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te scavenging effect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5초

새송이 버섯과 그 부산물의 항산화성 (Antioxidative Effects of Pleurotus eryngii and Its By-products)

  • 조현소;이현지;이수정;신정혜;이현욱;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360-1368
    • /
    • 2008
  • 새송이 버섯과 그 부산물인 버섯파치, 균체파치 및 버섯파치 발효액의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화학적인 특성,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분석 비교하였다. 수분은 발효액에서 $89.37{\pm}0.42%$로 가장 높았고, 조단백질 함량은 새송이 버섯에서 1.72%로 가장 높았다. 조섬유는 균체파치를 제외한 시료에서 10% 미만이었다. 무기질은 발효액에서 3,696.1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칼륨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아미노산의 함량은 새송이 버섯에서 989.59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glutamic acid가 가장 많았다. 전자공여능은 버섯파치 발효액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발효액의 메탄올 및 물추출물(10 mg/ml)에서 각각 $64.07{\pm}0.23$, $76.27{\pm}1.46%$이었다. 환원력은 발효액이 새송이 버섯 및 파치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10 mg/ml의 발효액 첨가 시 물추출물에서 $2.22{\pm}0.03$으로 가장 높았다. SOD 유사활성은 발효액의 경우 2.5 mg/ml 첨가 시 50% 이상의 활성이 있었다. 메탄올 및 물추출물에서 10 mg/ml 첨가 농도에서 균체 파치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50%이상의 활성을 보였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균체파치 메탄올추출물의 $1{\sim}5\;mg/ml$ 첨가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서 5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2.5의 반응 조건에서 pH 4.0보다 우수하였으며, 메탄올추출물에서는 $42.93{\pm}1.71{\sim}72.97{\pm}2.18%$, 물추출물에서는 $57.66{\pm}1.80{\sim}81.07{\pm}0.81%$로 모든 시료에서 물추출물이 메탄올추출물보다 높았다. 따라서 새송이 버섯파치를 이용한 발효액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기능성 식품이나 사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된다.

오가피 부위별 열수 추출액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 최재명;김광엽;이상화;안준배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2호
    • /
    • pp.130-135
    • /
    • 2011
  • 오가피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약재로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오가피 부위별 열수 추출액의 기능적 특징을 규명하기위해 추출부위별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암활성을 알아보았다. 오가피의 생리활성 표준물질인 eleutheroside E는 줄기(542.50 $\mu$g/g) >뿌리(343.35 $\mu$g/g) >열매(30.78 $\mu$g/g)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eleutheroside B는 열매(372.01 $\mu$g/g) >뿌리(289.33 $\mu$g/g) >줄기(125.05 $\mu$g/g)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총 폴리페놀은 뿌리(227.21 mg/100 g)와 줄기(131.22 mg/100 g)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전자공여능은 줄기에서 79.87%, 뿌리에서 77.27%를 보여 총 폴리페놀 함량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산성 환경에서 nitrosoamine을 생성하는 아질산염에 대한 오가피의 제거 효과는 추출부위와 관계없이 pH 1.2에서 76-81.5%로 높게 나타났다. pH가 높아짐에따라 아질산염제거효과는 대개 소실되었으나 열매 추출액의 경우 pH 6.0에서도 43.1%의 아질산염제거효과를 유지하고 있었다. 오가피 부위별 열수 추출액은 정상세포인 DC2.4의 생육 억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고 오히려 뿌리추출액의 경우는 DC2.4의 생육을 유의미하게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져 세포독성은 없는것으로 판단되었다. 위암 세포주인 SNU-719와 간암세포인 Hep3B에 대해서는 뿌리 추출액과 줄기 추출액에서 20-23%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오가피 부위별 추출액은 항산화활성, 식육에서의 nitrosoamine 생성 억제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식품소재로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자색고구마 색소와 분말 혼합 첨가에 의한 소시지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ausages Made from a Mixture of Purple Sweet Potato Powder and Purple Sweet Potato Pigment)

  • 이남례;조윤정;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1317-1324
    • /
    • 2015
  • 자색고구마 분말과 자색색소를 소시지에 첨가하여 나타나는 항산화 활성과 지방산패 및 단백질 변패, 세균증식 억제 효과를 알아보고자 각각의 농도를 달리하여 5종 소시지를 제조하였다. 대조구와 아질산나트륨 0.15% 첨가구, 자색색소 0.2% 첨가구, 자색색소(0.2%)와 자색고구마 분말 5%와 10% 혼합 첨가구로 구분하여 소시지의 총 폴리페놀, 2,2-diphenyl-l-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능, 산가, 과산화물가, pH, 휘발성염기질소(VBN) 및 일반세균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소시지의 총 폴리페놀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자색고구마 함량 증가(0%, 5%, 10%)에 따라 높아져 자색고구마는 소시지의 항산화 활성능을 높여주었다. 지방산패 및 단백질 변패 여부를 알 수 있는 산가와 과산화물가, VBN은 자색고구마 함량 증가에 따라 낮아져 자색고구마의 항산화능으로 인해 지방산패나 단백질 변패에 대한 억제 효과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색색소 0.2% 첨가구는 무첨가구보다 지방산패 및 단백질 변패에 대한 억제 효과는 나타났으나 아질산나트륨 0.15% 첨가구의 효과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자색색소의 pH가 2.52로 상당 히 낮아 자색색소 첨가구의 pH가 저장기간 내내 가장 낮은 pH를 유지하였고 아질산나트륨보다 일반세균 증식에 대한 억제 효과를 더 나타내었다. 따라서 자색고구마 분말과 자색 색소의 혼합 첨가는 소시지의 항산화 활성을 높여 지방산패, 단백질 변패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자색색소의 낮은 pH로 인해 일반세균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도 나타나 소시지 제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잣버섯의 영양 성분 및 생리 활성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Neolentinus lepideus)

  • 정혜선;박예나;유영복;전대훈;박기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61-268
    • /
    • 2013
  • 잣버섯 품종인 솔향과 개량 신품종 곤지 10호를 비교 분석한 결과 영양 성분 분석의 경우 유리당과 당 알코올의 경우 총 4종류의 성분이 검출되었고, 그 중 trehalose의 경우 건물 g당 곤지 10호 $44.11{\pm}0.99$ mg, 솔향 $38.89{\pm}1.31$ mg로 검출된 당 중에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나타냈으며, 곤지 10호가 솔향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아미노산은 총 24종 중 17종이 검출 되었고 유리당과는 반대로 솔향의 총 아미노산 함량이 곤지 10호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대표적으로 항암 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진 물질인 ${\beta}$-glucan의 경우 솔향이 곤지 10호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지만 품종 간의 유의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 성분인 total polyphenol 함량은 곤지 10호의 열수추출물이 $15.02{\pm}0.50$ mg GAE/g DW으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자실체의 생리 활성 분석으로는 항산화 실험인 DPPH radical 소거능 실험에서는 두 품종 모두 농도별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품종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항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nitrite 소거능을 실시하였으며 두 품종 모두 메탄올 추출물에서 10 mg/ml에서까지 대부분 40% 이상의 nitrite를 소거하여 발암물질인 nitrosoamine을 없애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당뇨 실험으로 ${\alpha}$-amyloglucosidase은 ${\alpha}$-amylase 저해 활성을 실험한 결과, 이 모두 솔향 열수 추출물이 positive control로 쓰인 acarbose와 같은 농도이거나 더 높은 농도에서 비슷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곤지 10호보다 유의적으로 활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마우스 유래 RAW264.7 cell line을 이용하여 항염 활성을 확인한 결과 nitric oxide의 저해능은 열수 추출물보다 메탄올 추출물이 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곤지 10호 메탄올 추출물이 솔향 메탄올 추출물보다 효과가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성 당단백질의 제조 및 유효성 분석 (Preparation and Availability Analysis of Vegetable Glycoprotein)

  • 이미진;정노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8-262
    • /
    • 2009
  • This study is on the feasibility of use of glycoprotein in various areas such as cosmetics and food etc. by extracting, isolating and refining glycoprotein from carrots, red ginseng extract residue, sesame and pine needles using protease(pepsin) and by analyzi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asuring various bioactivities. The results of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 showed protein contents of glycoprotein. In the analysis of constitutive amino acids, the ratio of contents of hydroxy proline and glycine, the characteristics of glycoproteins appeared similar and the contents of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appeared higher. As a result of measurement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it showed that glycoprotein had more contents generally, and the effect of bioactivity of glycoprotein appeared higher although different kinds of glycoprotein showed a little DPPH radical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total antioxidant capacity by ABTS, ACE inhibitory.

Persicae semen의 화장품 약리활성에 관한 연구 (Cosmeceutical activities of Persicae semen)

  • 조우아;안봉전;이창언;장민정;천순주;성지연;최은영;강보연;정연숙;김영선;이진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2호
    • /
    • pp.135-139
    • /
    • 2006
  • 본 논문은 도인(桃仁)(Persicae semen)의 화장품 약리활성으로 항산화 효과, tyrosinase 억제효과, 아질산염 소거능를 살펴보았다. 도인(桃仁)은 도인 전체, 껍질, 껍질을 제외한 알맹이로 각각 나누어 사용하였다. 도인(桃仁) 껍질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은 1,000 ppm에서 각각 89%, 87%이상의 전자 공여능을 나타내어 같은 농도의 BHA에 비해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실험에서 10,000 ppm의 BHA가 89%, 도인(桃仁) 껍질 열수 추출물은 93%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억제실험에서는 1,000 ppm의 BHA가 27%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도인(桃仁) 껍질 에탄올 추출물은 62%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 억제실험에서 도인(桃仁) 전체, 껍질, 알맹이 에탄올 추출물 10,000 ppm에서 모두 98%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1,000 ppm의 도인껍질 에탄올 추출물에서 96%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도인(桃仁)의 화장품 천연소재로써 응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염수초 포제법에 따른 두충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변화 비교연구 (Salt-water Processing-dependent Change in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ortex Eucommiae)

  • 고원일;이진호;하인혁;정화진;이인희;이재웅;김은지;강병구;전세환;조용규;김민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9-38
    • /
    • 2017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marker compounds,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lt-water processed Cortex Eucommiae. Method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processing on anti-oxidant effect of Cortex Eucommiae, changes in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between processed and raw Cortex Eucommiae were assessed. In addition, nitrite assa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processing on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rtex Eucommiae. Cell viability was also examined as to elucidate whether processing affects cytotoxicity of Cortex Eucommiae. Finall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was conducted to monitor changes in pinoresinol diglucoside amount of processed and raw Cortex Eucommiae. Results Salt-water processed Cortex Eucommiae showed higher total phenol and flavonoid amount, compared to raw Cortex Eucommiae. Furthermore, anti-oxidative activity of processed Cortex Eucommiae was improved as discovered in DPPH, ABTS, and FRAP assays.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rtex Eucommiae was also enhanced following salt-water processing, as evidenced in nitrite assay. HPLC analysis found that the amount of pinoresinol diglucoside, widely known as the marker compound of Cortex Eucommiae, increases through salt-water processing.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non-toxic concentration of Cortex Eucommiae; processing did not affect the cytotoxicity of Cortex Eucommiae up to the currently adopted concentration. Conclusions The present results support that salt-water processing of Cortex Eucommiae is beneficial in terms of marker compound amount,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dditional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standardize the processing method of Cortex Eucommiae.

젖산 발효 감자주스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actic Acid Fermented-Potato Juice)

  • 김남조;윤경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42-549
    • /
    • 2013
  • 본 연구는 일반감자와 내부에 적색 또는 보라색 안토시아닌 색소를 함유하는 유색감자에 probiotic 기능을 가진 젖산균을 이용하여 칼로리가 낮고 영양성과 기능성이 뛰어난 젖산발효 감자주스를 제조하여 이들 감자주스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감자주스의 유리당 함량은 발효에 의해 크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glucose의 감소율이 크게 나타났다. 감자주스의 유기산을 분석한 결과, malic acid, tataric acid, citric acid 등 다양한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발효에 의해 그 함량이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하령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반면 수미는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또한 기능성 아미노산인 ${\gamma}$-aminobutyric acid(GABA)가 모든 감자주스에서 높은 함량 검출되었고 특히 자영에서 발효 전후 각각 232.9와 214.7 mg/100 mL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후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유색감자 중 자영주스에서 가장 높았고 하령과 자영에서는 발효에 의해 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수미와 홍영에서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모든 감자주스에서 약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 후에도 그 활성이 유지되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자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에 의해 소거능이 크게 감소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자영주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령을 제외하고 발효 후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모든 감자주스에서 약 45%로 유사한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발효에 의한 감소율은 적었다. 이상의 결과, 발효 후 감자주스의 유리아미노산 함량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감소하였지만 대부분의 영양성과 기능성이 잘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기능성 probiotic 효과와 항산화 활성을 갖춘 기능성 음료로써의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방법별 솔잎추출물의 항산화성 검토 (Antioxidants of Pine Needle Extracts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 김수민;김은주;조영석;성삼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27-534
    • /
    • 1999
  • 솔잎의 제조방법별 열수추출물(HPNP, CPNP, FPN)의 항산화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in vitro상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추출물들의 지방산화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Fe^{2+}$이온 첨가구에서는 HPNP와 FPN이 $Fe^{2+}$ 이온 binding능력이 우수하였으나, CPNP는 오히려 지방산화를 촉진하였고, $Fe^{3+}$이온 첨가구에서는 $Fe^{3+}$이온 binding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 산소종 존재 하에서 솔잎추출물의 첨가가 지방산화에 미치는 영향은 활성산소종보다 지방산화도가 오히려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낸 FPN도 $KO_2$보다 높게 나타나 포집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화를 촉진하는 iron 함량은 ferrous iron과 total iron 모두 CPNP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HPNP, FPN순으로 나타났다.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함량은 FPN, HPNP, CPNP 순으로 나타났다. 산화성 활성 free radical에 전자를 공여하여 산화를 억제시키는 척도인 전자공여능은 HPNP, CPNP, FPN순이었고, HPNP의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peroxide dismutase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HPNP, CPNP, FPN순으로 나타나 SOD 유사활성능은 HPNP가 가장 우수하였다. 솔잎추출물을 각기 다른 pH에서 측정한 아질산염 분해능은 반응용액의 pH가 낮을수록 아질산염 분해능이 높게 나타났고 특히, pH 1.2에서 높은 분해능을 나타내었다.

  • PDF

Bacillus subtilis DJI을 이용하여 제조한 된장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Doenjang Fermented Using Bacillus subtilis DJI)

  • 이재준;이유미;장해춘;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54-561
    • /
    • 2009
  • B. subtilis DJI 균주로 접종 후 천일염을 첨가하여 제조한 B. subtilis DJI 된장의 에탄올, 물 및 헥산의 용매별 항산화효과를 비교하였다. B. subtilis DJI 된장의 에탄올 추출물 수율은 15.9%, 헥산 추출물 수율은 14.9% 및 물 추출물 수율은 26.9% 범위로 물 추출물 수율이 가장 높았다. 과산화물가는 B. subtilis DJI 된장 용매별 추출물 중에서 에탄올 추출물이 300 ppm에서 600 ppm으로 농도를 증가하였을 경우 저하되어 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합성항산화제인 BHT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B. subtilis DJI 된장 에탄올 추출물이 300 ppm과 600 ppm 농도에서 각각 18.26%와 23.36%로 가장 높았고, 물 추출물에서 10.23%와 12.46%였고, 헥산 추출물에서는 2.62%와 5.51%로 가장 낮아 헥산 추출물의 경우 항산화효과가 아주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도 아질산염 소거능과 비슷한 경향을 보여 시료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효과가 증가하였고,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B. subtilis DJI 된장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과 전자공여능은 합성항산화제인 BHT에 비해서는 낮은 경향이었다. Rancimat 방법으로 측정한 항산화효과도 두 농도 모두 B. subtilis DJI 된장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나, 물과 헥산 추출물은 항산화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