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검색결과 801건 처리시간 0.024초

Antiinflammatory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by Suppressing Nuclear Factor-${\kappa}B$ in Raw264.7 Macrophage Cells

  • Lee, Jeong-Min;Hwang, Kwon-Tack;Jun, Woo-Jin;Park, Chang-Soo;Lee, Myung-Yu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0호
    • /
    • pp.1683-1688
    • /
    • 2008
  • Lactobacillus casei 3260 (L. casei 3260) was evaluated in relation to the inflammatory response mediated by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and cyclooxygenase-2 (COX-2) expression in Raw264.7 macrophage cells. The treatment of Raw264.7 cells with L. casei 3260 significantly inhibited the secre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prostaglandins $E_{2}\;(PGE_{2})$, followed by suppression of COX-2. To clarify the molecular mechanism, the inhibitory effect of L. casei 3260 on the NF-${\kappa}B$ signaling pathway was examined based on the luciferase reporter activity. Although the treatment of Raw264.7 cells with L. casei 3260 did not affect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NF-${\kappa}B$, it did inhibit NF-${\kappa}B$ activation, as determined by the cytosolic p65 release and degradation of I-${\kappa}B{\alpha}$.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uppression of COX-2 through inhibiting the NF-${\kappa}B$ activation by LPS may be associated with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 casei 3260 on Raw264.7 cells.

백혈병세포에서 종양괴사인자에 의한 PTEN 발현증가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duces PTEN Expression in HL-60 Cells)

  • 이성호;박철홍;김병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1-188
    • /
    • 2006
  • Tumor necrosis ftctor-alpha$(TNF-{\alpha})$는 세포의 고사, 염증 및 면역 등의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역할을 한다. PTEN 역시 세포의 성장과 증식 그리고 세포의 유주와 분화 등의 세포학적인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 그러므로 이들 두 분자들 사이의 상호관계가 있을 것으로 제안되고 있으며, $TNF-{\alpha}$는 사람의 대장세포 주인 HT-29에서 nuclear factor-kappa $B(NF-{\kappa}B)$ 경로를 통해 PTEN downregulate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저자 등은 본 연구에서 HL-60 cells에서 $TNF-{\alpha}$$NF-{\kappa}B$를 통해 PTEN를 upregulates하는 기존의 반대 현상을 확인하였다. $TNF-{\alpha}$는 HL-60 cells에서 time과 dose의존성 방법으로 PTEN 발현을 증가시켰지만 반응은 p65 anisense oligonucleotide 또는 pyrrolidine dithiocarbamate(PDTC)으로 $NF-{\kappa}B$를 분해함으로 파괴되었다. 따라서 저자 등은 $TNF-{\alpha}$$NF-{\kappa}B$경로를 활성화시킴을 확인하였고, $TNF-{\alpha}$를 처리 할 경우 핵에 대하여 p65 전위에 의해 $TNF-{\alpha}$가 활성화됨을 증명하였다. 결국 HL-60세포에서 $NF-{\kappa}B$의 활성화에 따라 PTEN 발현의 upregulation이 유도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NF-kappaB 프로모터 활성을 억제하는 식물추출물 (Herbal Extracts as a NF-kappaB Inhibitor)

  • 박덕훈;이종성;정은선;현창구;이지영;허성란;고재숙;이희경;백지훈;유병삼;문지영;김주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35-140
    • /
    • 2006
  • Nucler factor-kappa B (NF-kappaB) 프로모터는 염증성 질환을 유도하는 호염증성 시토카인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전사인자 중의 하나이다. 본 실험에서는 200 여종의 식물추출물들로부터 항염효능이 있는 추출물을 선발하기 위해 NF-kappaB 리포터 실험을 수행하였다. NF-kappaB 리포터 실험결과, 12종의 식물추출물, 즉 개나리, 고추잎, 박하, 뱀딸기, 뽕나무, 삼백초, 솔잎, 양애줄기, 약쑥, 어성초, 왕벚꽃가지, 조릿대 등이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유도된 NF-kappaB 프로모터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 12종의 식물추출물이 호염증성 시토카인 발현에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 alpha)와 인터루킨-8에 대한 ELISA실험을 실시하였다. ELISA실험 결과, NF-kappaB 리포터 실험결과와 동일하게, TNF-alpha와 인터루킨-8 생산이 12종 식물추출물 모두에서 감소됨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12종의 식물 추출물에서 보여지는 호염증성 시토카인 억제효과가 NF-kappaB 프로모터 활성억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들 12종 식물은 diphenyl-p-picrylhydrazyl (DPPH) assay를 통해 살펴본 결과 높은 항산화 활성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12종의 식물 추출물은 염증성 피부질환 전용 화장품 제형에서 항염 및 자극완화 소재로 응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hikonin Isolated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n Downregulates Proinflammatory Mediators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BV2 Microglial Cells by Suppressing Crosstalk between Reactive Oxygen Species and NF-κB

  • Prasad, Rajapaksha Gedara;Choi, Yung Hyun;Kim, Gi-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3권2호
    • /
    • pp.110-118
    • /
    • 2015
  •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lifespan, neuronal disorder based on inflammation has been social problem. Therefore, we isolated shikonin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n and evaluate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hikonin in lipopolysaccharide (LSP)-stimulated BV2 microglial cells. Shikonin dose-dependently inhibits the expression of the proinflammatory mediators,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_2$ ($PGE_2$), and tumor necrosis factor-${\kappa}B$ (TNF-${\alpha}$) as well as their main regulatory genes and products such as inducible NO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TNF-${\alpha}$ in LPS-stimulated BV2 microglial cells. Additionally, shikonin suppressed the LPS-induced DNA-binding activity of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to regulate the key regulatory genes of the pro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iNOS, COX-2, and TNF-${\alpha}$, accompanied with downregul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hikonin may downregulate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genes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NO, $PGE_2$, and TNF-${\alpha}$ in LPS-treated BV2 microglial cells by suppressing ROS and NF-${\kappa}B$. Taken together, our results revealed that shikonin exerts downregula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by interference the ROS and NF-${\kappa}B$ signaling pathway.

lipopolysaccharide로 자극된 대식세포에서 금앵자의 Nitric Oxide 생성 및 $NF-{\kappa}B$ 활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Rosa laevigata on Nitric Oxide Synthesis and $NF-{\kappa}B$ Activity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Macrophages)

  • 하현희;박순영;고우신;장정수;김영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85-389
    • /
    • 2008
  • Nitric oxide (NO) has been sugges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endotoxin-mediated shock and inflamm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Rosa laevigata Michx. (Rosaceae) on the production of NO and the molecular mechanism of its action. Rosa laevigata inhibited NO generation and iNOS expression in LPS-stimulated murine macrophages. Activity of nuclear $factor{-\kappa}B\;(NF{-\kappa}B)$ and the degradation of $I{\kappa}B-{\alpha}$ were suppressed by Rosa laevigata. Furthermore, extracellular signal-stimulated kinase (ERK), which is known to be involved in $NF{-\kappa}B$ activation, is inhibited by Rosa laevigata. These results suggest that Rosa laevigata could exert its anti-inflammatory actions by suppressing the synthesis of NO through inhibition of $NF{-\kappa}B$ activity.

Acrolein with an α,β-unsaturated Carbonyl Group Inhibits LPS-induced Homodimerization of Toll-like Receptor 4

  • Lee, Jeon-Soo;Lee, Joo Young;Lee, Mi Young;Hwang, Daniel H.;Youn, Hyung Su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5권2호
    • /
    • pp.253-257
    • /
    • 2008
  • Acrolein is a highly electrophilic ${\alpha},{\beta}$-unsaturated aldehyde present in a number of environmental sources, especially cigarette smoke. It reacts strongly with the thiol groups of cysteine residues by Michael addition and has been reported to inhibit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activation by lipopolysaccharide (LPS). The mechanism by which it inhibits $NF-{\kappa}B$ is not clear. Toll-like receptors (TLRs) play a key role in sensing microbial components and inducing innate immune responses, and LPS-induced dimerization of TLR4 is required for activation of downstream signaling pathways. Thus, dimerization of TLR4 may be one of the first events involved in activating TLR4-mediated signaling pathways. Stimulation of TLR4 by LPS activates both myeloid differential factor 88 (MyD88)- and TIR domain-containing adapter inducing $IFN{\beta}$ (TRIF)-dependent signaling pathways leading to activation of $NF-{\kappa}B$ and IFN-regulatory factor 3 (IRF3). Acrolein inhibited $NF-{\kappa}B$ and IRF3 activation by LPS, but it did not inhibit $NF-{\kappa}B$ or IRF3 activation by MyD88, inhibitor ${\kappa}B$ kinase $(IKK){\beta}$, TRIF, or TNF-receptor-associated factor family member-associated $NF-{\kappa}B$ activator (TANK)-binding kinase 1 (TBK1). Acrolein inhibited LPS-induced dimerization of TLR4, which resulted in the down-regulation of $NF-{\kappa}B$ and IRF3 activ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tivation of TLRs and subsequent immune/inflammatory responses induced by endogenous molecules or chronic infection can be modulated by certain chemicals with a structural motif that enables Michael addition.

LPS 자극 RAW 264.7 세포에 있어서 칼슘의존성 ROS와 NO 생산 및 NF-${\kappa}B$ 활성에 대한 CLA의 억제효과 (Effect of trans-10, 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 on Calcium-Dependent Reactive Oxygen Speci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and Nuclear Factor-${\kappa}B$ Activation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 최태원;강병택;강지훈;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5-140
    • /
    • 2015
  • 염증상태에서의 CLA의 효과와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LPS로 자극한 RAW 264.7 세포에 있어서 ROS와 NO생산 및 NF-${\kappa}B$ 활성에 대한 t10c12-CLA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과가 세포질 내 칼슘이온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LPS 자극으로 ROS 생산은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는 칼슘결합제인 BAPTA/AM에 의해 감소하였다. t10c12-CLA 또한 LPS 자극 RAW 264.7 세포의 ROS 생산 증가를 억제시켰으며 BAPTA/AM과 함께 처리시 더욱 억제되었다. NO의 생산과 NF-${\kappa}B$ p65 활성도 t10c12-CLA, BAPTA/AM, t10c12-CLA와 BAPTA/AM의 동시처리 모두에서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염증 조건에서 CLA는 과도한 ROS와 NO의 생산 및 NF-${\kappa}B$의 활성을 칼슘 의존적으로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Lipopolysaccharide로 처리 된 RAW264.7 세포에서 고마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ersicaria thunbergii Extracts o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Cells)

  • 김상보;성영애;장희재;김군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689-1697
    • /
    • 2011
  • 본 연구는 고마리 추출물이 가지는 항염증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쥐의 대식세포(RAW264.7 cell)에 Lipopolysaccharide (LPS)를 처리하여 염증반응을 유도하고 이때 발생되는 Nitric oxide (NO)의 생성 억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염증에서 중요하게 알려져 있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단백질들의 발현을 비교하였고, 추가적으로 NF-${\kappa}B$ 단백질의 핵 내부로의 이전 및 활성을 확인하였다. 메탄올 추출물은 NO 생성 및 iNOS, COX-2, NF-${\kappa}B$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고,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가지는 Heme oxygenase-1 (HO-1)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n-butanol, hexane, ethyl acetate 용매를 이용한 추가적인 분획을 실시하였다. 이들 분획 중 고마리의 ethyl acetate 추출물은 Prostaglandin $E_2$ ($PGE_2$), NO 생성을 억제 하였으며, iNOS, COX-2 단백질들의 발현을 감소, NF-${\kappa}B$의 핵 내부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고마리 식물이 좋은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며, 지속적인 분획으로 고마리 식물이 가지는 항염증 활성 물질을 선별하여 그 작용기작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대두 septapeptide의 항염 효과 및 분자 기작 규명 (Characterization of anti-inflammatory effect of soybean septapeptide and its molecular mechanism)

  • ;;;;김상건;김한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08-213
    • /
    • 2018
  • Nuclear factor kappa B ($NF{\kappa}B$)의 활성화는 염증을 일으킨다. 이 때,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가 발현된다. 우리 선행 연구에 의하면 Bacillus licheniformis B1에 의해 제조된 발효대두에 있는 septapeptide (GVAWWMY)가 대식세포에서 iNOS mRNA 발현과 NO 생산을 억제하였다. 본 연구에서 septapeptide의 처리가 $I{\kappa}B{\alpha}$ ($NF{\kappa}B$ 억제 단백질)의 분해를 억제하여 LPS에 의해 유도되는 $NF{\kappa}B$의 활성화를 억제함을 확인했다. 분자 docking에 의해 septapeptide가 ${\kappa}B$ kinase ${\beta}$ ($IKK{\beta}$)에 부착하여 $I{\kappa}B{\alpha}$의 인산화를 방해할 가능성이 있다. Septapeptide는 높은 친화도로(-8.7 kcal/Mol) $IKK{\beta}$의 kinase domain에 부착해서 kinase 활성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RAW 264.7 세포에서 sulforaphane의 파골세포형성 저해효과 (Effects of Sulraphane on Osteoclastogenesis in RAW 264.7)

  • 황준호;이미란;강창희;부희정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2호
    • /
    • pp.151-160
    • /
    • 2016
  •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파골세포형성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이며, 뼈의 흡수는 자주 골다공증과 연결된다. 설포라판은 보로콜리의 화뢰로 부터 분리된 물질로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RANKL)로 자극된 세포에서 설포라판이 파골세포 형성 억제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설포라판은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파골세포 특이 마커 유전자인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TRAP), Cathepsin K, matrix metalloproteinase 9(MMP-9), calcitonin receptor을 저해하였으며, TRAP, MMP-9,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associated factor 6(TRAF6)와 전사인자인 nuclease factor of activated T cells(NFATc1)의 단백질 발현과 RANKL로 자극하였을 때 전자인사인 nuclear factor kappaB(NF-kappaB)의 전사활성도 억제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설포라판이 NF-kappaB의 전사활성 억제뿐만 아니라, 파골세포형성인자(TRAP, cathepsin K, MMP-9, calcitonin, NFATc1)와 NFATc1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