin photosensitization were analyzed using lipid hydroperoxide. AE had significantly higher antioxidant capacity than that of the other samples based on the DPPH, ABTS, and ORAC assays (p<0.05). Lipid hydroperoxide values of 5 mg/mL for AG, AE, and ALMF were 521.78, 272.32, and 699.89 mmol/kg oil, respectively, whereas that of samples without aloe vera was 893.07 mmol/kg oil over 48 h. AE had higher TPC and TFC values. Aloesin and aloin were found in AE, whereas those compounds were only found in trace amounts in AG and ALMF.

Electrophoretic Mobility to Monitor Protein-Surfacant Interactions

  • Hong, Soon-Tae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2호
    • /
    • pp.143-151
    • /
    • 1998
  • Protein -surfactant interactions have been investigate by measuring ζ-potential of $\beta$-lactoglobulin-coated emulsion droplets and $\beta$-lactoglobulin in solution in the rpesenceof surfactant,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effect of protein heat treatment(7$0^{\circ}C$, 30min). When ionic surfactant (SDS or DATEM) is added to the protein solution, the ζ-potential of the mixture is fou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surfactant concentration, indicating surfactant binding to the protein molecules. For heat-denatured protein,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ζ-potential tends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native protein. The effect of surfactant on emulsions is rather complicated .With SDS, small amounts of surfactant addition induce a sharp increase in zeta potential arising from the specific interaction of surfactant with protein. With further surfacant addition, there is a gradual reductio in the ζ-potential, presumably caused by the displacement of adsorped protein (and protein-surfactant complex) from the emulsion droplet surfac by the excess of SDS molecules. At even higher surfactant concentrations, the measured zeta potential appears to increase slightly, possibly due to the formation of a surfactant measured zeta potential appears to increase slightly, possibly due to the formation of surfactant micellar structure at the oil droplet surface. This behaviour contrastswith the results of the corresponding systems containing the anionic emulsifier DATEM, in which the ζ-potential of the system is found to increase continuously with R, particularly at very low surfactant concentration. Overall, such behaviour is consisten with a combination of complexation and competitive displacement between surfactant and protein occurring at the oil-water interface. In addition, it has also been found that above the CMC, there is a time-dependent increase in the negative ζ-potential of emulsion droplets in solutions of SDS, possibly due to the solublization of oil droplets into surfactant micelles in the aqueous bulk phase.

  • PDF

석유증진회수에 적합한 나노 에멀젼의 제조 및 필터링 시험 분석 (Fabrication and Filtering Test of Nanoparticle-Stabilized Emulsion to be Suitable for Enhanced Oil Recovery)

  • 손한암;이근주;조장우;임경철;김진웅;김현태
    • 자원환경지질
    • /
    • 제46권1호
    • /
    • pp.51-61
    • /
    • 2013
  • 최근 나노기술을 이용한 석유증진회수기술은 미국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주로 다공성 매체 내 나노입자의 유동특성이나 나노 에멀젼 자체의 안정성 평가에만 중점을 두었으며, 다공성 매체 내 나노 에멀젼의 유동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나노 에멀젼과 공극의 크기 효과는 분석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석유증진회수기술에 적용 가능한 나노기반의 에멀젼을 제조하였으며,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다공성 매체 내 나노 에멀젼의 유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필터링 시험을 통해 나노 에멀젼의 크기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나노 에멀젼의 제조시 SCA(Silane Coupling Agent)나 PVA(poly Vinyl Aclohol)를 첨가하여 에멀젼을 제조할 때 안정성이 개선되며, 물에 비해 데칸의 비율이 높을수록 점성도가 높아지고, 액적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기압조건하에서 수행한 필터링 시험에서는 분리된 물이 주로 통과하고 액적은 통과하지 못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액적의 유동력이 필터에 작용하는 모세관압을 극복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흡입압력을 작용한 필터링시험에서는 $60{\mu}m$ 크기 이상의 필터에서는 대부분 액적이 통과 하였으나, $45{\mu}m$ 이하의 필터에서는 통과비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필터 공극 통과시 강한 전단응력에 의해 액적이 변형되거나 파괴되어 공극을 막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기본적인 나노 에멀젼의 특성 및 필터링 시험 결과는 향후 안정적인 나노 에멀젼 제조나, 다공성 매체 내 잔류오일 회수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Phenol성 물질이 첨가된 Corn Oil-in-Water Emulsion의 산화에 미치는 Surfactant Micelle의 영향 (Effect of Surfactant Micelle on Lipid Oxidation in Corn Oil-in-Water Emulsion with Phenol Compounds)

  • 김병규;천성숙;조영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72-77
    • /
    • 2004
  • 5% corn oil과 17 mM Brji 700으로 제조한 oil-in-water emulsion(O/W)에서 과량의 잉여 surfactant가 phenol이 첨가된 O/W의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Brji 700을 $0{\sim}2%$의 농도로 O/W에 첨가한 경우, 첨가된 surfactant의 양이 증가할수록 droplet의 particle size는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continuous phase의 surfactant 농도도 높아지며 phenol 함량도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henol류가 100 ppm의 농도로 첨가된 O/W에 과량의 surfactant$(0{\sim}2%)$를 첨가하고 30일간 저장 기간별 hydroperoxide의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낮은 hydroperoxide 함량을 보여 surfactant를 첨가하지 않은 실험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hydroperoxide 함량은 surfactant를 추가하지 않은 실험구 보다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phenol 종류 및 surfactant 농도별 hydroperoxide 생성억제 효과와 headspace aldehyde 생성 억제 효과는 BHT>procyanidin B3-3-O-gallate>(+)-gallocatechin>(+)-catechin 및 2%>1%>0% surfactant 첨가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henol성 물질과 과량의 surfactant micelle에 의해 emulsion으로부터 continuous phase로 hydroperoxide의 physical location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다.

센텔라 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을 함유한 Water in Oil in Water (W1/O/W2) 에멀젼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paration of Water in Oil in Water (W1/O/W2) Emulsion Containing 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 서동환;이홍선;윤종혁;김연준;변상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03-313
    • /
    • 2015
  • 센텔라 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TECA)은 병풀에서 얻은 난용성 추출물로 상처치유 및 항주름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TECA를 함유한 water in oil in water ($W_1/O/W_2$) 에멀젼 제조에 필요한 최적의 실험 조건을 찾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TECA의 용해도는 UV 흡광도계를 이용하였으며, 디프로필렌글라이콜(40.0 g), 에탄올(20.0 g) 및 정제수(10.0 g)의 조성에서 2.55 g의 TECA가 용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에멀젼($W_1/O$, $W_1/O/W_2$)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W_1/O$ 에멀젼의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수상 조건은 디프로필렌글라이콜 : 에탄올 : 정제수 : TECA가 40.0 : 20.0 : 10.0 : 2.5%(w/w), 유상 조건은 스쿠알란 :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 세테아릴알코올이 22.5 : 4.0 : 1.0%(w/w)임을 확인하였다. $W_1/O/W_2$ 멀티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은 정제수 : $W_1/O$ 에멀젼 : 폴리소르베이트 80 : 카보머 : 트리에탄올아민의 비율이 55.8 : 40.0 : 4.0 : 0.1 : 0.1% (w/w)임을 확인하였다.

오일이 페녹시에탄올의 유.수상 분배계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il-aqueous phase Partition Coefficients of Phenoxyethanol according to Oils)

  • 조선웅;이영근;김미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90-394
    • /
    • 2009
  • 최근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페녹시에탄올에 대하여 오일의 종류가 유 수상 분배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분배계수의 측정은 오일을 탄화수소류, 고급지방산류, 고급알콜류, 에스테르류, 트리글리세라이드류 및 실리콘류로 구분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탄화수소류 및 실리콘류 오일은 유 수상 분배계수가 낮은 반면, 고급지방산류, 고급알콜류, 에스테르류 및 트리글리세라이드류 오일의 유 수상 분배계수는 높았다. 이는 탄화수소류 및 실리콘류 오일을 혼합한 경우 다른 오일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수상에 존재하는 페녹시에탄올의 농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화장품에서의 방부력은 수상에 존재하는 방부제의 함량이 크게 좌우함으로 위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화장품에 혼합하는 오일을 조정함에 의해 페녹시에탄올의 함량이 적은 저자극의 화장품 처방을 구성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SPG 막유화 및 UV 광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PNIPAAm 하이드로젤 입자의 형태학에 관한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PNIPAAm Hydrogel Microspheres Prepared by Using SPG Membrane Emulsification and UV Photopolymerization)

  • 이윤직;김미리;정인우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2호
    • /
    • pp.76-82
    • /
    • 2015
  • SPG 막유화법에 의해 NIPAAm, MBA 및 APS를 용해시킨 수용액을 톨루엔과 미네랄오일의 혼합용액인 연속상에 HMP, Span80과 함께 유화(W/O emulsion)시킨 후, UV광중합법에 의해 PNIPAAm 하이드로젤 입자를 제조하였다. 연속상 내 미네랄 오일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PNIPAAm 하이드로젤의 입도와 입자 내 PNIPAAm의 밀도가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서 VPTT 근처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하이드로젤의 팽윤도($V/V_o$)도 크게 변화하였다. UV 광중합 시 $20^{\circ}C$에서는 속이 꽉찬 형태의 하이드로젤이 제조되었으나 LCST보다 높은 $40^{\circ}C$의 온도에서는 공동입자에서와 같이 하이드로젤의 외벽이 두껍게 형성되었다. 가교제인 MB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가교도 및 입자 내 PNIPAAm의 밀도도 함께 증가하였다.

나노에멀젼 형성에서의 혼합 경로와 온도의 영향 (Effect of Mixing Route and Temperature on Formation of Nanoemulsions)

  • 조완구;김은희;장선일;조병옥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87-39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농도의 유동파라핀/ Span 80-Tween 80/ 정제수로 구성되는 조성물을 혼합 경로와 온도에 따라 형성되는 에멀젼 상태를 비교하였다. 3성분계도상에서 최종 조성에 이르는 혼합경로는 세 가지로 구성하였다. 혼합 경로에 따라서 제조된 에멀젼의 평균 입자크기는 큰 차이를 보였으며 제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도 에멀젼의 입자크기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혼합 온도보다는 혼합 경로에 따른 영향이 더욱 컸다.

폴리에톡시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를 함유한 입방상 액정 젤 및 큐보좀의 제조 및 평가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Cubic Liquid Crystalline Phase Gel and Cubosome containing Polyethoxylated Retinamide)

  • 경기열;지웅길;조완구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7권2호
    • /
    • pp.85-94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stable delivery systems containing polyethoxylated retinamide(PERA) - derivatives of retinoic acid, effective anti-wrinkle and anti-acne agent. Cubic liquid crystalline phase gel (CLCPG) and cubosomes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PERA were prepar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Furthermore, stability and transdermal absorption efficacy of the CLCPG containing PERA were investigated in comparison with oil-in-water (O/W) emulsions which are predominantly used as a topical formulation. CLCPG increase the stability of PERA in comparison with O/W emulsion. For tropical application, CLCPG containing PERA shows higher moisturizing effect than that of O/W emulsion. In skin permeation test, CLCPG shows higher PERA deposit on epidermis. With its specific physicochemical property caused by the glyceryl oleate, CLCPG itself could be used for stabilizer of various actives and applied as an effective delivery system for topical application. Cubosome, nano-sized dispersed CLCPG, is also expected to be applied in a various field of industry like food,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Exopolysaccharides Produced by Marine Bacterium Zoogloea sp. KCCM10036

  • Lim, Dong-Jung;Kim, Jong-Deog;Kim, Min-Yong;Yoo, Sang-Ho;Kong, Jai-Yu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6호
    • /
    • pp.979-984
    • /
    • 2007
  •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exopolysaccharide (EPS) produced by marine bacterium Zoogloea sp. KCCM10036 were investigated. Two types of isolated EPSs were shown to have average relative molecular masses $(M_r)\;of\;4.07{\times}10^6$ of CBP (cell-bound polysaccharide) and $3.43{\times}10^6$ of WSP (water-soluble polysaccharide), respectively. When the CBP was utilized as an emulsifier, it stabilized the emulsifier, for up to 148 h. Compared with other commercially available hydrocolloids such as xanthan gum, the Tween series, and Triton, the CBP showed much better emulsifying capability on a water-in-oil system. Phase separation occurred in the Tween series after 24 h, whereas the emulsion was better stabilized by the CBP. The CBP thus has potential as an emulsifying agent in commercial emulsions. The flocculating activity was also greatest at 0.01% (w/v) and decreased at higher concentrations than the optimized concentration of the WSP and CBP.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both types of expolysaccharides from Zoogloea sp. had excellent flocculating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