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ogen absorption

검색결과 447건 처리시간 0.027초

왕겨펠렛 생물담체 개발 및 이를 이용한 bio scrubber형 악취제거 시스템 성능평가 (Developmemt of Rice Husk Pellets as Bio-filter Media of Bio Scrubber Odor Removal System)

  • 배지열;한상종;박기호;김광수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54-566
    • /
    • 2018
  • The rice husk contains nutrients which can be easily utilized by microorganisms, and also has a water retaining ability, which played a crucial part in enabling it to become a biofilter media.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rice husk pellet bio-scrubber as a microbiological carrier. The pelletization experiment of rice husk as a biological media was performed using PVA and EVA binder. Also, the feasibility tests of rice husk as a biological media for odor removal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know whether rice-husk contains useful components as a media for microbiological growth or not. Lastly, a combined test for odor gas absorption and biological oxidation was conducted using a lab scale bio-filter set-up packed with rice-husk pellets as wet-scrubber. The major components of the rice husk were carbon, hydrogen, nitrogen, and oxygen, while carbon acted as the main ingredient which comprised up to 23.00%. The C : N : P ratio was calculated as 45 : 1 : 2. Oxygen uptake rate, yield and decay rate of the rice husk eluent was calculated to be $0.0049mgO_2/L/sec$, 0.24 mgSS/mgCOD and 0.004 respectively. The most stable form of rice husk pellets was produced when the weight of the rice husk, EVAc, PVAc, and distilled water was 10 : 2 : 0.2 : 10. The prepared rice husk pellets had an apparent density of 368 g/L and a porosity of 59.00% upon filling. Dry rice husks showed high adsorption capacity for ammonia gas but low adsorption capacity for hydrogen sulfide. The bio-filter odor removal column filled with rice husk pellets showed more than 99.50% removal efficiency for NH3 and H2S gas. Through the analysis of circulation water, the prime removal mechanism is assumed to be the dissolution by water, microbial nitrification, and sulfation.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microorganisms could survive well on the rice husk pellets, which provided them a stable supply of nutrients for their activity in this long-term experiment. This adequate supply of nutrients from the rice husk enabled high removal efficiency by the microorganisms.

사문암 지역 소나무림의 탄소수지 연구 (Carbon Budget of Pine Forest in Serpentine Area)

  • 양금철;남궁현민;김정섭;한미경;심재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76-685
    • /
    • 2018
  • 경북 안동 사문암 지역의 소나무군락에서 2017년 0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1년간 매목조사, 미기상 및 토양호흡 측정을 통해 탄소수지를 측정하였다. 사문암 지역에서 토양호흡량은 연중 42.48 ~ 262.61 g $CO_2{\cdot}m^{-2}{\cdot}month^{-1}$의 범위로, 평균 $151.71{\pm}75.09g$ $CO_2{\cdot}m^{-2}{\cdot}month^{-1}$로 측정되었다. 대조구인 비사문암 지역의 소나무림에서는 연중 20.94 ~ 449.24 g $CO_2{\cdot}m^{-2}{\cdot}month^{-1}$의 범위로 조사되었으며, 평균 $165.09{\pm}118.96g$ $CO_2{\cdot}m^{-2}{\cdot}month^{-1}$로 측정되었다. 사문암 지역과 비사문암 지역의 총 탄소저장량은 각각 91.90, $222.85ton{\cdot}ha^{-1}$로 나타났으며, 연간 탄소흡수량은 각각 7.99, $17.41ton{\cdot}ha^{-1}{\cdot}yr^{-1}$로 나타났다. 사문암 지역은 연간 $5.3tonC{\cdot}ha^{-1}$, 비사문암 지역은 연간 $14.49tonC{\cdot}ha^{-1}$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습지를 이용한 축산폐수처리장에서 수생식물의 생육특성과 영양염류 흡수특성 (Growth Characteristic and Nutrient Uptake of Water Plants in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Livestock Wastewater)

  • 박종환;서동철;김성헌;이충헌;최정호;이상원;이동진;하영래;조주식;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51-358
    • /
    • 2012
  • 수생식물은 인공습지 오 폐수처리장에서 여재의 입단 형성을 촉진시켜 폐수의 투수속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악취를 줄이고 미관상 혐오감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수처리효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수생식물여과조-활성슬러지-인공습지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시공한 축산폐수처리장에서 수생식물의 생육특성 및 영양염류의 흡수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3차 수직 흐름조에는 갈대, 4차 수평 흐름조에는 노랑꽃창포 및 5차 수평 흐름조에는 갈대, 노랑꽃창포 및 부들을 2010년 7월에 이식하였으며, 축산폐수 처리시일을 1, 3 및 5개월로 구분하여 각 수생식물의 생육특성과 영양염류 흡수특성 조사하였다. 수생식물의 생육특성은 갈대, 노랑꽃창포 및 부들 모두 처리시일 3개월인 10월까지는 수생식물의 성장과 동시에 수생식물이 무성하게 퍼졌으며, 특히 노랑꽃창포의 경우 타 수생식물에 비해 생육이 매우 좋았다. 수생식물의 생육 5개월 후인 2010년 12월의 경우는 겨울철 식물의 고사로 인하여 수생식물의 생육이 저조하였다. 수생식물의 영양염류 흡수특성은 수생식물 이식 후 1개월까지 점점 증가하였으나 증가폭이 크지 않았고, 수생식물 이식후 3개월 후인 가을철에는 수생식물의 질소 흡수량이 최대가 되었다. 그러나 수생식물 이식 후 5개월 후인 겨울철에는 수생식물의 고사로 인해 수생식물의 잎과 줄기가 고사하여 영양염류의 흡수량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수생식물 종별 영양영류의 흡수특성은 노랑꽃창포 ${\gg}$ 부들 > 갈대 순이었고, 특히 노랑꽃창포가 다른 수생식물에 비해 영양염류의 흡수량이 매우 높았다.

수도묘(水稻苗)에 시용(施用)한 규산(珪酸)과 인산(燐酸)의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ffects of Silicate and Phosphate Application on the Growth of Rice Seedling)

  • 김문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7-21
    • /
    • 1970
  • 답(畓)에 시용(施用)한 규산(珪酸)과 인산(燐酸)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 연구(硏究)하기 위해서 직경(直徑) 15cm의 Petri dish에 200grs의 풍건세토(風乾細土)와 3 수준(水準)의 규산(珪酸) 인산(燐酸) 처리(處理)를 하고 질소(窒素)와 가리(加里)는 동일량(同一量)을 매회(每回) 처리(處理)하는 9개구(個區)를 설치(設置) 농림(農林) 25호(號)를 100립(粒) 씩 최아(催芽) 낙종(落種)하여 5회(回) 계속(繼續) 재배(栽培)하고 식물체분석(植物體分析) 및 토양분석(土壤分析)을 실시(實施)한 성적(成績)을 분석(分析) 평가(評價)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인산(燐酸)의 흡수량(吸收量)이 많을수록 수도묘(水稻苗)의 건물중(乾物重)은 현저히 증대(增大)하였으나 규산(珪酸)의 흡수량(吸收量) 증대(增大)로 건물중(乾物重)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 시험(試驗) 후(後) 토양(土壤)의 유효 인산함량(燐酸含量)이 많은 것일수록 식물체중(植物體中)의 규산함량(珪酸含量) 및 흡수량(吸收量)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며 $SiO_2/P_2O_5$의 비율(比率)은 현저히 감소(減少)되었다. 3. 규회석(珪灰石) 시용(施用)으로 시험(試驗) 후(後) 토양중(土壤中)의 유효 규산(珪酸), 석회(石灰) 함량(含量)과 식물체(植物體) 중(中)의 규산(珪酸) 함량(含量), 규산(珪酸) 흡수량(吸收量) $SiO_2/P_2O_5$의 비율(比率)은 현저히 증대(增大)되었으며 4. 토양중(土壤中)의 유효규산함량 자체(自體)의 증대(增大) 보다도 석회함량(石灰含量)의 증대(增大)가 식물체(植物體) 중(中) 규산함량(珪酸含量) 규산(珪酸) 흡수량(吸收量) 및 $SiO_2/P_2O_5$ 비(比)의 증대(增大)와 더욱 높은 상관(相關)을 보였다. 5. 식물체중(植物體中)의 $SiO_2/P_2O_5$의 비율(比率)을 조절(調節)하기 위해서는 토양중(土壤中)의 $SiO_2/P_2O_5$의 비율(比率)을 조절(調節)하므로서 가능(可能)하며 6. 식물체중(植物體中)의 $SiO_2/P_2O_5$의 비율(比率)(y)은 시험(試驗) 후(後) 토양중(土壤中)의 유효 $SiO_2/P_2O_5$의 비(比)(x)와 $y=0.665+1.420x-0.0825x^2$의 회귀관계(回歸關係)가 있으며 적중율(適中率)($r^2$)은 82%였다.

  • PDF

대두(大豆)의 영양생리(榮養生理)에 관(關)한 연구(硏究)(제(第) 1 보(報)) -생육수량(生育收量) 및 탄수화물(炭水化物) 집적(集積)과의 관계(關係) (Studies on the Nutritional Physiology of Soybeans -1. Relations between the Growth and Yield of Soybean Plants)

  • 강영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3-80
    • /
    • 1968
  • 대두(大豆)의 영양생리(榮養生理)의 연구(硏究)로서 위선(爲先) 시비시기(施肥時期)의 조지(早遲)에 따라서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을 조사(調査)하였다. 시비시기(施肥時期)는 제(第)1복엽전개기(複葉展開期) 즉(卽) 비교적(比較的) 빠른 시기(時期)에 시비(施肥)한 것이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현저(顯著)하게 좋은 성적(成積)을 나타냈다. 또 제(第)6복엽전관기(複葉展關期)에 시비(施肥)한 것은 상기(上記)의 경우에 비(比)해서 양호(良好)하지는 않았지만 비교적(比較的) 양호(良好)한 결과(結果)를 나타냈다. 개비기이후(開肥期以後)에 시비(施肥)한 것은 큰 차(差)를 초래(招來)하였다. 특(待)히 착협기이후(着莢期以後)의 시비(施肥)는 의의(意議)가 거의 없었다. 또 탄수화물집적(炭水化物集積)의 경우(境遇)을 조사(調査)하였는데 전탄수화물양(全炭水化物量), 가용성당양(可溶性糖量)을 둘다 시비시기(施肥時期)에 따라서 기관(器官)마다 어느정도(程度) 특유(特有)한 소장곡선(消長曲線)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현저(顯著)한 사실(事實)은 만기(晩期) 시비(施肥)한 경우인데 이때에는 정상(正常)한 생육(生育)을 위(爲)한 소장곡선(消長曲線)은 나타내주지 않았다. 또 조기시비(早期施肥)의 경우는 광합성(光合成)의 촉진(促進)도 왕성(旺盛)하다는 점(點)은 비료성분중(肥料成分中)에서도 질소(窒素)의 흡수(吸收)에 의(依)해서 체내(體內)의 함질소물(含窒素物)의 증가(增加)에 기인(起因)되어 있다는 점(點)도 지적(指摘)되였다. 시비시기조지(施肥時期早遲)에 있어서의 탄수화물함량(炭水化物含量)의 다소(多少)는 조기시복시(早期施服時)의 비효의 의의(意義)의 일부분(一部分)을 또한 명백(明白)하게 시사(示唆)하여 주었다.

  • PDF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Nitrogen Concentration in Pre-planting Fertilizers for the Cultivation of Tomato Plug Seedlings

  • Lee, Dong Hoon;Park, Myong Sun;Lee, Chiwon W.;Choi, Jong Myu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4호
    • /
    • pp.431-438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e-planting nitrogen (N) fertilization levels added to a soilless root medium on the growth of 'Dotaerang Dia' tomato seedlings. The N levels were varied for a total of 7 treatments: 0, 100, 250, 500, 750, 1,000, or $1,500mg{\cdot}L^{-1}$. The pH of the root media gradually rose in all treatments as the seedlings grew; however, the differences in the pH were not significant among the treatment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EC) of the root medi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from sowing to week three, then drastically decreased after week four, which diminished the differences in the EC among the treatments. At week six,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number of leaves, and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shoot were highest for the treatment with $500mg{\cdot}L^{-1}N$. In contrast, the treatment with $1,500mg{\cdot}L^{-1}N$ had the lowest results for all growth measurements. The fresh weight was 67% heavier in the $500mg{\cdot}L^{-1}N$ treatment compared to the $1,500mg{\cdot}L^{-1}N$ treatment. The total N content in the tissues was lowest in the treatment with $0mg{\cdot}L^{-1}N$ and highest in the treatment with $1,000mg{\cdot}L^{-1}N$. The contents of calcium (Ca), magnesium (Mg), and metal micronutrients in the tissues were highest in the $250mg{\cdot}L^{-1}N$ treatment. A previous study demonstrated that adjusting the fertilization level to promote growth to over 90% of the maximum growth is a good strategy for lowering production costs and preventing damage due to excessive fertilizer absorption by crop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optimal pre-planting N fertilization level for tomato plug seedlings should be lower than $500mg{\cdot}L^{-1}$ and the optimum tissue N contents should be around 3.21% to 4.60%.

Different Sources and Levels of Copper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and Nutrient Utilization of Castrated Black Bengal (Capra hircus) Kids Diet

  • Mondal, M.K.;Biswas,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7호
    • /
    • pp.1067-1075
    • /
    • 2007
  • Twenty eight 3-4 month old castrated Black Bengal kids (Capra hircu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ource and level of dietary copper (Cu) concentration on their performance and nutrient utilization. Cu was supplemented (0, 10, 20 and 30 mg/kg diet DM) as copper sulfate ($CuSO_4$, $5H_2O$) or copper proteinate (Cu-P). Kids were fed a basal diet containing maize (19.5%), soybean (17.0%), deoiled rice bran (56.5%), molasses (4.0%), di-calcium phosphate and salt (1.0% each) and mineral and vitamin mixture (0.5% each) supplements at 3.5% of body weight to meet NRC (1981) requirements for protein, energy, macro minerals and micro minerals, excluding Cu. The basal diet contained 5.7 mg Cu/kg, 122.5 mg Fe/kg, 110 mg Zn/kg, 0.26 mg Mo/kg and 0.32% S. $CuSO_4$ or Cu-P was added to the basal diet at the rate of 10, 20 and 30 mg/kg. Kids were housed in a well ventilated shed with facilities for individual feeding in aluminum plated metabolic cage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jugular vein on d 0, 30, 60 and 90 to determine hemoglobin (Hb), packed cell volume (PCV), total erythrocyte count (TEC), total leukocyte count (TLC) and serum enzymes (alkaline phosphatase, alanine transferase and aspertate transferase). A metabolism trial of 6 days duration was conducted after 90 days of experimental feeding.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source and level of Cu supplementation improved live weight gain (p<0.04) and average daily gain (p<0.01). No significant contribution of source and level of Cu to alter serum serum enzymes was evident. Goats fed Cu-P tended to have higher Hb, PCV and TEC than with $CuSO_4$ supplementation. Cu-P increased digestibility of ether extract (EE, p<0.02) and crude fiber (p<0.05) and showed an increasing trend (p<0.09) for digested crude protein (CP) and crude fiber (CF). Supplemental dose of Cu linearly improved (p<0.02)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EE and nitrogen free extract (NFE). Though the absorption of nitrogen (N) was not affected (p>0.10) by both source and dose of Cu, N retention was affected (p<0.04) and there was a significant $Source{\times}Dose$ interaction (p<0.05). Final body weight (BW) was not influenced (p>0.10) by the source of Cu but increasing dose of Cu increased (p<0.04) the BW of kids. TDN intake (g/kg $W^{0.75}$) was higher (p<0.05) with the increased dose of Cu and there was a significant $Source{\times}Dose$ interaction. It was concluded that supplementation of Cu from different sources and varying dose level in a concentrate based diet may improve performance, nutrient utilization and plane of nutrition in castrated Black Bengal kids. The effects on performance and nutrient utilization are more pronounced with Cu-P than $CuSO_4$ supplementation. Higher dose of Cu showed better result than lower dose.

경북지역 복숭아 과수원 토양 화학성 및 복숭아 엽의 양분함량 조사 (Soil Chemical Properties of Peach Orchard and Nutrient Content of Peach Leaves In Gyeongbuk Area)

  • 서영진;김종수;김재규;조제욱;권태영;이재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5-184
    • /
    • 2002
  • 복숭아 주산지역인 청도, 영덕, 영천지역 60개 과원을 대상으로 토양의 화학적 특성 및 엽중 양분함량을 조사하였다. 표토의 pH는 평균 4.8정도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고, 치환성 칼슘함량은 $3.66cmol^+kg^{-1}$, 석회 요구량은 $3,970kg\;ha^{-1}$정도였다. 산간지 토양이 평야지에 비해 석회요구량이 많았고 치환성 칼륨 및 마그네슘함량이 높았으며 양토에서 석회요구량이 가장 많았고 유효붕소함량은 양토와 사양토에서 높았다. 경작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심토의 유기물함량, 표토와 심토의 칼슘함량이 증가하였고 심토의 유효인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복숭아 엽중 질소와 인산함량은 적정범위에 비해 높았고 칼슘함량은 적정범위에 비해 낮았으며 유명, 창방조생등의 품종이 천홍, 선광등 nectarine 계통에 비해 칼륨함량이 높았다. 토양 유기물함량과 식물체의 칼륨함량과 정의 상관, 칼슘함량과는 부의 상관이었고 치환성 마그네슘함량과 식물체의 칼슘함량과는 부의 상관, 마그네슘함량과는 정의 상관이었다. 따라서 경북지역 복숭아 과원은 토양산도의 교정, 퇴비, 질소 및 인산질 비료의 사용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양파의 연작지(連作地)에서 질소(窒素) 및 가리비종별(加里肥種別) 생육반응(生育反應) (Effect of Nitrogen and Potassium Fertilizer Types on Growth Responce of Onions Under Continuous Cropping)

  • 신복우;유철현;이상복;정지호;한상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1-276
    • /
    • 1998
  • 양파의 연작재배시(連作栽培時) 질소비종(窒素肥種)(요소, 유안)과 가리비종(加里肥種)(염화가리, 황산가리), 그리고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석회)시용시 양분흡수량(養分吸收量)과 생육 그리고 수량성을 검토하고자 전남 무안군의 용계통(龍溪統)에서 천주황을 공시품종으로 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식물체중(植物體中) N P K 흡수량(及收量)은 요소 및 염화가리시용구보다 토양진단시비(土壤診斷施肥)에 의해 유안과 황산가리 혼합시용(混合施用)으로 흡수량이 높았다. 토양중(土壤中) 황함량(黃含量)은 수확기(收穫期)보다는 생육중기(生育中期)에, 식물체중(植物體中) 황함량(黃含量)은 수확기(收穫期)에 가장 높았으며 구중(球中)보다는 경엽(莖葉)에서 높았다. 양파구중(球中) 당도(糖度)는 7.43~8.23 Brix로 차이가 있었으며 구(球)의 크기별로는 소구(小球)보다는 대구(大球)에서 높았다. 토양진단시비(土壤診斷施肥)에 의한 유안과 황산가리 혼용시용(混用施用)으로 건물중(乾物重)의 증가 및 구(球)의 상품율(上品率)이 높아 관행에 비해 2~6% 증수되었다.

  • PDF

버섯배지 재료로서 케나프의 이화학성 분석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enaf(Hibiscus cannabinus L.) as mushroom culture media source)

  • 강찬호;유영진;서상영;최규환;이기권;송영주;김정곤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07-211
    • /
    • 2015
  • Kenaf(Hibiscus cannabinus L.)의 버섯 배지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물리성과 영양원 함유량 등을 분석한 결과 배지의 형태를 유지하고 영양원의 공급기지 역할을 하는 주재료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았으며 탄소, 질소 함량과 C/N율, 일반성분, 미량원소 그리고 아미노산 함량 등도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서 배지 영양원으로서 역할도 기대할 수 있었다. 실제로 Kenaf는 다공성 세포구조 특성으로 높은 함수능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bast 부위의 경우 수분 흡수율이 578%로 수분 조절제와 산소 공급자 역할을 충실히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 탄소 함량은 91.4%로 포플러톱밥이나 밀기울, 미강에 비해 아주 높았다. 총 질소는 1.76%로 배지 주재료로는 높은 특성을 유지하였으며 C/N율은 51.9 였다. 가용성무질소물은 46.6%로 미강 정도의 수준을 유지하였다. 탄소원 구성을 보면 cellulose 함량은 포플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고 lignin 함량은 낮았는데, 비교적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탄소원인 hemicellulose+pectin 혼합물이 포플러에 비해 3.7% 많았다. 무기이온 함량도 케나프가 포플러톱밥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았는데 Fe은 4.2배, P은 3.2배, K는 2.2배 많았고 Ca는 16 mg/kg 더 많았다. 아미노산 함량은 전체적으로 포플러톱밥보다 많았으며 미강보다는 함량이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