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ors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4초

Pseudo Inverse를 이용한 악취분류와 악취원 분석 (Odor Classification and Source Analysis using Pseudo Inverse)

  • 유숙현;박상진;구윤서;권희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171-118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특정 시점, 특정 장소의 대기 중에 발생하는 악취의 발생원을 추적하기 위한 악취분류 및 악취원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악취원별 대표패턴의 생성이 필요하다. 이에 주요 악취원에서 측정한 67개의 악취를 악취 대표패턴으로 생성하였다. 또한, 여러 악취가 대기 중에서 섞였을 경우를 고려하여 2~3개의 악취들을 조합하여 복합 악취 대표패턴을 생성하였고, pseudo inverse method를 이용하여 악취에 대한 악취원들의 가중치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해당 악취를 발생시킨 악취원들과 악취에 대한 기여도를 알아낼 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성과는 악취 관련 민원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Isolation of Off-flavors and Odors from Tuna Fish Oil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Roh, Hyung-Seob;Park, Ji-Yeon;Park, Sun-Young;Chun, Byung-Soo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6호
    • /
    • pp.496-502
    • /
    • 2006
  • Off-flavors and unfavorable odors in tuna fish oil were successfully removed and identified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while retaining variable compounds, poly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EPA (eicosapentaenoic acid) and DHA (docosahexaenoic acid). Samples of oil were extracted in a 100 mL semi-batch stainless steel vessel under conditions which ranged from 8 to 20 MPa and $20\;to\;60^{\circ}C$ with solvent ($CO_{2}$) flows from 10 g/min. GC-MS was used to identify the main volatile components contributing to the off-flavors and odors which included 2-methyl-1-propanol, 2,4-hexadienal, cyclopropane, and octadiene. Analyses of oil extracted at $40^{\circ}C$, 20 MPa showed a 99.8% reduction in dimethyl disulfide. Other significant off-flavors identified were 2-methyl-butene, 3-hydroxy butanal and ethylbenzene.

섬유유연제 향에 대한 주관적 선호도와 감성 평가 (Assessment of Subjective Preference and Sensibility Structure of Fabric Softner Odors)

  • 권수애;이은경;최종명
    • 감성과학
    • /
    • 제8권2호
    • /
    • pp.129-135
    • /
    • 2005
  • 본 연구는 섬유유연제 선택기준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향에 대한 주관적 선호도와 감성구조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로 다른 향을 가진 섬유유연제 12종을 선정하여 일차적으로 선호도를 3단계로 평가하도록 하였고, 각 단계별로 빈도가 가장 많은 향을 2종씩 골라서 최종 6종의 향(후리지아, 블루비앙카, 바이올렛, 허브, 그린티, 피치)이 함유된 섬유유연제를 선정하여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주관적 선호도에서 가장 선호된 향과 가장 선호하지 않은 향 두 종류에 대해서 감성을 평가시켰다. 그 결과 가장 선호하는 섬유유연제 향은 후리지아 향이었고 피치 향은 가장 선호하지 않는 향이었는데, 선호하는 향의 순서와 선호도는 성별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후리지아 향과 피치 향의 감성구조는 다르게 평가되었다.

  • PDF

향 감성평가 척도개발 및 향 감성구조 분석 (Development of an Emotion Scale and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Emotion Induced by Odors)

  • 손진훈;박미경;이배환;민병찬
    • 감성과학
    • /
    • 제5권1호
    • /
    • pp.61-7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향 감성을 측정할 수 있는 향 감성평가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향의 감성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향 감성평가 척도제작을 위해 향 감성관련 형용사를 수집한 다음, 37개의 향 감성 형용사를 선발하여 양극 7점 척도로 구성된 척도를 작성하였다. 304명의 실험 참여자는 집단실험에 참여하여 향 감성을 평정하였다.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2주 후에 동일한 절차와 조건에서 53명의 실험 참여자를 대상으로 재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높고 요인부하가 한 요인에 많이 차지하는 25개의 형용사를 최종 선택하여 양극 7점 척도로 이루어진 향 감성평가 척도를 제작하였다. 실험 참여자는 10대, 20대, 30∼40대 남녀 각각 24명씩으로 개별 실험을 통해 cederwood oil, peppermint oil, rose oil, grapefruit oil, teebaum oil의 다섯 가지 향에 대한 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향 감성구조는 '심미성', '강도', '낭만성', '자연성', '개성'의 다섯 요인으로 구성되었음을 밝혔다. 연령에 따른 향 감성구조는 유사하였으나 향 종류별 감성구조는 약간 다르게 나타났다.

  • PDF

Causal relationship study of human sense for odor

  • Kaneki, N.;Shimada, K.;Yamada, H.;Miura, T.;Kamimura, H.;Tanaka, H.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7-260
    • /
    • 2002
  • The impressions for odors are subjective and hav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is study, the Impressions of odors were investigated by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46 subjects (men in their twenty) recorded their reactions to ten odorants by grading them on a seven-point scale in terms of twelve adjective pairs. Their reactions were quantified by using factor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factors were extracted as "preference", "arousal" and "persistenc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most suitable causal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s). Each group had different causal relationship and different impression structure for odors. It was suggest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o evaluate the subjective impression of odor using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PDF

대규모 아파트 단지주변 하수관로의 악취 발생과 대책 1: 주거지역 하수관로의 악취 발생 특성 (The Foul Smelling from Sewer Pipe near Large Apartment Complexes and its Countermeasures I: Characteristics of the Foul-Smelling Sewer Pipe in Residential Areas)

  • 이장훈;강선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21-629
    • /
    • 2007
  •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l smell of sewer pipes near large apartment complexes as complaints about offensive odors have drastically increased in urban residential areas. Targeting apartments where people actually complained about foul orders, the study result revealed that components in the smell of the water-purifier tank of the target apartment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sewage treatment plants and night soil treatment plants. Measuring components of odors inside the management layer of tank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sulfide was 10ppm, which is approximately 160 times the safety standard of 0.06ppm; the concentration of mercaptan was 0.9ppm, which is about 220 times the safety standard of 0.004ppm. The source materials of foul odors were discharged outside through ducts, and those households living near outlets producing bad smell complain that it gets worse depending on the air pressure or wind direction and strength, and they could not even open windows. As well, these source materials were transferred by discharge pumps to public sewer pipes outside the apartment complex. While discharge pumps starts operating, they remain on the sewer pipe and then begin to spread over to roads through small openings of manholes on the road. Then, the smell offends passers-by and residents near the road, leading to a lot of complaint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among the sources of foul odors in sewer pipes of residential areas, especially those from the water-purifier tank of large apartments, hydrogen sulfide should be the main target for follow-up treatment.

전자코를 이용한 살모넬라 식중독균 판정 (Identification of Salmonella Pathogen Using Electronic Nose)

  • 김기영;이민욱;이강진;최규홍;노광모;강석원;장영창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0권2호
    • /
    • pp.121-126
    • /
    • 2005
  • In this study, a commercial electronic nose system was used to detect contamination of Salmonella bacteria. Odors from growth media contaminated with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or Escherichia coli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evaluate a possibility of rapid detection of pathogen. Odor chromatograph showed that S. typhimurium, S. enteritidis, and E. coli had 7,6, and 9 main peaks, respectively. Retention time and intensity of the peaks were distinct for different bacteria speci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ere also performed to clarify odor difference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odors for uncontaminated growth medium were differently grouped from the odors of contaminated one. The odor from the bacteria growth identified with two principal components, PC 1 and PC2. In PCA figures, odor groups were moved from left to right of PC 1 with elapse of the bacteria growth time. The electronic nose system could detect odors of S. typhimurium, S. enteritidis, E. coli when their concentration were $1.85\times10^6\;cfu/g,\;2.25\times10^6\;cfu/g,\;and\;1.8\times10^5 cfu/g$, respectively.

사회적 배제와 따뜻한 향 선호 (Social Exclusion and Preference for Odors Perceived to be Emotionally Warm)

  • 이국희
    • 감성과학
    • /
    • 제21권4호
    • /
    • pp.11-24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가 물리적 따뜻함을 추구하게 만든다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사회적 배제가 감성적 따뜻함을 추구하게 만들고, 감성적 차가움을 회피하게 만들 것이라는 예측을 향 감성을 사용하여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차가운 감성으로 지각되는 향과 따뜻한 감성으로 지각되는 향을 선정하기 위한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집단과 통제 집단의 향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두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따뜻한 향에 대한 선호가 강한 반면, 차가운 향에 대한 선호는 약했다.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가 물리적 따뜻함을 추구하게 만드는 현상을 감성적 차원으로 확장했다는 측면과 선행연구에서 간과해 왔던 차가움을 회피하게 하는 현상까지 관찰했다는 측면에서 이론적으로 중요하다. 또한 컴포트 푸드, 인물 감성, 공간 감성 디자인, 인공지능 채팅봇의 감성 등에도 실용적 시사점을 가진다.

영상실감을 위한 유사성 기반 대표냄새 사용의 제안 (Suggestion of Similarity-Based Representative Odor for Video Reality)

  • 이국희;최지훈;안충현;이형철;김신우
    • 감성과학
    • /
    • 제17권1호
    • /
    • pp.39-52
    • /
    • 2014
  • 영상실감을 위한 시각과 청각의 이용은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다. 그러나 후각을 이용한 영상의 실감증대는 기술적 한계와 기초연구의 부족으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영상에 필요한 냄새를 각각 구현하는 것은 반드시 해결해야하는 과제이다. 한 가지 방법은 유사한 냄새들의 군집을 발견하여 각 군집의 대표냄새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서로 유사한 다양한 냄새를 포괄하는 냄새군집을 발견하여 각 군집의 대표냄새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냄새 간 쌍유사성 평정에 근거하여 영상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냄새의 군집을 탐색하였다. 먼저 300개의 다양한 냄새를 수집하여 11개의 범주로 구분한 후 각 범주별로 빈도, 선호도, 구체성에 근거하여 152개의 냄새를 선별하였다. 참가자들은 선별된 냄새로 구성 가능한 1,018개의 냄새쌍에 대해 유사성 평정을 실시하였고 이 결과는 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MDS)으로 분석하였다. 냄새들의 구체성이 낮을수록 대표냄새의 사용이 용이할 것이라는 판단 하에 MDS 결과를 냄새 구체성이 낮은 순서부터 높은 범주순서로 제시하였다. 즉 꽃, 식물, 과일, 채소범주는 냄새 구체성이 낮아 대표냄새 사용이 용이할 것 같은 범주로 (그림 1), 화학제품, 개인생활용품, 생리적 냄새, 일상적 장소는 구체성이 높은 것과 낮은 것이 섞여 있어 대표냄새 사용에 신중해야하는 범주로 (그림 2), 식재료, 음료, 음식은 구체성이 높아 대표냄새 사용에 어려운 범주로 (그림 3)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냄새제작 비용과 시간을 줄이고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가격의 실감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Biofilter에 의한 VOCs 및 악취물질의 제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VOCs and Odors with Biofilter)

  • 박진도;서정호;이학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9호
    • /
    • pp.843-849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moval efficiencies ofVOCs and odors with newly developed biofilter which was designed to sustain the biofilm constantly on the packed media. Initially, four types of media, for example, fiber, activated carbon, ceramic and the mixture of activated carbon and ceramic(AIC mixture J, were used for packed materials of biofilter. When ethylalcohol was selected as a test gas for media efficiency, fiber and AIC mixture had better removal efficiencies of ethyl alcohol than others. Removal efficiencies for acetaldehyde, ethyl alcohol, butylalcohol, ethylacetate and diethylamine in biofilter with fiber and AIC mixture as packed media were increased as the residence time increased. Butylalcohol, especially, showed the maximum removal efficiency among all used VOCs and odors. In case of ethyl acetate, the difference of removal efficiencies between low and high residence times was wide remarka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