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tion stability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25초

건조 방법에 따른 예비열처리 당근의 저장 중 품질 특성 (The Quality Properties of Dried Carrots as Affected by Blanching and Drying Methods during Storage)

  • 이경숙;박관화;이상화;최은옥;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86-1092
    • /
    • 2003
  • 대표적 근채류인 당근을 이용하여 데치기 및 열풍, 감압 및 동결 건조방법에 따른 저장 중 품질변화를 관찰하였다. 열풍 및 감압에서의 건조율 비교 시 데치기한 당근(BC)는 데치기를 하지 않은 당근(RC)보다 빠르게 건조되었으며. 재수화에 의한 복원률은 모든 건조방법에서 RC가 BC보다 높았다. Carotene은 열풍과 감압건조 후 상온 저장 시 BC가 RC보다 잘 유지되었다. 갈변은 모든 건조방법에서 BC가 RC보다 낮게 나타나 데치기에 의해 억제됨을 알 수 있었으며, 동결건조 당근이 가장 덜 갈변되었다. 당근의 경도는 건조 후에 크게 감소하였으나, 열풍건조와 감압건조 당근은 유사한 값을 보였으며 동결건조 당근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BC와 RC의 경도 비교의 경우에는 모든 건조방법에서 BC가 RC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 중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또한 모든 건조당근에서 BC가 세포구조 및 미세구조가 더욱 안정하며 일정하여 데치기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약과(藥菓)의 산패(酸敗)에 미치는 튀김기름 및 저장조건의 영향 (Effects of Frying Oils and Storage Conditions on the Rancidity of Yackwa)

  • 민병애;이진화;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4-120
    • /
    • 1985
  • 한국 고유의 튀김식품으로서 유지(油脂)함량이 약 20%인 약과(藥菓)를 시료로, 튀김기름(기름의 종류와 가열처리여부)과 저장조건(온도, 습도, 형광등 조사여부)을 각각 달리하여 20주동안 저장하면서 산값, 과산화물값,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circ}C$저장 실험에서 산값, 과산화물값은 완만하게 증가하였고 13주후에도 과산화물값은 20 meq/kg에 미달하였다. $40^{\circ}C$에서는 산값과 과산화물값은 다소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산패(酸敗)진행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약과의 텍스쳐 변화를 보면 저장습도가 낮은 곳(RH25%)에서는 탈습(脫濕)되어 매우 딱딱한 느낌을 주었고 저장습도가 높은 곳(RH80%)에서는 흡습(吸濕)되어 다소 눅눅해졌다. 튀김기름의 종류에 따른 영향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옥수수기름, 유채유, 콩기름군이 각각 다른 순으로 높은 산값과 과산화물값을 나타냈다. 저장후기에는 유채유-형광등 조사군(照射群)이 모든 실험군 중애서 가장 높은 산값과 과산화물값을 나타냈다. 형광등 조사군은 어두운 곳 저장군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냈고 신선한군에 비해 가열(加熱)처리군이 높은 값을 나타냈다. 관능검사(官能檢査) 점수를 보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패취(酸敗臭)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튀김기름의 종류, 저장조건, 가열처리에 따른 산패취의 차이는 유의적(有意的)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산값과 관능검사 점수사이에는 비록 낮기는 하지만 저장 전기간에 걸쳐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볼 수 있었고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상관계수는 점차 커졌다. 과산화물값과 관능검사 점수사이에는 저장 6주까지는 정(正)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나 저장 9주에는 부(負)의 관계를 나타냈다.

  • PDF

고 분지아미노산 함유한 옥수수 단백가수물의 제조조건 탐색 (Preparation of Branched-chain Amino Acid (BCAA)-enriched Hydrolysates from Corn Gluten)

  • 정용일;배인영;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9-4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원료의 전처리, 가수분해 방법, 농축과정 및 제형화 공정을 최적화하여 BCAA 함량이 증가된 옥수수 펩타이드 제조법을 확립하였다. 옥수수 글루텐의 단백질 회수율은 증자와 탄수화물 분해효소 처리 등의 전처리 과정에 의해 약 11% 정도 증가하였다. 가수분해 방법에서는 미생물을 배양하여 제조한 코지에 상업용 효소를 소량 혼합하여 반응시킨 가수분해물에서 향상된 유리아미노산 및 BCAA 함량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가수분해 반응액은 농축과 여과를 통해 BCAA의 함량이 약 100% 정도 향상되었다. 위의 조건에서 제조한 옥수수 가수분해 반응물의 분말화를 위해 분무건조기의 온도와 고결방지제 종류를 비교한 결과, inlet 온도 $185^{\circ}C$, outlet 온도 $80^{\circ}C$, 분산속도 18,000 rpm에서 2% maltodextrin을 사용 시 가장 좋은 상태의 분말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가수분해 및 분말화 공정을 통해 단백질 이용률이 32%까지 향상되고, BCAA 함량이 전체 유리아미노산 대비 41%의 높은 비율로 구성되어 있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 제조를 위한 최적화 과정을 통해 BCAA가 풍부한 가수분해물 제조와 최종 제품의 품질 안정화 조건을 확립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미생물(코지)과 효소를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에 의하여 옥수수 글루텐을 가수분해하면 적은 양의 효소사용으로 유사한 유리아미노산 및 BCAA 함량을 나타내는 가수분해물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 제조공정은 매우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참깨와 들깨 단백질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and Perilla Protein Isolate)

  • 박현숙;안빈;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50-356
    • /
    • 1990
  • 참깨와 들깨 단백질을 알칼리에서 추출시킨 후 참깨는 pH6.0, 들깨는 pH4.0에서 침전시켜 분리 단백질을 제조하여 그들의 기능성 즉, 용해도, 유화성, 기포성, 유지 및 수분 흡착력 등을 pH와 염농도를 달리하여 측정하였다. 단백질 용해도는 참깨 단백질이 pH6.0에서, 들깨와 대두 단백질은 pH4.0에서 가장 낮아 등전점을 보이었고, pH2.0과 pH8.0 이상에서는 크게 증가하였다. 0.1M NaCl 첨가시에는 참깨 단백질과 들깨 단백질의 경우 전 pH 범위에서 단백질 용해도가 증가하였다. 유화력은 각 시료 단백질의 등전점 부근에서 가장 낮았으며 0.1M NaCl 첨가시에는 모든 시료들의 유화력이 증가되었으나 0.5M NaCl 농도에서는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유화안정성은 유화력과 비슷한 크기로 나타나, $80^{\circ}C$에서 30분 가열에서도 이들 단백질이 열에 안정함을 보이었다. 기포 형성력은 참깨와 들깨 단백질이 대두 단백질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며, 0.1M NaCl과 0.5M NaCl 첨가시에는 모두 그 값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었다. 기포 안정성은 대두 단백질이 10분 이내에 크게 감소된 반면 참깨와 들깨 단백질은 30분까지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유지 흡착력은 들깨 단백질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수분 흡착력은 시료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해산복족류의 소화관조직중에 분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Proteolytic Activity of the Crude Enzyme Extracted from the Digestive Tract of Marine Gastropods)

  • 조득문;변재형;변대석;김장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6-224
    • /
    • 1983
  • 해산복족류의 소화관조직에 분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pH, 온도, 화학약제, 저온보존 등의 영향을 밝히므로서 그 생리 생태학적 관련 지식을 얻고, 나아가서 그 정제를 위한 몇가지 기본적인 성질을 구명코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군소, 소라, 전복의 소화관조직에서 추출된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최적조건에서의 활성을 보면, 산성역과 약산성역에서는 전복이 다른 두 복족류에 비하여 2배 혹은 그 이상 높았으며, 알카리성역에서는 군소가 다른 두 복족류이 비하여 6배 혹은 그 이상 높은 특징을 보였다. 2. 화학약제가 효소의 활성이 미치는 영향을 종합하여 보면, 대체로 금속이온중의 $Mn^{2+}$, 실험에 쓴 전 환원제, 킬레이트제중의 EDTA, SH 시약중의 DTT 등에 의하여 활성화하였고 금속이온중의 $Hg^{2+}$ 및 변성제중의 SDS 등에 의하여서는 공통적으로 조해를 받았다. 3. 이들 효소가 보인 활성능의 저온보존에 의한 영향을 보면, $0^{\circ}C$$-20^{\circ}C$에 보관하였을 때, 군소와 소라의 산성과 약산성역에서 최적활성조건을 보이는 효소들은 보관기간의 경과에도 영향을 보이지 않았지만 알카리성역에서 최적활성조건을 보인 효소들은 보관일수의 경과와 더불어 활성이 저하하여 불안정함을 알았다. 그러나, 전복의 약산성역에서 최적활성조건을 보이는 효소는 보관기간의 경과에도 활성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산성과 알카리성역에서 최적활성조건을 보인 효소들은 보관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활성이 저하하여 저온에서는 불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전통재래 간장으로부터 항진균 활성 B. velezensis SSH100-10의 분리와 그 항진균 물질의 특성 구명 (Isolation of Bacillus velezensis SSH100-10 with Antifungal Activity from Korean Traditional Soysauce and Characterization of Its Antifungal Compounds)

  • 장미;문송희;장해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57-766
    • /
    • 2012
  • 향미가 우수한 100년 묵은 재래 간장에서 부터 강력한 항진균 활성(antifungal)균주를 분리 동정하여 Bacillus velelzensis SSH100-10으로 명명하였다. B. velezensis SSH100-10은 식품 위해 및 식품 변패곰팡이에 대한 항곰팡이 활성과 장류에 이취를 주는 산막효모 등에 대한 항효모 활성이 동시에 있으며, 강력한 단백분해활성을 나타내었다. NaCl 내염성도 우수하여 12% NaCl 농도하에서도 생육 48시간에 $A_{600}$에서 3.51의 생육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최근 Bacillus subtilis group 중 일부 균주에서 설사형 독소인 enterotixon을 나타내는 균주들에 대한 보고가 증가함에 따라, 안전성검증의 일환으로 enterotoxin 생성 여부를 조사하였을 때, 본 분리 균주는 enterotoxin 검지반응에서 음성을 나타내었다. B. velezensis SSH100-10이 생산하는 항진균 활성물질을 SPE, preparative HPLC, reverse phase-HPLC로 정제 후, MALDI-TOF-MS와 아미노산 조성 분석을 통하여 그 항진균 원인 물질이 $C_{14}$ iturin A와 $C_{15}$ iturin A 임을 구명하였다. 또한 B. velezensis SSH100-10의 배양상징액과 분리 정제된 항진균 물질 $C_{14}$ iturin A와 $C_{15}$ iturin A와 대조구로 시판되는 $C_{14{\sim}15}$ iturin A의 pH, 온도, 효소 안정성 실험을 통하여 B. velezensis SSH100-10은 pH, 열, 효소처리에 매우 안정한 iturin A 이외에도 pH에 불안정한 또 다른 구명되지 않은 항진균 물질을 생산함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보고된 강력한 항진균 활성을 지니는 B. velezensis SSH100-10은 맛있는 발효과정의 종균으로서의 작용과 더불어 콩발효식품에서 유해요소가 될 수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미생물을 제어함으로서 콩발효식품의 안전과 위생수준을 개선할 수 있는 우수한 종균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추 oleoresin의 품질안정성(品質安定性) (Studies on the Stabilities of Red Pepper Oleoresin)

  • 김치순;이규희;배정설;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85-90
    • /
    • 1987
  • 고추가루로부터 acetone을 추출용매(抽出溶媒)로 하여 oleoresin을 제조한 후 capsanthin과 capsaicin의 안정성(安定性)을 검토(檢討)하고, oleoresin-linoleate aqueous model system을 이용하여 ascorbic acid, 금속(金屬), 염류(鹽類), EDTA 등을 첨가하여 capsanthin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추출용매(抽出溶媒)로는 acetone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고추가루로부터 oleoresin의 수율은 14.2%이었다. 2. Capsaicin은 capsanthin에 비하여 고온에서 상당히 안정하였으며 $pH\;3{\sim}8$에서 oleoresin중의 capsanthin과 capsaicin도 비교적(比較的) 안정하였다. 3. Ascorbic acid를 $10^{-3}M$ 첨가시 capsanthin의 산화반응에 prooxidant로서 작용하였으나 $10^{-1}M$ 첨가시에는 antioxidant로서 작용하였다. 4. $Cu^{+2}M$, $Fe^{+3}M$ 이온은 capsanthin의 산화반응(酸化反應)을 촉진시켰으며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영향이 컸다. 5. EDTA는 capsanthin에 대하여 항산화(抗酸化) 효과(效果)를 나타내었다.

  • PDF

용기 및 저장온도가 오미자음료 품질에 미치는 영향 (Quality Properties of Omija Beverage Based on the Storage Container and Storage Temperature)

  • 최은영;유진현;안희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366-1372
    • /
    • 2017
  • 본 실험은 36주(9개월) 동안 오미자음료의 저장용기 및 저장온도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저장 3주부터 흡광도는 저장용기에서 고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총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저장용기, 저장온도, 저장용기${\times}$온도 등 모든 요인에서 고도로 유의한 차를 나타냈다. 총 페놀성 화합물, 총산도는 투명병 처리, 갈색병 처리 모두 저장후기에 조금 감소하였고, pH는 조금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4^{\circ}C$ 저장이 $20^{\circ}C$$36^{\circ}C$ 저장보다 오미자음료 품질 특성 변화가 적었다. 각 인자들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저장기간에 의한 흡광도, 가용성 고형분, 총 페놀성 화합물, pH, 총산도는 모두 각각의 항목들에 대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오미자음료의 투명병 처리는 저장기간이 경과되면서 오미자음료의 흡광도 감소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색병 처리는 9개월 동안 품질 변화가 적었고, 각각의 저장온도에 의한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위 결과로 보아 갈색병 처리는 36주 동안 오미자음료 품질유지에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알칼리제가 밀가루의 리올로지와 국수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kaline Reagent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and Noodle Property)

  • 김성곤;김흥래;방정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8-65
    • /
    • 1996
  • 탄산나트륨, 탄산칼륨과 이들의 혼합염(탄산나트륨/탄산칼륨=0.7-2.0)이 밀가루의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호화성질과 파리노그래프에 의한 반죽성질을 조사하였다. 알칼리제 혼합염(0.16%)이 국수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도 아울러 검토하였다. 소금(0.17%)과 알칼리는 아밀로그래프의 호화개시 온도를 감소시켰고 최고점도를 증가시켰으며 그 효과는 탄산나트륨이 가장 현저하였다. 최고점도는 알칼리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동일한 농도에서는 혼합비율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파리노그래프의 흡수율은 소금에 의하여 감소되었고 알칼리제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소금과 알칼리제가 동시에 존재할 때는 소금의 효과가 감소하였다. 소금과 알칼리제는 반죽의 안정도를 크게 증가시켰으며 소금의 효과가 더욱 뚜렸하였다. 그러나 소금의 존재시 알칼리제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였을 때는 농도에 관계없이 알밀로그람과 파리노그람 특성값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알칼리제 혼합염의 첨가에 따라 건면의 황색도와 파쇄력이 증가하였고 파쇄력은 혼합비율 1.0에서 가장 큰 값을 보였다. 삶은 국수의 경우 무게와 부피증가 정도는 알칼리제 혼합염의 첨가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으나 전단력과 압착력은 혼합비율 1.0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 PDF

해조류(海藻類)의 가공(加工) 및 이용(利用)에 관한 연구(硏究) 1. 미역분말쥬스제조(製造) (Studies on the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Seaweeds 1. Preparation of Powdered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Mixtures for Juice Type Beverage)

  • 이응호;차용준;김정균;권칠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2-386
    • /
    • 1983
  • 영양적(營養的) 또는 약리적(藥理的)으로 우수(優秀)한 미역의 효율적인 이용방안(利用方案)의 하나로서 미역분말쥬우스를 가공(加工)하여 화학적조성(化學的組成) 및 색소안정성(色素安定性)에 관해 실험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가공방법(加工方法)은 생미역을 물로 씻어 이물질(異物質) 및 토사(土砂)를 제거하고 난 후 3%식염 및 1%탄산마그네슘 혼합용액(원료(原料)의 10배량)에서 $85^{\circ}C$, 20초간 데친 다음 물기를 빼고 열풍건조기(熱風乾燥機)($50{\sim}53^{\circ}C$, 풍속 3m/sec, 습도 21.4%)에서 3시간동안 건조(乾燥)시켰다. 그리고 난 후 200mesh까지 분쇄(粉碎)하여 중량비(重量比)로서 분말미역 0.8%, 식염 9.75%, 설탕 1.25%, 아스코르브산 0.2% 그리고 미싯가루 0.25% 첨가하여 미역분말제품으로 하였다. 2. 가공중 제품의 화학적(化學的) 성분변화(成分變化)는 아미노질소가 증가하였고, 회분함량(灰分含量)은 19%, 알긴산은 5.5%정도 감소한 것 이외에는 큰 변화(變化)가 없었고, 생미역에 대한 제품의 색소잔존율(色素殘存率)은 chlorophyll은 91.6%, total carotenoid는 89.5%로서 상당히 양호(良好)하였다. 3. 관능검사결과(官能檢査結果) 색깔, 냄새, 맛 및 분산성(分散性)은 양호(良好)하였으며, 특히 미싯가루 첨가에 의한 미역의 강한 이취(異臭)를 차폐(遮蔽)시킬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