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ogen yield

검색결과 1,810건 처리시간 0.029초

질소(窒素)의 만기추비(晩期追肥)가 수도(水稻)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Nitrogen Top Dressing at Later Stages on the Growth and Grain Yield of Rice)

  • 한문갑;안수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74-182
    • /
    • 1985
  • 우리나라 수도재배상(水稻栽培上) 중요(重要)한 과제(課題)의 하나인 질소효율(窒素效率)을 높이면서 다수확(多收穫)을 기(期)할 목적(目的)으로 생육후기(生育後期)의 질소추비(窒素追肥)의 효과(效果)를 구명(究明)코자 실험(實驗)한 바 다음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질소(窒素) 증시(增施)에 의해서 엽면적(葉面績)과 순동화율(純同化率)이 향상(向上)되고 많은 영화수(穎花數)가 확보(確保)되었다. 2 질소(窒素)의 생육후기(生育後期) 중점시용(重點施用)은 생식생장기(生殖生長期)와 결실기(結實期)의 생장속도(生長速度)를 높였으며 분얼(分蘖)의 유효화(有效化)및 생산기관(生産器官) 대(對) 비생산기관(非生産器官) 비율(比率)을 크게 만들어 질소효율(窒素效率)을 높이는데 기여(寄與)하였다. 3. 수도(水稻) 다수확재배(多收穫栽培)에서 질소(窒素)의 생육후기중점시용(生育後期重點施用)은 내파성(耐把性) 품종(品種)의 재배(栽培)및 지력배양(地力培養)과 함께 유효(有效)한 방법(方法)이었다.

  • PDF

Aureobasidium pullulans에 의한 플루란 생산에서 pH와 질소원의 영향 (Effects of pH and Nitrogen sources on the Pullulan Production by Aureobasidium pullulans)

  • 나건;이기영;박돈희
    • KSBB Journal
    • /
    • 제11권4호
    • /
    • pp.497-503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질소원의 종류와 농도 그리고 pH가 플루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A Aureobasidium pullulans에 의한 플루란 생산시 가장 좋은 질소원으로는 수율 62%를 얻은 peptone 이었고, 최적 질소원 농도는 유기질소원의 경우 탄 소원/질소의 비가 50j0.15N이었고 그 이상에서는 저해가 일어났다. 훈합질소원 I, II, III을 사용하 였을 때 각각 29.1, 27.4, 26.5g/L의 플루란 생산량 을 보였다. 그러므로, 혼합 질소원을 잘 이용하면 플 루란을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었다. pH를 조절하 지 않을 때가 pH를 일정하게 할 때보다는 플루란 수율이 높았다. 또, 유가식배양시 탄소원과 질소원을 함께 공급하였을 때가 질소원만을 공급하였을 때 더 큰 플루란 수율을 보였다.

  • PDF

질소시비량과 예취시기가 답리작 호밀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Level and Cutting Time on Forage Yield and Feed Value of Rye in Paddy Field)

  • 김창호;채제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73-381
    • /
    • 1994
  • 호밀을 답리작으로 재배시 수량, 일반사료성분과 에너지 함량 및 수량을 질소시비량 및 예취시기에 따른 반응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호밀은 질소시비량이 30kg/10a까지 많을수록 청예 및 건물수량이 증가하고 건물률은 감소하였으며 식물체의 엽신과 엽초의 비율은 증가하는 반면 줄기와 이삭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2. 호밀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단백질, 총가소화양분(TDN), 무기물 및 에너지 함량과 수량이 모두 증가하였으며 ADF(acid detergent fiber) 와 NDF(neutral detergent fiber)의 함량은 감소하고 상대적사료가치가 높아졌다. 3. 질소시비량이 많아지면 예취시기가 늦더라도 전체 조단백질 함량 중에서 가급태 단백질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낮아지지 않았다. 4. 호밀의 수확적기는 관행사료가치의 관점에서 는 대체로 유숙기 무렵으로 판단되었으나 사료의 에너지 관점에서는 이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증체에너지(NEG)와 유지에너지(NEM) 면에서 본 수확적기는 개화후기에 높고 관행사료가치보다 10일정도 빨랐으며 에너지추정값(ENE)과 필유에너지(NEL)는 유숙기 무렵으로 같았다.

  • PDF

질소시비에 대한 Sudangrass의 생육 및 수량반응과 질소이용성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Growth, Forage Yield and Nitrogen Use of Sudangrass)

  • 윤진일;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6-71
    • /
    • 1982
  • 질소시비에 대한 sudangrass의 생장 및 수량반응과 질소이용성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서울대 농대 실험농장에서 품종 ‘Piper’ sudan을 파종하고 년간 100, 200, 400, 800kg/ha 수준의 질소비료를 시용하여 1979년과 1980년에 반복실험을 실시한 바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질소증시에 의한 엽면적과 건물중은 1979년 400kg.N/ha.year, 1980년 800kg.N/ha.year수준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며 저온과 일사량의 부족으로 1980년의 건물수량은 1979년에 비하여 대체로 낮았다. 2. 엽면적지수(LAI)가 증가함에 따라 작물생장속도(CGR)은 정의 직선회귀를 보였다. 3. 질소의 증시에 따라 체내 전질소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각재생기별로 최고수준은 달랐으며 전질소함량은 차이가 크게 났다. 아울러 NO$_3$$^{-}$N 함량은 800kg.N/ha.year 수준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중독을 유발하는 위험수준을 초과하였다. 4. 지상부 식물체에 의한 질소회수율은 평균 34%에 불과하였고 시비수준에 따른 경향은 명백하지 않았다. 5. Sudangrass는 고온.다조 조건에서 순동화속도(NAR)가 증가되었고 단위질소시용량당 건물생산량으로 표시된 질소시용 효율은 향상되었다.

  • PDF

버어리종, 황색종, 양건종, 담배의 유전분석에 관한 연구 III. $F_1$의 유전분석 (STUDIES ON THE GENETIC ANALYSIS AMONG BURLEY, FLUE-CURED AND SUN-CURED TYPE TOBACCO. III. GENETIC COMPONENTS IN $F_1$ GENERATION.)

  • 한철수;김용암;정기택;이종두;권구홍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5-55
    • /
    • 1987
  • For some basic information in tobacco breeding, the modes of inheritance and heritabilities for the twelve agronomic and chemical characters were estimated in the study of eight varieties partial diallel set. Additive gene actions were significant for all characters except total nitrogen content and dominance gene effects were also significant for all characters. Yield, number of leaves per plant, leaf length and leaf shape index were inherited as partial dominance, and overdominance was detected for plant height, stem diameter, internode length, total alkaloid, total nitrogen and total sugar content. Dominant gene showed increasing effects in yield, plant height, stem diameter, internode length, leaf width and total sugar content, but showed decreasing effects in the other characters. The broad heritability was very high for all characters. and the narrow heritability was high in days to flower and yield, but low in internode length, total alkaloid, total nitrogen and total sugar content.

  • PDF

폐지섬유를 이용한 완효성 요소비료가 배추의 생육 및 수량과 토양의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low-Released Nitrogen Fertilizer Using Waste Paper Slurry on the Growth and Yield of Chinese Cabbage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 백준호;김복진;박우철;강상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7-331
    • /
    • 1999
  • Pot당 풍건토양 15㎏에 질소비료를 제외한 인산과 가리비료만 시용한 무질소구(None-N), 질소비료로 요소를 시용한 요소구(urea, control)와 질소비료로 폐지섬유를 이용한 시제품을 사용한 시제품구(SRF)에 배추(평강하보배추)를 공시하여 작물의 생육,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작물의 양분이용율 및 토양의 화학적 특정변화 등을 조사하여 실용화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제품의 질소수중용출량은 12시간까지는 60.4%로 급격하게 용출량이 많았으나, 그 후 서서히 용출되어 72시간에 75%까지 용출되었다. 최엽장은 시제품구와 요소구간에 전생육기에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정식 후 40일의 엽록소 함량과 광합성능력은 시제품구에서 요소구보다 다소 높았다. 구고, 구폭, 엽수 및 개체당 생체중은 시제품구와 요소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수확기에 식물체중 전질소함량과 질소이용율은 시제품구가 요소구보다 높았으며, 질소흡수량은 시제품구가 요소구보다 11% 높았다. 시험 후 토양중 전질소함량은 시제품구와 요소구간에 비슷한 경향이었다.

  • PDF

유휴 논토양을 이용한 Reed Canarygrass의 잠재생산성에 관한 연구 I. 예취빈도에 따른 무기태 질소의 시비가 Reed Canarygrass의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Potential Herbage Production of Reed Canarygrass (Phalaris arundinacea L. ) using Uncultivated Rice Paddy. I The effect of mineral nitrogen fertilization according to cutting frequencies on dry matter yield on Reed canarygrass)

  • 이주삼;조익환;안종호;김성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71-280
    • /
    • 1994
  • 본 실험은 전차 확대대어 가는 유휴 논토양에 Reed canarygrass를 재배하였을 때 , 예취빈도와 무기태 질소시비가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Reed canarygrass의 잠재생산성의 증대를 위한 경제적 이고도 합리적인 예취빈도와 지로시비수준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취빈도에 EKfms 예취번초의 상대수량은 3회와 4회 예취구에서 2번초, 5회 예취구에서는 3번초에서 연간 건물수량의 43.1, 34.0 및 34.1%를 나타내어, 다른 예취번초에 의하여 가장 높은 상대수량을 기록하였다. 2. 모든 예취구에서 질소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연간 건물수량이 증가하였으나, 무기태 질소는 예취빈도멸 30kg/ha으로 증시하였을 때 무질소시비구에 비해 3회 4회 5회 예취에서 각각2.7ton, 3.3ton 및 3.4ton/ha의 가장 큰 건물수량의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4. 질소시비에 따른 전물생산효율(kg DM/kg N)은 3, 4회 및 5회 예취구의 30kg/ha 수준에서 2937kg, 27.2kg 및 22.8kg의 가장 높은 건물을 생산하였으나, 그 이상의 질소시비수준에서의 건물생산효율은 저하되었다. 전질소량(kg TN/kg N)에 있어서도 예취빈도별 30kg/ha(4회와 5회 예취구)와 60kg/ha 수준(3회 예취구)에서 각각 0.45kg, 0.48kg 및 0.46kg의 높은 전질소량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의 질소시비수준에서 전질소량은 저하되었다. 5, 경제적 시비수준의 범위는 3회 예취구에서 119.2~243.3kg/ha, 4회 예취구에서 253.4~295.4kg/ha 그리고 5회 예취구에서 302.2~361.2kg/ha의 범위였다. 6. 본 실험의 조건에서 논토양에서 재배되고 있는 Reed canarygrass의 잠재생산성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예취빈도는 연간 3회로써, 질소이용효율이 높았고, 경제적 시비수준은 200~240kg/ha에서 15~16ton/ha정도의 경제적 한계수량을 얻었고, 400kg/ha 미만의 한계시비수준에서 17ton/ha의 최대건물수량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유수분화기 식생지수와 SPAD값에 의한 벼 질소 수비 시용량 결정 (Determining Nitrogen Topdressing Rate at Panicle Initiation Stage of Rice based on Vegetation Index and SPAD Reading)

  • 김민호;부금동;이변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386-395
    • /
    • 2006
  • 목표 수량과 단백질함량을 얻기 위한 질소 수비처방을 위해서는 유수형성기 전후 생체정보의 정확한 진단뿐만 아니라 유수형성기 이후 작물의 질소 축적 및 이에 따른 수량 및 미립 단백질 함량 반응이 정량화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수분화기 생육 및 질소영양상태를 잘 대표하는 RVI green과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SPAD값의 유수분화기와 유수분화기 1주일전의 측정치 및 유수분화기부터 수확기까지 즉 생식생장기 지상부 질소 축적량(PNup)을 변수로 하는 수량 및 단백질함량 예측 중회귀 모델과 PNup 예측 회귀모델을 작성하여 이들의 수비 처방에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유수분화기 및 유수분화기 1주일전의 RVIgreen과 SPAD값, 그리고 PNup을 이용하여 얻은 수량과 단백질함량의 중회귀모형은 어느 경우에나 모델의 결정계수($R_{2}$)가 0.9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2. 수량을 최대로 하는 생식생장기 질소흡수량(PNup)은 유수형성기 전후 RVIgreen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본 연구의 유수형성기 전후 RVIgreen 범위로 보면 $9{\sim}13.5kg/10a$ 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PNup은 유수형 성기 전후 SPAD값과는 무관하게 $10{\sim}11kg/10a$ 범위로 나타났다. 3. 미립의 단백질함량을 7% 이하로 하는 유수형성기 질소흡수량은 유수형성기 전후 RVIgreen과 SPAD값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으로 어느 경우에나 $6{\sim}8kg/10a$로 추정되어 최대수량을 위한 생식생장기 질소흡수량 $9{\sim}13.5kg/10a$ 보다 크게 낮았다. 따라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수비 처방을 위해서는 수량보다도 단백질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처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본 실험결과 수비질소의 회수율은 $53{\sim}83%$의 변이를 보였는데, 생식생장기 생육량이 많을 수록 회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수비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생식생장기 천연질소공급량은 $3{\sim}4kg/10a$ 범위였으며 유수분화기 생육량이 많을 경우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수비 질소시비량 및 유수분화기 생육 및 질소 영양 지표들을 예측변수로하는 PNup 예측모델을 작성하였으며 이 모델들은 적합도가 매우 높았다. 5. 영양생장기 생육 및 질소영양 상태의 비파괴적 측정치를 이용하여 목표 수량과 단백질함량에 달할 수 있도록 수비질소 시용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여기서 제시한 모델들이 광범위한 조건에서 이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품종, 토양, 기상 조건에서 모델의 검증과 보완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초용 호맥 (Secale cereale L.) 과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L.) 의 혼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ixed Cropping with Forage Rye (Secale cereale L.) and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L.))

  • 전병태;이상무;문상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9-207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eding method and seeding ratio in mixed cropping of forage rye and red clover on dry matter yield, nutritional yield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The main treatment was two seeding methods(drilling and broadcasting) and the sub treatment was six seeding ratios between rye and red clover(T1; 150kg : 0 kg/ha, T2; 120 : 3, T3; 90 : 6, T4; 60 : 9, T5; 30 : 12, T6; 0 : 15).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t the College of Natural Science of Kon-Kuk University in Chungju in 1992.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seeding ratio of red clover, but content of NDF and ADF were decreased. 2. The seeding method did not affects significantly the dry matter yield, but broadcasting showed higher dry matter yield than drilling in the same seeding ratio. Especially, T3 of broadcasting was the highest yield of 13, 172 kg/ha The T3 of broadcasting and T4 of drilling showed hlghly crude protein yield of 1, 268 kgha and 1, 252 kg/ha, respectively. 3. Comparing the each seeding ratio of two seeding method, total nitrogen yield of shoot and root of drilling were higher than broadcasting. Especially, T2 and T4 of drilling were the highest in total nitrogen yield. 4. There were more increase in organic matter and nitrogen contents but decrease in K, Ca of soil by increasing the seeding ratio of red clover than soil before experiment. In the seeding methods, broadcasting was an effect of soil improvement.

  • PDF

대맥의 내산성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I. 토양산도와 질소시용량이 대맥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Acidity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Barley Cultivars)

  • 심재욱;이홍석;최경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2-22
    • /
    • 1988
  • 토양 및 양액의 pH와 질소시용량이 대맥 품종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양액의 PH가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현저하지 않았다. 2. 양액중에 0.6 mM의 Al 처리에 의하여 유묘의 근 및 지상부 생육이 현저히 억제되었는데 두산1002는 거의 생장저해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Al에 내성품종으로 나타났다. 3. 엽중의 엽록소함량은 토양 pH의 저하에 따라 감소하였고 질소증가에 따라 엽록소 및 질소함량은 증가하였다. 4. 출수기는 토양 pH의 증가에 따라 1~2일 빨라졌으며 질소증가에 따른 출수기의 변화는 현저하지 않았고 품종에 따라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5. 간장은 토양 pH의 저하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고 질소증시효과는 현저하지 않았다. 6. 지상부 건물중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토양 pH의 감소에 의하여 감소하였고 질소증시에 따라 증가하였다. 7. m$^2$당 수수는 토양 pH가 낮을 때 감소하였는데 그 정도는 새올보리에서 작은 편이었고 질소증시효과는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8. 수당립수는 질소증시효과가 별로 나타나지 않았고 pH의 효과는 새올보리, 팔달보리, 강보리 등에서 토양 PH가 낮을수록 감소되었다. 9. 1.000립중은 pH 4.5 수준에서 현저히 감소되었고 질소증시효과는 현저하지 않았다. 10. 수량은 토양 pH가 낮을 때 현저히 감수되었고 생육기의 토양 pH는 모든 공시품종에서 수량과 고도의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질소증시효과는 현저하지 않았으며 토양 pH에 따른 수량의 안정성은 저수품종에서 크고 다수품종에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11. 수량은 간장, 건물중, 수당립수 및 1,000립중 등과 고도의 유의상관을 나타내었고, 토양pH에 따른 이들 상관정도의 차이는 현저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