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ak forest

Search Result 41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Inverse Relationship of Hemiptera Richness with Temperature in South Korea

  • Kwon, Tae-Sung;Jung, Sungcheol;Park, Young-Seuk
    • 생태와환경
    • /
    • 제54권2호
    • /
    • pp.102-107
    • /
    • 2021
  • The distribution pattern of species richness was determined by temperatu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emipteran richness and temperature, hemipteran species were collected using pitfall traps at six different oak forest sites with different annual mean temperatures in South Kore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mean annual temperature (MAT) and plant richness to evaluate differences in hemipteran richness. The influences of MAT and plant richness of study sites on hemipteran richnes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ree models (plant richness+MAT+MAT2, plant richness+MAT, and MAT) or two models (plant richness+MAT and MAT). Hemipteran richness showed an inverse diversity pattern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with higher species richness at lower temperature sites. Meanwhile, Aphididae showed a bell-shaped diversity pattern with the highest value at low medium temperatures.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emipteran richness was affected by temperature and plant richness in their habitats.

목질펠릿으로 제조한 탄화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harcoal from Wood Pellet)

  • 한규성;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15-21
    • /
    • 2006
  • 목질펠릿을 탄화하여 탄화물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밀도, 수율, 원소조성, 발열량, 메틸렌블루흡착량 등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목질펠릿은 현사시,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소나무, 졸참나무의 수피를 포함한 톱밥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목질펠릿으로부터 $0.5{\sim}0.7g/cm^3$의 고밀도 탄화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 탄화온도가 증가하면 탄화물의 탄소함량과 발열량이 증가하였다. 목질펠릿으로부터 얻어진 탄화물의 메틸렌블루 흡착 특성은 목재의 것과 거의 유사하였다.

미국산 활엽수재의 수요와 그 전망 (U.S. Hardwood Markets and Future)

  • 허남주;박재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65-71
    • /
    • 1988
  • 캐나다가 미국산 활엽수재의 가장 큰 수입국이며 수입된 일부 제재목과 수입원목으로 제조된 단판중 일부는 유럽으로 재 수출되고 있다. 수입 물량적인면에서 캐나다는 다른 국가와의 격차는 좁혀지더라도 미국산 활엽수재의 제1위 수입국의 위치를 당분간 유지할 것이다. 유럽에서의 제재목 수요가 1973년부터 1983년간의 10년간에는 급진적으로 증가 되었지만 1984년에 는 갑자기 감소되었다. 이와같은 현상은 과거 유럽 전통가구에 소재(素材)를 많이 사용했지만 현재는 소재(素材)를 적게 사용하고 단판이나 인쇄한 종이를 붙인 파아티클 보오드(PB)를 더욱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유럽지역에서는 가구의 크기를 줄이거나 가구에 사용되는 원자재의 비용을 줄임으로 제품의 가격을 싸게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경쟁력있는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할려고 하고 있으며 활엽수재의 가격이 너무 비싸 가구제조업체들은 소재(素材)를 다른 것으로 대체하고 보다 값싼 수종을 모든 지역에서 찾고 있는 중이다. 태평양 연안국가에서의 미국산 활엽수재의 수입 물량은 계속 증가되어 미국산 활엽수 총 수출 물량의 약 23% 정도 된다. 자유중국과 일본에서 미국산 활엽수재를 가장 많이 수입하고 있다. 자유중국은 주로 수출용 가구부품및 가구에 사용되는 red oak와 white oak 가 주 수종이고 가구는 미국으로 재 수출하고 있다. 일본은 주로 black cherry, yellow poplar와 cotton wood를 수입하는데 수입량의 약 67%는 대패질한 건조 가공품이다. 자유중국에서와는 달리 일본에서의 미국산 활엽수의 용도는 일본산 활엽수의 대체수종으로 허용되고 있다. 앞으로 일본에서의 미국산 활엽수재의 수요는 일본 국내시장의 요인에 의해 좌우될 것인데 한정된 물량의 일본산 활엽수재와 온대 활엽수재의 요구에 영향을 받을 것이다.

  • PDF

Anti-inflammatory Effect of Branches Extracts from Quercus mongolica in LPS-induced RAW264.7 Cells

  • Eo, Hyun Ji;Park, Youngki;Kang, Jin Taek;Park, Gwang H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98-704
    • /
    • 2019
  • Quercus mongolica (QM), which belongs to fagaceae, is one of the oak native to Korea. We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branches extracted with 70% ethanol of QM (QM-B) and elucidated the potential signaling pathway in LPS-induced RAW264.7 cells. The QM-B showed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ugh inhibition of NO production. The QM-B dose-dependently suppressed NO production by inhibiting iNOS, COX-2 and IL-6 expression in LPS-induced RAW264.7 cells. The QM-B inhibited the degradation and phosphorylation of IκB-α and NF-κB activation. The QM-B suppressed the phosphorylation of p38 and ERK1/2. Also, the QM-B increased HO-1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QM-B may utilize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suppressing NF-κB and MAPK signaling pathway and inducing HO-1 expression indicated that the QM-B can be used as a natural anti-inflammatory drugs.

열압밀화를 이용한 낙엽송의 표면경도 개선 (Surface Hardness Improvement of Larch Wood Using Thermal-Compression)

  • 황성욱;박상범;서진석;김종인;홍성철;이원희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60-466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urface hardness of thermally-compressed larch wood by compression set and temperature. The surface hardness of thermally-compressed larch wood increased with increasing compression set and temperature. For compression set 60%, the specific gravity was increased as 0.93. However, the surface hardness was lower value as 31.1 N/$mm^2$ compared with a similar specific gravity of the tropical timber. For density profile, less than compression set 40%, compression was observed mainly surface area. On the other hand, more than 50%, density profile variation was reduced by compression of central part.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mally-compressed larch wood can be replace some imported hardwoods such as oak or cherry. However, thermally-compressed larch wood was difficult to replace the tropical timber being imported in terms of surface hardness.

  • PDF

한국 버섯산업의 발전사 (History of Mushroom Industry in Korea)

  • 유창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
    • /
    • 2003
  • 한국의 버섯재배는 1960년대 초에 정부에서 농산물 수출과 농민의 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양송이와 표고의 증산계획을 세워 시작하였다. 농촌진흥청 산림청 등 국가 연구기관에서는 유전적 소질이 우수한 품종의 육성, 양질의 종균보급, 고품질 버섯을 대량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농민에게 재배기술을 교육하고 현지 지도를 하였으며, 재배시설비 등을 정책적으로 지원하였다. 재배방법이 개발되어 농가에서 대량으로 생산하기 시작한 버섯종류는 표고, 양송이, 느타리버섯, 팽이, 영지, 큰느타리버섯 등이다. 현재 버섯을 재배하는 농가는 약 2만호, 생 버섯의 총 생산량은 약 17만톤으로 느타리버섯이 가장 많고 다음이 팽이, 표고, 양송이 순으로 많다. 버섯의 총 농업생산액은 7,000억원을 넘으며, 연중생산이 가능한 농가의 중요한 소득작목으로 발전하였다.

  • PDF

낙엽송 톱밥을 이용(利用)한 표고버섯 재배(栽培)와 경제성 (Oak Mushroom Cultivation on Larch(Larix leptolepis Gorden) sawdust and its economic efficiency)

  • 민두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512-520
    • /
    • 1994
  • 이 연구는 낙엽송 목재를 톱밥으로 만들어 표고버섯의 균상재배를 함으로써, 목재이용률을 높이고, 버섯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방법과 경제성을 조사한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낙엽송 톱밥을 이용한 표고재배에서 참나무톱밥재배와 비교하여 볼 때 균사발육이나 버섯품질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낙엽송 톱밥재배는 종균접종후 6개월부터 제 1차기 버섯수확이 가능하면서 품질에 있어서도 각(各) 처리구간(處理區間)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낙엽송재의 Lignin함유량은 28.7-28.6%이었으나 버섯재배 폐(廢)잔사는 18.2%로 감소되었다. 그러나 1% NaOH 추출성분은 낙엽송재의 것은 30.4-34.4%이었으나 표고재배 폐(廢)잔사의 것은 68.%로 증가하였다. 4. PP비닐대(袋) 1개(2500g입)당 표고버섯 총생산비율은 29.7-31.5%의 높은 값으로 나타나고, 이때 버섯생산량은 760-780g으로 그 순수익은 1,475원이었다.

  • PDF

침나무류(類) 꽃의 형태(形態) (1) (Floral morphology of the oak (1))

  • 이창복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1
    • /
    • 1962
  • 1. The inflorescence of the oak has been evolved through a serial reduction of the panicle as is presented in the figure 1. 2. Perianth lobes though they range from one to twelve in a flower six loves occur more than 50% of tested flowers as is tabulated in the table 1. They have been increased partly by a fusion of flowers and partly by a reversion of the stamen into the perianth lobe. They also have been decreased by a fusion of perianth lobes each other. 3. Stamen numbers in a flower range from one to twenty four, but eight stamens are more common than the others as is shown in the table 1. They have been increased by a fusion of flowers and decreased by a fusion of stamens in a flower as are presented in the figure 4. 4. Floral position in the inflorescence, environmental factors, hybridity, and abnormal nutrition supply seem to accelerate fusion and reduction of the stamen in a flower. 5. Flowers which consist of eight stamens and six perianth lobes occur more common than the others, however, the number of the stamen (Y) and the perianth lobes (X) appear to be correlated as follows (see also fig.5.). Y=1.09X+3.78, r=0.4 for Q. dentate Thumb. (7004 flowers investigated) Y=0.71X+4.18, r=0.48 for Q. mongolica Fischer (7409 flowers investigated) Y=1.03X+2.91, r=0.4 for Q. allena B1. (8662 flowers investigated) Y=0.69X+2.00, r=0.4 for Q. serrata Thumb. (9048 flowers investigated) 6. Morphological similarity of the bracteoles and perianth lobes as illustrated in the fig. 3, phenomena of a fusion of bracteoles and separation of perianth lobes into three groups in a flower, and increasing and decreasing phenomena of the stamen number and perianth lobes in a flower as presented in the figures 3 and 4 support the proposal on the oak flower evolution made by H. Hjelmquist in 1948.

Annual and spatial variabilities in the acorn production of Quercus mongolica

  • Noh, Jaesang;Kim, Youngjin;Lee, Jongsung;Cho, Soyeon;Choung, Yeonso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4호
    • /
    • pp.229-240
    • /
    • 2020
  • Background: Genus Quercus is a successful group that has occupied the largest area of forest around the world including South Korea. The acorns are an important food source for both wild animals and humans. Although the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this genus are highly variable, it had been rarely studied in South Korea. Therefore, in Seoraksan and Odaesan National Parks (i) we measured the acorn production of Quercus mongolica, an overwhelmingly dominant species in South Korea, for 3 years (2017-2019), (ii) evaluated the spatial-temporal variation of acorn production, and (iii) analyzed the effects of oak- and site-related variables on the acorn production. Results: The annual acorn production of Q. mongolica increased 36 times from 1.2 g m-2 in 2017 to 43.2 g m-2 in 2018, and decreased to 16.7 g m-2 in 2019, resulting in an annual coefficient of variation of 104%. The coefficient of spatial variation was high and reached a maximum of 142%, and the tree size was the greatest influencing factor. That is, with an increase in tree size, acorn production increased significantly (2018 F = 16.3, p < 0.001; 2019 F = 8.2, p < 0.01). Elevation and slop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the production in 2019. However, since elevation and tree siz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 = 0.517, p < 0.001), the increase in acorn production with increasing elevation was possibly due to the effect of tree size. The acorn production of Odaesan for 3 years was 2.2 times greater than that of Seoraksan. This was presumed that there are more distribution of thick oak trees and more favorable site conditions such as deep soil A-layer depth, high organic matter, and slower slopes. Conclusion: As reported for other species of the genus Quercus, the acorn production of Q. mongolica showed large spatial and annual variations. The temporal variability was presumed to be a weather-influenced masting, while the spatial variability was mainly caused by oak tree size.

기후변화가 한국 산림에 미치는 영향과 관리 전략 (Climate Change Impact on Korean Forest and Forest Management Strategies)

  • 김문일;유소민;김나희;이원아;함보영;송철호;이우균
    • 환경생물
    • /
    • 제35권3호
    • /
    • pp.413-425
    • /
    • 2017
  • 본고에서는 기후변화와 산림생장, 수종변화, 탄소저장, 임목고사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을 소개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관리 전략을 제언하고자 한다. 1) 산림생장측면에서 보면, 소나무를 포함한 우리나라 주요 침엽수종들의 생장은 기온과 음의 상관관계를, 굴참나무와 신갈나무를 포함한 낙엽성 참나무류는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수종분포 측면에서 보면, 다양한 모델에서 동일하게 중 장기적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해 침엽수림의 분포가 감소하고, 참나무류의 분포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3) 탄소저장량 측면에서는 산림관리 여부에 따라 예측 결과에 큰 차이가 있었다. 우리나라 산림은 2030년 이후에 대부분 노령림으로 성숙되며, 현재 벌기령을 유지하여 주벌과 재조림을 실시할 경우 2090년까지 약 4.1억 톤의 산림바이오매스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4) 임목고사 측면에서 보면, 우리나라 주요 침엽수종들은 기온이 높은 곳에서 고사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참나무류는 고사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검증되지 않았다. 또한, 기후변화에 의해 아고산 침엽수종들의 고사가 급격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위의 영향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먼저 상대적으로 기후변화에 취약한 침엽수림에 대한 관리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SDGs, 생태계서비스, 탄소역배출 등의 국제적 이슈와 연계시켜 지속가능한 산림계획을 생태계서비스 및 탄소흡수 저장 측면에서 수립 및 이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