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ff-flavors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3초

Isolation of Off-flavors and Odors from Tuna Fish Oil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Roh, Hyung-Seob;Park, Ji-Yeon;Park, Sun-Young;Chun, Byung-Soo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6호
    • /
    • pp.496-502
    • /
    • 2006
  • Off-flavors and unfavorable odors in tuna fish oil were successfully removed and identified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while retaining variable compounds, poly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EPA (eicosapentaenoic acid) and DHA (docosahexaenoic acid). Samples of oil were extracted in a 100 mL semi-batch stainless steel vessel under conditions which ranged from 8 to 20 MPa and $20\;to\;60^{\circ}C$ with solvent ($CO_{2}$) flows from 10 g/min. GC-MS was used to identify the main volatile components contributing to the off-flavors and odors which included 2-methyl-1-propanol, 2,4-hexadienal, cyclopropane, and octadiene. Analyses of oil extracted at $40^{\circ}C$, 20 MPa showed a 99.8% reduction in dimethyl disulfide. Other significant off-flavors identified were 2-methyl-butene, 3-hydroxy butanal and ethylbenzene.

Determination of volatile compounds by head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 -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Quality evaluation of Fuji apple

  • Lee, Yun-Yeol;Jeong, Moon-Cheol;Jang, Hae Won
    • 분석과학
    • /
    • 제30권2호
    • /
    • pp.68-74
    • /
    • 2017
  • The volatile components in 'Fuji' apple were effectively determined by a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HS-SPME) combined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 total of 48 volatile components were identified and tentatively characterized based on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MS spectra library and the Kovats GC retention index I (RI). The harvested Fuji appl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methylcyclopropene (1-MCP) treated and non-treated (control) samples for finding important indicators between two groups.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of both apples were 2-methylbutyl acetate, hexyl acetate, butyl 2-methylbutanoate, hexyl butanoate, hexyl 2-methylbutanoate, hexyl hexanoate and farnesen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se major compounds between 1-MCP treated and non-treated apples were observed during 1 month storage. Interestingly, the amount of off-flavors, including 1-butanol and butyl butanoate, in 1-MCP treated apples decreased over 5 months, and then increased after 7 months. However, non-treated apples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for off-flavors during 7 month storage (p<0.05). The non-treated apples also contained the higher levels of two off-flavors than 1-MCP treated apples. These two compounds, 1-butanol and butyl butanoate, can be used as quality indicators for the quality evaluation of Fuji apple.

필름 포장된 콩나물의 유통 중 축적되는 이취의 종류 및 발생 특성 (Characterization of Off-flavors from Film-Packed Soybean Sprouts)

  • 조경심;김용호;이영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20-226
    • /
    • 2006
  • 필름 포장 상태로 유통되는 콩나물의 주요 상품성 저하 원인 중 하나인 이취의 종류 및 발생 조건 등을 구명하고자 수행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나물은 저장 온도가 높을 수록 호흡속도가 증가하여 $O_2$의 빠른 소모와 높은 농도의 $CO_2$ 축적 및 알콜취, 이취의 발생 촉진을 가져왔다. 2. 알콜취는 이취에 앞서 발생하였으며 EtOH은 이취와 유사한 시점에서 GC를 이용한 검출이 가능하였다. 3. 이취의 발생 한계 $O_2$ 농도는 $1{\sim}2%$ 수준으로, 알콜취의 발생 한계 $O_2$ 농도는 $4{\sim}2%$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이취 기체 내에는 다양한 종류의 aldehyde류 및 fatty acid류가 동정되었다.

압출성형 무청 분말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 함량 증가 및 이취 감소 (Increase in Anti-Oxidant Components and Reduction of Off-Flavors on Radish Leaf Extracts by Extrusion Process)

  • 성낙윤;박우용;김이은;조은지;송하연;전형광;박재남;김미환;류기형;변의홍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769-1775
    • /
    • 2016
  • 무청은 무의 지상부 엽채를 말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건조하여 국이나 나물로 조리하여 이용하였고, 영양학적으로 35% 이상의 식이섬유 및 20% 내외의 단백질, 철분 및 칼슘 등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무청의 주요 성분인 글루코시놀레이트는 가공과정 중 발생하는 이취에 주된 원인물질이며, 이러한 이취는 무청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데 제한적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압출성형 조건에 따른 무청 분말의 항산화 활성 및 이취성분 변화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압출성형 독립변수 중 배럴 온도, 스크류 회전속도 및 수분함량을 조절하여 압출성형 무청 추출물의 추출 수율, 총폴리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총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 및 이취 성분을 분석하였다. 추출 수율 및 항산화 활성은 배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압출성형 최적조건인 배럴 온도($130^{\circ}C$), 스크류 회전속도(250 rpm) 및 수분함량(20%)에서 총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은 일반 무청 분말보다 약 1.5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황화합물의 함량 변화에 관한 정확한 성분을 분석한 결과 압출성형공정은 무청의 이취물질(methyl mercaptan, dimethyl sulfide, carbon disulfide, dimethyl disulfide 및 dimethyl trisulfide) 함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무청의 이취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Effect of Charcoal Broiling on the Forma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Gamma-Irradiated Dakgalbi, a Korean Chicken-Based Food

  • Kang, Geon-Ok;Yoon, Young-Min;Kim, Jae-Kyung;Song, Beom-Seok;Byun, Eui-Baek;Kim, Jae-Hun;Lee, Ju-Woon;Park, Jong-Heum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603-60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nge of volatile compounds in Dakgalbi cooked by charcoal broiling. Fresh deboned and marinated chicken meat was cooked by electric-pan frying or charcoal broiling and subsequently irradiated with a dose of 0, 10 and 20 kGy. Volatile components from Dakgalbi were analyzed using solid phase micro-extraction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SPME GC-MS) and identified through the comparison of mass spectrum database. SPME GC-MS analysis shows that a total of 32 volatiles were identified. Among them, aldehydes such as hexanal and octanal, which have relevance to off-flavors such as green, paint, metallic, bean and rancid were detected in Dakgalbi cooked by both methods. However, the contents were less detected in the Dakgalbi cooked by charcoal broiling than in the Dakgalbi cooked by electric-pan frying. Gamma-irradiation caused the change in the formation of these aldehydes in cooked Dakgalbi. The irradi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ntents of hexanal and octanal in Dakgalbi cooked by electric-pan frying and a similar increase was found in Dakgalbi cooked by charcoal broiling. However, the contents of the off-flavors were much less in the latter. The results suggest that charcoal broiling might be more effective than electric-pan frying for the reduction of the contents of off-flavor such as hexanal and octanal increased in Dakgalbi by gamma-irradiation.

청국장과 김치에서의 이취 발생과 저감화 (The Reduction of "Off-flavor" in Cheonggukjang and Kimchi)

  • 홍은정;김영준;노봉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4-333
    • /
    • 2010
  • Off-flavor in foods and in raw materials is quite concerning, as it could signify deeper-rooted problems. Methods of reduction of "off-flavors" in traditional food such as Cheonggukjan and Kimchi, and in raw materials of soybean paste were studied by means of a literature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major components of "off-flavor" were due to butyric acid, valeric acid, alkylpyrazines, ammonia, and sulfides for Cheonggukjang, and for Kimchi were sulfur containing components such as methyl allylsulfide, dimethyl disulfide, diallyl disulfide, methyl allyl trisulfide, methyl 2-propenyldisulfide, dipropenyldisulfide. There is a demand for a scientific and systematic approach in overcoming the "off-flavor" problem. Nutritional aspects and safety should be considered. Several methods have been attempted, such as masking, binding, improving cooking process, inhibiting rancidity, and controll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 Methods of masking were the most frequently ones used for the reduction of "off-flavor", and in some cases, othertechniques were additionally applied. The masking method would be useful in the reduction of "off-flavor" in traditional Korean foods, i.e. Cheonggukjang, Kimchi, as well as in new product development.

시판 유제품을 이용한 자숙 게육의 이취 저감화 (Reduction of Off-flavors in Steamed Crab Meat Using Dairy Products)

  • 정효연;김정선;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45-349
    • /
    • 2015
  • 자숙 게살을 우유, 두유, 요구르트, 카세인에 침지하여 유제품의 이취 제거효과를 전자코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해보았다. 우유와 자숙 게살의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이취저감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두유, 요구르트와의 반응에서 또한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우유, 두유, 요구르트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2차원 막대그래프로 표현하여 나타내었을 때 요구르트에 비해 우유와 두유에서 이취 저감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제품의 주요 단백질 성분인 카세인과 반응에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자숙 게살의 이취 성분이 유제품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이취제거 효과가 나타났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토대로 일반가정에서 활용되고 있는 우유에 생선 및 게살을 재워 비린내를 제거하는 방법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가정에서 손쉽게 유제품을 활용하여 이취저감화가 가능할 것이고 자숙게살의 품질관리 및 조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효율적인 2-Methylisoborneol, Geosmin의 제거를 위한 Pulsed UV 공정과 Ultrasound 공정의 비교 연구 (A Study of Efficient Removal of 2-Methylisoborneol and Geosmin by Pulsed Ultraviolet and Ultrasound)

  • 한종훈;허지용;김강욱;이준영;박원석;이종열;허남국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0권4호
    • /
    • pp.1-7
    • /
    • 2015
  • The degradation of off-flavors which is 2-Methylisoborneol (2-MIB) and geosmin by means of ultrasound (US) and pulsed ultraviolet (PUV) irradiation and its combination with catalyst (wire mesh, wire mesh coated TiO2, and TiO2) and additive (H2O2) were investigated via water system. A combination treatment of TiO2 and H2O2 heterogeneity with US (24 kHz) and PUV (6000 W) has shown improved results in destroying 2-MIB and geosmin, which may be attributed to chain reactions by the enhanced formation of hydroxyl radicals (·OH) through H2O2 dissociation and reactive oxide ions of TiO2 addition. Rapid degradation of off-flavors occurred within 2 min under PUV process with H2O2 100 mg/L (81.5% for 2- MIB; 79.3% for geosmin) and TiO2 100 mg/L (83.7% for 2-MIB; 79.8% for geosmin), while compared with H2O2 100 mg/L (58.4% for 2-MIB; 58.0% for geosmin) and TiO2 100 mg/L (59.2% for 2-MIB; 38.5% for geosmin) within 5 min under US process. Surprisingly, the emphasis was given on the comparison with the same injected energies between PUV and US on degradation efficiency. Based on the injected energy comparison, the US provided better degradation performance under equal input power of 200 kJ with H2O2 100 mg/L, while compared with H2O2 100 mg/L under PUV process. Our findings suggest that US can be more effective compared to PUV for the degradation of off-flavors in aspect of energy consumptions.

과추출에 의한 커피의 이취성분 분석 (Analysis of Off-flavor Compounds from Over-extracted Coffee)

  • 이진성;김민선;신호재;박기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48-360
    • /
    • 2011
  • 연속적으로 추출한 커피액을 단계별로 일정량 취하여 관능검사를 실행한 결과 고형분의 함량을 시료별로 동일하게 희석하였음에도 에스프레소 추출의 경우 30 mL 이상, 드립커피에서는 200mL 이상 추출한 경우 향미는 감소하고 이취는 증가하여 과추출이 시작됨을 인지할 수 있었다. 이는 추출 단계별로 고형분 성분의 조성비의 변화가 있음을 의미하며 GC/MS로 성분비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4-ethylguaiacol은 통계분석 시 이취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유효 향기성분인 동시에 커피의 재료, 배전도, 추출 방식에 상관없이 추출이 경과함에 따라 성분비가 직선에 가까운 상승비를 보이므로 과추출을 나타내는 지표 물질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Guaiacol과 4-vinylguaiacol은 이취와 통계적으로 높은 연관성을 보인 4-ethylguaiacol에 비해 향기 인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ordor threshold value가 낮고 피크 면적 %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과추출로 인한 이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 성분이 과추출 인지점 이후 증가하는 피크 면적 %를 보이는 것은 세포벽을 구성하는 섬유질의 탄 맛이 일정량 계속 침출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인스턴트커피 및 농축 커피 용액 제조 시 관능검사 결과와 함께 GC/MS로 4-ethylguaiacol의 피크 면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면 용액의 추출수율과 관능적 품질 선호도 즉 경제성과 품질을 최적화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톳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고추장의 영양학적 특성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Added With Fermented Extracts of Hizikia fusiforme)

  • 김진희;송호수;양지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3-478
    • /
    • 2012
  • 톳 발효 추출물을 첨가하여 개량식 방법으로 고추장을 제조하고 이에 따른 성분분석을 측정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에서 톳 발효 추출물 첨가 고추장 및 일반 고추장을 비교하였을 때 조단백, 조지방 및 탄수화물등은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미노산 분석 결과 총 아미노산 함량은 톳 발효 추출물 첨가 고추장이 15,929.5 ng/mg이며 일반 고추장이 14,965.6 ng/mg으로 톳 발효 추출물 첨가 고추장이 일반 고추장에 비해 더 높았다. 아미노태질소분석시 일반 고추장의 경우 1044.80 mg%로 나타난 반면에 톳 발효 추출물 첨가 고추장의 경우 1715.88 mg%로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일반 고추장과 톳 발효 추출물 첨가 고추장의 식염은 각각 15.97%, 6.12%로 나타났으며 무기질은 톳 발효 추출물 첨가 고추장이 칼슘이 더 많았으며, 나트륨 함량은 일반 고추장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