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 flood season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4초

Wetland Construction: Flood Control and Water Balance Analysis

  • Kim, Duck-Gil;Kwak, Jae-Won;Kim, Soo-Jun;Kim, Hung-Soo;Ahn, Tae-Jin;Singh, Vijay P.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5권4호
    • /
    • pp.197-205
    • /
    • 2010
  • Recent years have witnessed increasing interest in wetland constructions in Korea as a flood control measure during the flood season and for consideration of the ecology during the non-flood season. In this study, hydraulic and hydrologic analyses were performed on a wetland construction plan for use as an alternative sustainable flood defense during the flood season, as well as a wetland that can protect the ecosystem during the non-flood season. The study area was the basin of the Topyeong-cheon stream, which is a tributary of the Nakdong River, including the Upo wetland, which is registered in the Ramsar Convention and the largest inland wetland in Korea. Wetlands were to be constructed at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Upo wetland by considering and analyzing seven scenarios for their construction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lood control during the flood season; it was found the best scenario reduced the flood level by 0.56 m.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constructed wetlands during the non flood season, the water balance in the wetlands was analyzed, with the best scenario found to maintain a minimum water level of 1.3 m throughout the year. Therefore, the constructed wetlands could provide an alternative measure for flood prevention as well as an ecosystem for biodiversity.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수리.수문분석 (Hydraulic and Hydrologic Analysis by Washland Construction)

  • 김덕길;경민수;김상단;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5호
    • /
    • pp.483-489
    • /
    • 2008
  • 최근에 홍수조절 기능과 비홍수기의 생태적 측면으로써 천변저류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홍수방어 대안으로 천변저류지 조성방안에 대한 검토와 조성된 천변저류지에 대한 습지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수리·수문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상지역은 경상남도 창녕군의 토평천 유역이다. 토평천 유역에 국내 최대 내륙 습지인 우포늪이 포함되어 있으며, 토평천은 낙동강의 지류이다. 천변저류지는 우포늪 상류와 하류에 조성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홍수기의 홍수위저감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수리분석은 HEC-RAS모형을 이용하였다. 모형의 모의는 천변저류지 조성 시나리오 7가지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의 시나리오 중에서 최대 0.56 m의 홍수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WAT모형을 이용하여 비홍수기에 천변저류지의 물수지 분석을 위한 수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물수지 분석 결과 1년 동안에 천변저류지의 최저수심이 1.3 m(세진지역)정도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홍수기 농업용 저수지의 홍수조절용량의 평가 (Evaluation of flood control capacity of agricultural reservoirs during flood season)

  • 장익근;이재용;이정범;김진수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4호
    • /
    • pp.69-75
    • /
    • 2014
  • We investigated flood control capacity of 484 agricultural reservoirs with storage capacity of over 1 million $m^3$ in South Korea. In general, agricultural reservoir secures flood control capacity by setting up limited water level during flood season from late June to mid-September. The flood control capacity of an agricultural reservoir during flood season can be divided into stable flood control capacity during non-flood season, stable flood control capacity associated with limited water level, and unstable flood control capacity associated with limited water level. In general, the flood control capacity significantly (P < 0.001) increased with reservoir capacity irrespective of type of spillway. The unstable flood control capacity accounted for about 20 % of reservoir capacity in the uncontrolled reservoirs. The study reservoirs showed flood control capacity of 0.60-65 billion (B) $m^3$ and stable flood control capacity of 0.43-47 B $m^3$, depending on the upper and lower limited water levels during the flood season. The stable flood control capacity of the gated reservoirs (0.29-0.33 B $m^3$) was about two times than that of reservoirs with uncontrolled spillways (0.14 B $m^3$). The ratios of stable flood control capacity to reservoir capacity for agricultural reservoirs range from 21 to 23 %, similar to that for Daecheong multipurpose dam. Moreover, the reservoirs with over 100 mm ratio of flood control capacity to watershed area accounted for 38 % of total gated reservoirs. The results indicate that many agricultural reservoirs may contribute to controlling flood in the small watersheds during the flood season.

화포천 유역의 천변저류지 조성을 통한 홍수 저감효과 분석 (The Reducing Effects Analysis of Floods through Washland Construction in Hwapocheon Basin)

  • 정영원;김영도;박재현;윤병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489-1493
    • /
    • 2009
  • 우리나라는 매년 홍수에 의해 엄청난 재난과 인명손실, 경제적 손실 등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대책 수립과 피해 복구에 많은 부담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에 위치한 김해 화포천 유역에 천변 저류지를 조성함으로써 홍수기의 홍수위 저감효과를 분석하고 비홍수기시에는 천변저류지를 습지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리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화포천의 경우 과거 홍수에 취약한 지역으로 화포천의 수위가 낙동강 본류의 수위보다 낮아 내수배제 방식으로 홍수를 대비해왔다. 그러나 최근 증가되고 있는 집중호우 등으로 배수 용량 증설과 제방고 변화의 구조적 방안들의 한계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홍수기시 홍수위 저감효과 분석을 위해 HEC-RAS의 부정류 해석을 이용하였다. 천변저류지의 조성은 그 위치와 규모에 따라 HEC-RAS 모형에 시나리오별로 적용하여 홍수위 저감효과를 모의 분석하였다.

  • PDF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유역내 구조적 홍수방어 대안 도출 (Flood Mitigation Planing for a Basin Using a Decision Tree Model)

  • 변성호;강현직;한정우;김태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1B호
    • /
    • pp.33-40
    • /
    • 2008
  • 우리나라는 6월부터 9월까지의 우기에 강우가 집중 발생하는 기상특성으로 인해 자연재해의 95% 이상이 집중호우와 태풍에 의한 풍수해로 집계되고 있을 만큼 홍수피해에 취약하며, 오래전부터 홍수방어에 대한 구조적 대책이 시행되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결정기법중의 하나인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하여 유역내 홍수방어를 위한 기본적인 후보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후보대안은 유역이 가지고 있는 치수적 기능을 최대한 살리고 상 하류의 유기적인 홍수방어기능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키는 다수의 조합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유역종합치수계획 수립시 적용가능한 홍수방어 대안 조합 지침을 제시하였다.

Analyzing on the cause of downstream submergence damages in rural areas with dam discharge using dam management data

  • Sung-Wook Yun;Chan Yu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3호
    • /
    • pp.331-347
    • /
    • 2023
  • The downstream submergence damages caused during the flood season in 2020, around the Yongdam-dam and five other sites, were analyzed using related dam management data. Hourly- and daily-data were collected from public national websites and to conduct various analyses, such as autocorrelation, partial-correlation, stationary test, trend test, Granger causality, Rescaled analysis, and principal statistical analysis, to find the cause of the catastrophic damages in 2020. The damage surrounding the Yongdam-dam in 2020 was confirmed to be caused by mis-management of the flood season water level. A similar pattern was found downstream of the Namgang- and Hapcheon-dams, however the damage caused via discharges from these dams in same year is uncertain. Conversely, a different pattern from that of the Yongdam-dam was seen in the areas downstream of Sumjingang- and Daecheongdams, in which the management of the flood season water level appeared appropriate and hence, the damages is assumed to have occurred via the increase in the absolute discharge amount from the dams and flood control capacity leakage of the downstream river. Because of the non-stationarity of the management data, we adapted the wavelet transform analysis to observe the behaviors of the dam management data in detail. Based on the results, an increasing trend in the discharge amount was observed from the dams after the year 2000, which may serve as a warning about similar trends in the future. Therefore, additional and continuous research on downstream safety against dam discharges is necessary.

강우 빈도와 마코프 연쇄의 상태모형에 의한 일 강우량 모의 (Daily Rainfall Simulation by Rainfall Frequency and State Model of Markov Chain)

  • 정영훈;김병식;김형수;심명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3
    • /
    • 2003
  • In Korea, most of the rainfalls have been concentrated in the flood season and the flood study has received more attention than low flow analysis. One of the reasons that the analysis of low flows has less attention is the lacks of the required data like daily rainfall and so we have used the stochastic processes such as pulse noise, exponential distribution, and state model of Markov chain for the rainfall simulation in short term such as daily. Especially this study will pay attention to the state model of Markov chain. The previous study had performed the simulation study by the state model without considerations of the flood and non-flood periods and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rainfall for the period of a state.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afore mentioned two cases and compares the results with the known state model. As the results, the RMSEs of the suggested and known models represent the similar results. However, the PRE(relative percentage error) shows the suggested model is better results.

  • PDF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에서의 조석·조류 비대칭과 창·낙조 우세 분석 (Analysis of Tidal Asymmetry and Flood/Ebb Dominance around the Yeomha Channel in the Han River Estuary)

  • 윤병일;우승범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9호
    • /
    • pp.915-928
    • /
    • 2012
  •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의 조석 조류 변형과 창 낙조 우세를 분석하기 위해서 4개 정점에서 동기간에 관측한 조류자료와 기 관측된 조석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석 및 조류의 변형 정도는 $M_4/M_2$ 진폭비를 분석한 결과 상류로 갈수록 증가하며, 조석의 상대 위상차($2M_2-M_4$)를 계산하면 모든 정점의 값이 $180^{\circ}C$ 이하로 창조 우세를 보여준다. 그러나 조류자료의 통계분석 결과를 보면 조석 조화상수의 상대 위상차 결과와는 다르게 최강 평균 낙조가 창조에 비하여 강하게 나타나며, 정조시각을 이용하여 창조, 낙조 지속시간을 계산하면 낙조 지속시간이 길게 나타난다. 각 조류 관측정점의 주축 방향 유속성분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인천항 이후 염하수로 북쪽입구까지는 상관도 값이 0.9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류 분석결과에서 보여지는 낙조가 우세하고 낙조 지속시간이 긴 형태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조화분해 결과를 재구성하였다. 주 분조($M_2$)와 천해 분조($M_4$)를 결합하면 창조가 우세하고 낙조 지속시간이 긴 전형적인 창조우세 형태의 곡선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 곡선에 조류 성분의 산술 합으로 계산한 비 조류성분(잔차류)의 값을 더하면 낙조가 강해지고 낙조 지속시간이 긴 형태로 나타난다. 즉, 천해분조에 의해서 발생하는 상류방향의 흐름을 극복하는 담수와 하구 비선형 효과에 의해서 생성되는 장주기 조류성분과 같은 낙조방향의 평균적인 흐름이 존재하기 때문에 독특한 낙조심화 현상이 염하수로에서 나타난다.

EFDC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에서의 2차원 수리해석 - 보 구간의 유속 및 도달시간 중심으로 - (2-D Hydrodynamic Analysis using EFDC in the Nakdong River - Focused on Velocity and Arrival Time Between Weirs -)

  • 김범진;김병현;한건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6-5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을 대상으로 EFDC 모형을 구축하고, 2차원 수리해석을 수행하였다. 홍수기와 평수기에 대한 모의를 위해 실측수위, 보 방류량, 지류유입량을 포함하는 실측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계산 결과를 관측소에서의 실측수위와 비교함으로서 적용 모형의 정확성과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계산결과에 대한 PBIAS, RSR, RMSE를 산정하여 모형의 통계적 정량적인 평가도 수행하였다. 모형의 검증 후 보의 일정 방류 시나리오 유량조건을 적용하여 각 보 구간별 평균유속을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평균유속은 유량조사사업단에서 조사한 평균유속과의 비교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현장에서 실무적으로 적용 가능한 간편 도달시간 산정방법을 제안하고 그 방법을 적용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하였으며, 제안 방법은 홍수 예경보 등 현장의 실무에서 실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공간적 유량 변화를 고려한 탄력적 하천관리 기준유량 산정 및 평가 (Evaluation of flexible criteria for river flow management with consideration of spatio-temporal flow variation)

  • 박정은;김한나;류경식;이을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8호
    • /
    • pp.673-683
    • /
    • 2016
  • 시 공간적 유량변화를 반영한 탄력적인 하천수 사용허가 기준유량 설정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금호강 유역에 적용하여 현재 관리방식과 비교 평가하였다. 홍수기/이수기, 관개기/비관개기를 고려하여 4개의 시기로 구분하고, SWAT모형의 10년간 일별 모의 자연유량을 활용하여 유역내 주요지점인 동촌과 성서 수위관측지점에서 각 기간별 안정적으로 흐르는 유량(기준갈수량, 저수량, 평수량, 평균갈수량)을 판단하였다. 금호강 19개 표준유역의 4개 시기별 안정적으로 흐르는 유량에서 하천유지유량을 제외한 값을 시기별 허가기준유량으로 설정하고 하천수 허가량과 회귀량을 고려하여 가용유량을 산정하였다. 현재 연중 일정하게 적용되는 하천수 사용허가 기준유량(기준갈수량에서 유지유량을 제외한 값)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탄력적 기준유량을 적용하였을 때를 비교한 결과, 추가적인 수자원 확보시설을 건설하지 않고도 10.6 백만$m^3$/년의 가용수량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 공간적 유량변화를 고려한 탄력적 하천관리 기준유량 산정 방안은 효율적인 물이용을 위한 정책 개선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