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waxy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4초

연질현미의 이화학적 및 취반 특성 (Physicochemical and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n-waxy Soft Brown Rice)

  • 박지혜;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31-540
    • /
    • 2016
  • Purpose: To improve the cooking quality of brown rice, newly inbred soft rice cultivars were investigated. Method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rice flour and water absorption patterns and cooking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grain were compared to Ilmi white and brown rice. Results: General composition and total dietary fiber contents of five ric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higher ash, protein, and total dietary fiber contents in soft brown rice than white rice. The hardness of raw rice grain was higher in Ilmi brown rice than in soft brown rice. The water absorption increased rapidly in 30 min of white rice and in 4-6 h of brown rices. The apparent amylose content of soft brown rice was lower than that of Ilmi rice.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 and all viscos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 trend was not similar. The textural properties of hardness and roughness were higher, but adhesiveness, cohesiveness, and stickiness were lower in Ilmi brown rice than white and soft brown rices. In sensory preference test, not only textural properties, hardness, adhesiveness, cohesiveness, stickiness, and roughness, but also color, glossiness, and roasted flavor were higher in soft brown rices. Especially soft brown rice B showed the best cooking quality among all ric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soft brown rice is developed for cooking with high nutritional and functional quality.

단백질과 트란스글루타미나제 첨가 글루텐 프리 쌀빵의 품질에 대한 친수콜로이드의 효과 (Effects of Hydrocolloids on the Quality of Protein and Transglutaminase Added Gluten-free Rice Bread)

  • 황순옥;김지명;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98-208
    • /
    • 2017
  • Purpose: To improve the quality of basic gluten-free rice bread composed of white rice flour, salt, sugar, yeast, skim milk powder, olive oil, and water, the effects of transglutaminase (TGase), whey protein (WP), propylene glycol alginate (PGA), and hydroxypropylmethylcelluose (HPMC) were investigated. Methods: TGase, WP, PGA, and HPMC were added to rice flour cumulatively. The pasting properties of rice flour blends as well as volume, shape, color value, textur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basic rice bread (RB1) RB1+TGase (RB2), RB1+TGase+WP (RB3), RB1+TGase+WP+PGA (RB4), and RB1+TGase+WP+PGA+HPMC (RB5) were compared. Results: Consistency of rice batter increased upon addition of TGase, WP and PGA, and RB3 and RB4 had higher specific volumes than others. PGA improved volume, crumb air cell uniformity, and resilience but lowered elasticity and moistness of RB. HPMC increased, hardness, moistness and softness, and slightly reduced volume. Conclus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hydrocolloids, PGA and HPMC may be necessary to improve volume, crumb structure, textural properties and overall eating quality of gluten-free rice bread.

Pasting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s Harvested in Korea

  • Chung, Hyun-Jung;Lim, Seung-Tai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4호
    • /
    • pp.231-235
    • /
    • 1999
  • Three black rices(Suwon 415, Iksan 427 and Sanghaehyanghyeolla) harvested in Korea were examined in their pasting characteristics, and minor nutrients(vitamins and minerals) in comparison to those of a brown rice (Dongjinbyo), whereas Iksan 427 and Sanghaehyanghyeolla were waxy rices(0.4 and 0.6%, respectively). Iksan 427 and Sanghaehyanghyeolla showed similar viscosity pattern with significantly low pasting temperatures and viscosity. Brown rice showed higher pasting viscosity and pasting temperature than black rices, and its viscosity pattern was similar to Suwon 415. Brown rice and Suwon 415 displayed higher hardness but lower adhesiveness of their gels. Black rices contained more non-carbohydrate components and dietary fiber than brown rice. From the amino acid analysis, black rices contained more acid amino acids (aspartic and glutamic acids) than brown rice. Among the black rices, Suwon 415 had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essential amino acids(4.3%). Black rices also contained higher amounts of vitamin B complexes (thiamin, riboflavin and niacin) and minerals(K, Mg and Ca) than brown rice. Sanghaehyanghyeolla showed an exceptionally high amount of Ca (12mg%).

  • PDF

거대배 돌연변이 계통벼 쌀 배유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Some Physical Properties of Starch Granules from Giant Embryonic Rice Endosperm)

  • 강미영;이연리;고희종;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2호
    • /
    • pp.117-122
    • /
    • 2003
  • 화청찰벼, 화청벼, 그리고 이들의 거대배아미 품종인 화청찰거대배아미, 화청거대배아미 등 4품종의 쌀로부터 전분을 분리하여 몇몇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거대배아 품종으로 유기되면서 아밀로오스의 함량은 감소하고 있었으며, 아밀로오스 분획의 포도당 사슬의 길이도 짧아지고 있었다. 아밀로펙틴의 미세구조는 거대배아 품종으로 유기됨에 따라 B chain의 사슬길이가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A chain의 양은 감소하고 있었으며, 아밀로펙틴을 구성하는 포도당의 평균 사슬길이는 약간씩 증가하고 있었다. X선 회절도상에서는 4품종 모두 전형적인 A type이었으며, glucoamylase에 의한 가수분해도는 찰품종의 경우에는 거대배아미로 유기되면서 가수분해도가 낮아지는데 비해서 메품종의 경우에는 반대의 결과를 얻었다. 호화종료온도는 거대배아미 품종으로 유기됨에 따라 낮아지고 있었고, 호화 엔탈피는 거대배아미 품종으로 유기됨에 따라 증가하고 있었다.

Comparison of quality property between fresh cooked rice and re-heated cooked rice

  • Sim, EunYeong;Woo, Koan Sik;Kim, Mijung;Park, Hye-Young;Oh, Sea Kwan;Lee, Chunk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87-287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fference of quality properties of between fresh cooked rice and re-heated cooked rice after retrogradation. Nine rice varieties raised by NICS were compared the properties of physicochemical, texture, sensory evaluation, toyo glossiness value, pasting properties. Among nine rice cultivars, the changes of weight and length-width ratio of after soaking as well as cooking showed how water absorbed in each rice granule. The amount of water absorption after soaking was highest in Wolback (semi-waxy), Hiami and lowest in Samgwang, Seonpum, Ilpum. After cooking, the amount of water absorption was high in Dasan 1 and Andabyeo, however low in Ilpum. In the length-width ratio after soaking, Wolback (semi-waxy cultivar) and Anda (indica cultivar) increase their volume relatively as their shape are while others increased more in length than width. Among cooked rice, the highest value of length-width ratio shows in Anda, Dasan1, Hiami and Seonpum, the Wolbak was similar to that of non-glutinous rice. After cooking, the others stored at $10^{\circ}C$ for 16 hours for retrogradation (imitated at convenience store). Then re-heated using by microwave. Pasting properties were considerably affected by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s of rice. The setback showed in the following order: Wolback (-92.25 RVU, the lowest retrogradation) < Seonpum (-35.20) < Chindle (-22.08) < Jungsanggold (-21.98). Toyo glossiness value of cooked rice showed in the following order: Chindle (82.40) > Samgwang (79.43) > Hiami (79.23). Sensory evaluation of re-heated rice of Jungsanggold, Samgwang, and Chindle were 78.97, 78.36, and 77.35, respectively. Hardness, elasticity, and toughness of re-heated rice ware increased compared to cooked rice, whereas cohesiveness was decreased. Hardness and elasticity is higher in Seonpum, Dasan1 and Hiami, toughness is higher in Jungsanggold, Samgwang and Wolbak. Cohesiveness of Jungsanggold and wolbak showed higher than others.

  • PDF

보리의 도정 및 제분분획을 이용한 ${\beta}-Glucan$의 강화 (${\beta}-Glucan$ Enrichment from Pearled Barley and Milled Barley Fractions)

  • 이영택;석호문;조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88-894
    • /
    • 1997
  • 보리로부터 도정처리한 정맥 및 제분에 의한 분획별 ${\beta}-glucan$ 함량을 분석하여 ${\beta}-glucan$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쌀보리가 겉보리보다 ${\beta}-glucan$ 함량을 강화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찰성 쌀보리인 수원-291이 메성인 무등쌀보리보다 ${\beta}-glucan$ 함량이 높았다. 보리 ${\beta}-glucan$의 용해성은 품종간 차이가 있으며 평균 약 67%가 수용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쌀보리는 도정에 의해 ${\beta}-glucan$ 함량이 1.2배까지 높아졌으며 쌀보리를 ${\beta}-glucan$이 가장 높은 상태인 정맥수율 $70{\sim}75%$로 도정하여 분쇄하고 $100{\sim}325-mesh$ 체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체질함에 의해 ${\beta}-glucan$ 함량이 22%까지 포함된 획분을 얻어 원맥 ${\beta}-glucan$ 함량의 3배 이상으로 강화하였다. 한편 보리를 $B{\ddot{u}}hler$ test mill을 사용하여 제분해 본 결과 보리가루의 ${\beta}-glucan$ 함량은 원맥에 비해 낮아진 반면 bran과 shorts에서는 원맥보다 높은 농도로 존재하였다, Shorts와 bran은 다시 분쇄 후 체질함으로써 원맥의 2.4배까지 ${\beta}-glucan$이 강화된 획분을 얻을 수 있었다. 체질에 의해서 입자크기에 따라 분획된 보리가루 획분들은 총 ${\beta}-glucan$$40{\sim}81%$가 수용성이며 정맥으로부터 얻은 획분에 비해 $B{\ddot{u}}hler$ mill stream의 bran 및 shorts로부터 얻은 획분에서 용해성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 PDF

보리수확후 건조, 저장 및 유통 실태 (Current Status of Post - harvest Management of Barley(Hordeum vulgare L.))

  • 손영구;손종록;백성범;이춘우;남중현;서세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57-361
    • /
    • 2002
  • 보리의 수확후 건조, 저장, 가공, 포장, 출하 등 유통단계별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찰쌀보리 집단재배 지역인 충남논산(부적)과 전남영암(군서)에서 처리실태를 조사한 결과 수확단계에서 보리의 수확기간이 16~20일로 짧아 노동력이 집중되는 것과 범용콤바인으로 수확할 경우 쓰러진 보리를 수확하기 곤란한 점 및 크라스콤바인을 임대하여 수확할 때 무리한 작업일정에 따른 2~3%의 수확손실 발생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건조단계에서는 수분함량 변이가 큰(논산:11.8~40%, 군서 : 14.0~34.6%)시료를 같은 열풍건조기 내에서 건조하는데 따른 건조효율 저하와 건조온도를 적정온도인 5$0^{\circ}C$이하보다 다소 높은 55~7$0^{\circ}C$로 조절하는데 따른 품질저하가 우려되었다. 저장 및 유통단계에서는 건조기 또는 저장빈의 추.하곡겸용에 따른 이종곡립 혼입, 그리고 보리소비의 시기가 연중 일정치 않고 특정시기(9~10월)에 편중되는 것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보리 저장기간중 지방산도는 입고시 찰쌀보리가 7.6~8.0 KOHmg/100g, 새쌀보리 4.5 KOHmg/100g이던 것이 10 개월 저장 후에는 각각 10.1~12.0 KOHmg/100g 및 7.3 KOHmg/100g까지 증가되었으며 발아율은 품종 및 저장방법별로 입고시 51.5~61.5%이던 것이 10개월저장 후에는 47.7~59%로 낮아졌고 백도와 흡수율은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낮아져 약간의 물성 변화가 인정되었으나, 10개월 후의 식미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였다.

보릿가루 첨가 복합분의 반죽 물성 및 빵의 품질 특성 (Dough Proper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s added with Barley Flour)

  • 하용밍;박양균;강정화;김명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44-353
    • /
    • 2012
  • 보리를 제빵에 이용하기 위하여 새쌀보리와 새찰보리가루를 첨가한 복합분의 반죽물성과 제빵 특성을 조사하였다. 호화특성의 최고점도는 새쌀보리 복합분에서는 증가하였지만 새찰보리 복합분의 경우는 감소하였다. 반죽의 안정도는 10% 복합분에서는 대조구와 동일하였으나 30% 복합분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다. Extensograph 특성 조사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복합분의 신장도는 감소한 반면 저항도는 증가하였다. 빵의 무게와 부피는 보릿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게는 증가하고 부피는 감소하였다. 새쌀보리 첨가구보다 새찰보리 첨가구, 무발아보리 첨가구보다 발아보리 첨가구의 비용적이 더 컸다. 빵 속살의 L값은 10%, 20% 첨가구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조직감 특성은 새쌀보리의 경우 10% 첨가구는 경도의 증가를 제외하고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고, 새찰보리의 경우 10% 첨가구는 모든 항목에서, 20% 무발아새찰보리 첨가구는 응집성을 제외한 탄력성, 점착성, 파쇄성 및 경도에서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평가 결과 10%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20% 첨가구도 제빵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첨가할 수 있는 수준이라 판단 되었다. 반죽의 물성과 빵의 품질 특성 조사 결과 메성보리인 새쌀보리는 발아시킴으로써 제빵적성이 좋아졌으나 찰성보리인 새찰보리는 발아시킴으로써 제빵적성이 감소되었다.

경사지 밭토양 유실억제 및 질소비료절감에 대한 피복작물 헤어리벳치의 효과 (Effect of Cover Crop Hairy Vetch on Prevention of Soil Erosion and Reduction of Nitrogen Fertilization in Sloped Upland)

  • 서종호;박종열;송득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34-141
    • /
    • 2005
  • 경사지 밭작물 재배시 일반관행의 동계휴한 및 경운재배에 비하여 동계 헤어리뱃치 피복작물의 재배와 그것의 토양이용에 따른 토양유실의 감소정도 및 밭작물의 수량의 변화를 화이트클로버 living mulch 및 호밀녹비와 더불어 살펴보기 위하여 수원 작물과학원의 경사지 밭 포장에서 2000-2003년의 4년간 무경운 헤어리뱃치 토양피복의 처리와, 홍천 강원도 농업기술원 홍천옥수수시험장 경사지에서 2001-2002년의 2년간 헤어리벗치의 무경운토양피복, 헤어리벳치와 호밀의 경운녹비 처리를 두어 토양유실량 억제효과 및 작물의 수량성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원의 4년간 시험에서는, 경사지에서의 강우의 유실율이 무피복작물-경운의 관행구에 비해 헤어리뱃치 토양피복 (무경운) 및 화이트클로버 living mulch구에서 많이 감소하였고, 그에 따라 토양입자의 유실도 두 피복작물처리에 의해 현저히(관행의 약 10% 이하) 감소하였다. 더욱이 토양피복처리에 의한 토양업자유실 감소정도는 강우량이 증가할수록 더욱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헤어리뱃치피복 및 화이트클로버생체피복에서는 잡초의 발생도 억제되어 제초제의 사용이 필요 없을 정도로 관행 (무제초작업)에 비해 10-20% 밖에 잡초가 발생하지 않았다. 화이트클로버 living mulch구에서 옥수수 수량은 관행재배에 비해 많이 감소하였는데, 그 이유는 옥수수의 초기생육에서 옥수수가 클로버가 토양수분과 양분에 대해 경쟁관계에 있었기 때문으로 추측되었다. 그러나 헤어리뱃치토양피복에서의 옥수수의 수량은 제초처리와 관계없이 관행 (제초)에 비해 증가하였다. 따라서 토양보전 및 수량증가의 측면에서 헤어리뱃치의 토양피복처리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년간에 걸친 홍천옥수수시험장 경사지 시험에서는 호밀과 헤어리뱃치의 동계 피복작물재배에 따라 비작기의 토양유실을 피복작물 무재배 (관행)에 비해 토양유실을 약 95% 줄일 수 있었다. 하계 찰옥수수의 작기동안에는 무피복작물-경운에 비해 헤어리뱃치피복-무경운이 가장 토양유실억제효과가 컸으며 (관행의 2%), 호밀과 헤어리뱃치의 경운 (녹비)의 토양 유실량도 무녹비경운 (관행)의 약 30% 이하로 감소하여 하계 찰옥수수 재배 시 경운방법에 상관없이 토양유실 억제효과가 컸다. 찰옥수수의 수량을 보면, 호밀 및 헤어리뱃치 이용구 모두 표준질소시비에서 관행보다 증가하였으나, 무질소구에서는 호밀녹비 및 헤어리뱃치피복구는 질소공급이 적어 수량이 감소하였으나, 헤어리뱃치의 경운녹비구는 헤어리뱃치녹비의 질소공급에 의해 수량이 약 10% 증가하였다. 따라서 경사지에서 토양유실의 감소와 질소비료 절감의 두 가지를 만족할 수 있는 동계 피복작물로는 헤어리뱃치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멥쌀전분으로 제조한 RS3형 저항전분이 인절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S3 type resistant starch prepared from nonwaxy rice starch on the properties of Injulmi)

  • 김정옥;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5-71
    • /
    • 2003
  • 멥쌀전분, 찹쌀가루, 멥쌀전분으로 제조한 RS3형 저항전분의 수분 함량은 비슷하였으나, 단백질 함량, 회분 함량, 지방질 한량은 찹쌀가루가 가장 높았다. 멥쌀전분으로 제조한 RS3형 저항전분의 RS함량은 9.10% 이었다. 멥쌀전분으로 제조한 RS3형 저항전분을 첨가한 인절미 경도와 부착성을 레오메타로 측정하였을 때 저장기간과 RS3형 저항전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RS3형 저항전분을 첨가한 인절미의 경도가 무첨가 인절미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나, 탄성, 부착성, 부드러움성, 전체적인 품질은 RS3형 저항전분의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인 품질은 경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31,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