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dor treatment

검색결과 427건 처리시간 0.031초

GC/FPD를 이용한 환경기초시설 폐기물의 대기중 황계열 악취물질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Major Reduced Sulfur Gases Emitted from Wastes Stored in Environmental Facility Using GC/FPD)

  • 이태윤;이제근;이준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37-43
    • /
    • 2009
  • 우리나라는 경제발전과 더불어 하수종말처리장과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의 수가 꾸준히 증가해왔다. 이들 시설들은 상수원 수질보전과 음식물쓰레기 재활용과 같은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지만 한편으로는 심각한 악취문제를 유발해 인근주민들의 쾌적한 생활을 해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환경기초시설에서 발생되고 있는 탈수슬러지케잌 및 음식물쓰레기샘플을 채취, 황화수소 발생 가능량을 예측함과 동시에 발생 가능량이 많을 것으로 나타난 1개 시료를 선정하여 실험실 규모의 Flux Chamber 실험을 통해 대기 시료를 포집하여 GC/FPD분석을 실시, 혐기성 상태일 때 이들 처리장폐기물에서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황계열 악취물질에 대한 배출농도 측정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황화수소발생량이 가장 많은 시료는 녹산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샘플로 농도가 156.18mg/kg이었고, GC/FPD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악취농도지수(Odor Quotient)를 산정해 본 결과 개별 악취물질중 $CH_3SH$(methylmercaptan)이 총악취농도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47.3%로 가장 주요 악취원인물질로 나타났다.

  • PDF

부산수영하수처리장 하수와 음식물쓰레기 병합처리 시 공정별 악취특성 및 후처리시설 효율평가 (Removal Efficiency of the Deodorization Equipment and Characteristics of Malodor during the Process in Co-treatment of Sewage and Food Waste of Su-young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Busan)

  • 이형돈;강대종;이민호;강동효;오광중
    • 청정기술
    • /
    • 제18권4호
    • /
    • pp.379-389
    • /
    • 2012
  • 우리나라는 소득증가, 도시집중화, 인구증가로 인해 환경적인 문제에 대해 점점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환경문제 중 악취로 인한 피해는 심각한 환경문제 중 하나이다. 부산시 수영하수처리장 내 음식물처리장은 음식물과 하수를 병합처리하는 시설로 주거지역 인근에 위치해 있어 많은 민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악취물질분석과 기여도를 악취지수(odor quotient, OQ)와 총악취지수(sum of odor quotient, SOQ)를 평가하여 분석하였으며, 또한 후처리시설인 바이오필터의 효율을 평가하였다. 공기희석관능법에 의한 복합악취 측정결과, 7월과 8월에 분쇄기, 투입호퍼, 침출수 순으로 복합악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기분석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황화수소,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메틸메르캅탄의 경우, 최소감지농도를 3,571배 이상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악취기여도평가에서 메틸메르캅탄(49.95~59.08%), 황화수소(20.43~29.27%), 트리메틸아민(8.82~13.42%), 아세트알데히드(9.17~11.35%)순으로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시설과의 기여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황화합물(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의 OQ가 가장 높았으며, 분쇄기에서 SOQ가 7,067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황화합물과 아세트알데히드, 트리메틸아민의 악취기여도가 분쇄공정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시설의 후처리시설에 대한 처리효율을 평가한 결과, 암모니아, 아민류는 90.00% 이상의 처리효율을 보였으나, 황화합물류의 처리효율은 평균 53.51%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본 시설은 기타 처리시설에 비해 아세트알데히드와 트리메틸아민의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식물처리장의 후처리시설은 복합적인 악취성분 처리 시 분해효율이 감소할 수 있어 적절한 용량 및 운전조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악취원인물질의 규명 (Measurement of odor compounds from odorous emissions source of Industrial Complex)

  • 안상영;최성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1-89
    • /
    • 2005
  • As a typical example of simultaneous analysis of the odorous compounds,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inventory sources in Seongseo industrial area were concentrated and analyzed with thermal desorber/GC/MSD, and major malodorous compounds were estimated. Odor intensity and odor concentration was analyzed simultaneously During a period from November in 2002 to December in 200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malodor emission characterization in major treatment facilities. The major components were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Methyl mercaptane, Ammonia, Benzene, Toluene, m,p-xylene, o-xylene, Styrene, 1,2,4­T.M.B and 1,3,5-T.M.B. Among the six major inventory sources, the odor unit concentration of Night-soil disposal facilities was the highest, $669\~2344\;ou/m^{3}.$

SOB(Sulfur Oxidizing Bacteria) Media가 정화조의 수중황화수소 제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OB(Sulfur-Oxidizing Bacteria) Media on the Removal of Hydrogen Sulfide in Water of Septic Tank)

  • 송호면;조정일;김택수;권수철;유형식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9-67
    • /
    • 2013
  • The odor occurring in the sewage system induces the displeasure, the disgust such as the headache, the vomit, etc. and increases the spiritual stress and disturbs the pleasant life of residents. These odors occur mainly in the area of combined sewage system treatment, being created in the personal sewage treatment plant such as septic tank and are incoming to sewage pipes and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nhole and the receiver, etc.; and this causes odors to the people. The Hydrogen Sulfide, the Methyl Mercaptan, the Ammonia, etc. are materials causing the odor, the more serious issue of odor is occurring since the septic tank of degradation process is being applied. The primary cause of odor is the decomposition of human feces in the septic tanks and sewage disposal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duction of hydrogen sulfide using air supplying and SOB(Sulfur-Oxidizing Bacteria). As a result of this study of the air supply system and the SOB media equipment by air supply, in case the air is injected to SOB media compared to the injection of air only, the removal efficiency the hydrogen sulfide was average 3.4 times higher.

분말활성탄(PAC)+막여과(MF) 조합공정에서 PAC의 영향 평가 (Assesment of Powdered Activated Carbon Effect on PAC+MF Hybrid Membrane Process)

  • 김병수;왕창근;임재림;김충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17-522
    • /
    • 2008
  • This study aims at an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taste & odor removal and transmembrane pressure changes in a pilot membrane plant(500m3/day) by adding PAC to MF process, and at providing a basis for applying it to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 The transmembrane pressure showed, in low turbidity of raw water, a tendency to decrease when PAC was injected at the Flux of 1, $1.5m^3/m^2{\cdot}d$, while it increased in high Flux($1.5m^3/m^2{\cdot}d$) in high turbidity of raw water. in addtion, it is shown that the fouling could be reduced more when PAC is injected together with appropriate amount of coagulant, than when PAC is solely injected. Taste & Odor-causing 2-MIB may not be detected in membrane filtered water, if the amount of PAC injection i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2-MIB. Hence, PAC injection, as a pre-treatment process in MF membrane filtering, is supposed to be a suitable process for reducing fouling as well as for improvement effectiveness of taste & odor treatment.

A Study on Ways to Improve the Smell of Pig Barn

  • Min-Jae JUNG;Su-Hye KIM;Young-Do KIM
    • 웰빙융합연구
    • /
    • 제6권2호
    • /
    • pp.9-13
    • /
    • 2023
  • Purpos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make a technical proposal to solve the odor problem in pig houses.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suggest an effective way to reduce the odor generated in the pig house as a solution to civil complain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Conduct direct visits to pig farms where many civil complaints about bad odor occur, and identify the problems of each farm. Identify elements related to odor control, such as structure, facility, equipment, odor management method, and ventilation type. Through this, the technology to be applied to reduce odor and the solution to the odor problem are presented. Results: The results of major improvements are as follows: 1. Improvement of the structure of the barn or composting shed to an airtight type 2. Improvement of the pig manure treatment structure using the slope inside the barn 3. Establishment of ventilation and cooling systems 4. Automation of the mist spray system. Conclusions: As a result, as practical measures, sealing of facilities using winch curtains, construction of air conditioning systems using negative pressure ventilation, and management systems using AIoT systems were presented. It is judged that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determining the grievances caused by civil complaints of tenant livestock farms and the direction of facility improvement in the future.

생물반응기를 도입한 돈분뇨의 생물학적 처리공정에서 악취발생 특성 및 미생물동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dor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of Microbial in Biological Swine Manure Treatment Process by Bioreactor)

  • 고준일;박귀환;배주순;오길영;정선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526-532
    • /
    • 2015
  • 유기성폐수 처리공정에서 악취발생농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양돈분뇨 처리공정에 pellet과 stone을 충진한 생물 반응기를 도입하고 대조시설로서 생물반응기를 도입하지 않는 활성슬러지법 공정과 비교하여 반응조 운전상태, 처리수질, 악취발생농도를 측정하였다. 거품발생, 처리수 투시도 등에서 생물반응기를 도입한 반응조가 훨씬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BOD 제거효율도 우수하였다. 반면, 총질소(T-N), 총인(T-P) 제거효율은 두 개의 반응조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방류수 수질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고도처리를 하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악취는 암모니아성 질소, 암모니아 농도, 복합악취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생물반응기를 도입한 공정이 활성슬러지 공정보다 적게는 4배에서 최대 24배 이상 낮게 나타나 악취원인물질 발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디메틸설파이드, 디메틸디설파이드 농도는 각각의 반응조 모두 검출되지 않거나 5 ppb에 불과하였으며 두 반응조의 차이 또한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반응기 공정에서는 주로 Bacillus sp./ Pseudomonas sp. 종이 주를 이루고 활성슬러지 공정에서는 Bacterium sp. Chryseobacterium sp. 종이 주를 이루었다.

유해성 악취 최소화를 위한 슬러지 대체 처리기법 (Alternative Sludge Treatment Method for Hazardous Odor Minimization)

  • Son, Hyun-Keu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8권3호
    • /
    • pp.193-197
    • /
    • 2003
  • 슬러지로부터 발생하게 되는 인체에 유해하고 독성이 강한 악취물질들은, 대다수 슬러지내의 단백질, 탄수화물등의 물질들이 미생물의 호기성 및 혐기성 분해과정을 통해서 생성되는 유ㆍ무기 물질들을 포함하게 된다. 슬러지로부터 발생하는 주된 악취물질로서 hydrogen sulfide, methanethiol, dimethyl sulfide, dimethyldisulfide,dimethyltrisulfide등이 발견되어졌는데 이 다섯 종의 악취물질들은 모두가 황을 포함하는 물질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슬러지 악취의 강도 및 세기를 결정하고 비교하는 데 이용되어 질 수 있는 odor index(ODI)라는 방식이 제시되어졌다. 세가지 종류의 슬러지, 즉 hypochlorite 용액으로 처리한 슬러지와 향수 물질로 처리한 슬러지 및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슬러지 세 종류를 대상으로 30일이 넘는 기간동안 인체에 유해한 악취물질들에 대한 누적 odor index(ODI)값을 생성하여 비교하였다.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슬러지에서 가장 높은 odor index(ODI)값들이 나타났으며, 이것은 슬러지 처리에 있어서 심각한 단기 및 장기적인 유해 악취발생 문제가 야기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에 대하여 hypochlorite용액으로 처리한 슬러지로부터는 인체에 유해한 악취 발생을 처리 즉시부터 30일이 넘는 기간동안 측정한계치 이하 단계로 낮출 수 있었다.

반월.시화공단 주변 주거지역의 악취현황 및 황화합물의 체감도 (The Concentrations of Sulfur Compounds and Sensation of Odor in the Residential Area Around Banwol-Sihwa Industrial Complex)

  • 김종보;정상진;송일석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7-157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ourteen odor compounds from a total of 10 sampling sites in residential areas around Banwol-Sihwa industrial complex. The measurement data a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sensation of odor unit. Only a hydrogen sulfide out of four sulfur compounds was quantified above the detection limit (0.06 ppb) in the residential area around Banwol industrial complex with leather companies and a sewage treatment plant. The concentrations of VOCs were higher than those measured from a big city, and styrene showed th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from all sampling sites ($2.1{\sim}37.8\;ppb$). In the case of carbonyl compounds, acetaldehyde was found most frequently with the mean of 3.97 ppb, and its concentration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between Banwol and Sihwa industrial complex. Of the nitrogen compounds, ammonia was measured at th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from all the sampling sites ($12{\sim}707\;ppb$), and a trimethylamine was found at the odor threshold level (0.1 ppb). The concentrations of styrene and ammonia showed relatively seasonal variation, the concentration of styrene in summer was five times higher than that in autumn, the concentration of ammonia in autumn was two times higher than that in summer. However other odorous compounds did not show such strong seasonal variation. Odor-concentration relationship between odor unit and $H_{2}S$ concentrations from industrial sources was examined and used as odor sensation evaluation, and thus the neighbourhood odor complaints maybe caused during the four seasons from th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