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te scavenging ability(NSA)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3초

한약재 추출물의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 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31-636
    • /
    • 2005
  • 본 연구는 3종류의 약용식물(당귀, 목통, 골담초)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여 건강 식품의 제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3종류의 한약재중 물추출물의 수율은 목통($35.63\%$)>골담초($31.36\%$)>당귀($8.98\%$)의 순이었으며 에탄을 추출물의 수율은 목통($31.82\%$)>당귀($14.15\%$), 골담초($5.20\%$)의 순으로서 목통이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한약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추출물 300-1,000 ppm에서 당귀가 $62-88\%$로 가장 높았으며, 에탄을 추출물 300-1,000 ppm에서는 목통이 $72-87\%$로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가장 높았고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pH 1.2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은 물추출물 1,000 ppm에서 $35-40\%$로 골담초가 가장 높았고, 에탄을 추출물 1,000 ppm에서 $33-42\%$로서 목통이 가장 높았다. 3종류의 한약재 중에서 목통은 추출물의 수율이 가장 높고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이 가장 우수하여 식품에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의 목적으로 첨가할 수 있는 적합한 약재로 생각된다.

쑥과 솔잎의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s)

  • 박찬성;권충정;최미애;박금순;최경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48-252
    • /
    • 2002
  • 쑥과 솔잎을 각각 물과 70% 에탄올로서 추출하여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쑥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300-1,000ppm 농도에서 물추출물은 50-57%였으며, 에탄올추출물은 51-64%로서 에탄을 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솔잎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추출물은 100-500ppm에서 52-60%, 1,000ppm에서는 70%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을 추출물은 100-500ppm에서 68-71%, 1,000ppm에서는 약 77%로서 물추출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 3.0, 4.2, 6.0에서 측정한 결과, pH 1.2에서 가장 높았으며 pH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쑥추출물 1,000ppm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물추출물은 37%, 에탄올추출물은 27%였다. 솔잎 추출물 1,000ppm의 경우에는 pH 1.2에서 물추출물은 65%, 에탄올추출물은53%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소거능은 솔잎추출물이 쑥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쑥과 솔잎 추출물에서 전자공여능은 에탄을 추출물이 물추출물보다 우수하였으나 아질산염소거능은 물추출물이 에탄을 추출물보다 우수하였다.

동충하초의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Cordyceps militaris Extracts)

  • 박찬성;권충정;최미애;박금순;최경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09-113
    • /
    • 2002
  • 인공재배한 번데기동충하초의 균사체와 자실체를 각각 물과 70% 에탄올로서 추출하여 전자공여 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균사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300∼1,000 ppm의 물추출물에서 37∼47%였으나, 에탄올추출물에서 57∼70%로서 에탄을 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자실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300∼1,000 ppm에서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모두 19∼48%로서 균사체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편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 3.0, 4.2, 6.0에서 측정한 길과, pH 1.2에서 가장 높았으며 PH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균사체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1,000 ppm의 물추출물은 23%, 에탄올추출물은 37%로서 에탄을 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자실체 추출물의 경우에는 pH 1.2, 1,000 ppm 농도에서 물추출물은 12%, 에탄올추출물은 37%의 아질산염 소거능으로서 에탄올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에서 균사체 추출물이 우수하였으며 용매 별로는 에탄올 추출물이 물추출물보다 우수하였다.

청국장과 된장의 항산화 효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비교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Fermented Soybean Foods (Chungkukjang, Doenjang))

  • 오현주;김창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503-1510
    • /
    • 2007
  • 동일 품종의 국산 원료 대두로부터 제조된 증자대두, 청국장과 된장을 동결건조한 후 항산화관련 물질을 측정하고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력 및 아질산염소거능을 조사하였다. 페놀화합물 함량과 총 갈색도는 대두의 발효과정 중에 증가하였으며 청국장보다 된장에서 크게 증가하여 두 시료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수용성추출물의 갈색도가 지용성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추출물의 linoleic acid 상에서의 과산화물가와 전자공여능 측정에 의한 항산화력과 아질산염소거능은 ME시료군이 WE시료군보다 높았으며, ME시료군 중에서 청국장보다 된장추출물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SOD 유사활성은 동일농도에서 WE가 ME보다 더 높았으며, 청국장WE보다 된장WE가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어 항산화능 측정치간의 다소 상이한 경향을 보였다. 된장이 동일 원료를 사용한 대두, 증자대두, 청국장보다 훨씬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낸 것은 된장의 오랜 발효숙성과정 중에 생성된 페놀화합물과 갈변물질의 증가가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각종 차성분의 아질산염 소거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ea Extracts)

  • 이정민;안명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67-572
    • /
    • 1997
  • This rese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NSA) of 7 kinds of tea extracts. Nitrites are used as additives of cured meat preperation and exist in plants, foods, and medicines, so we intake it very often easily. Nitrites can act with amines to produce nitrosamine which is known to be a carcinogen. It is known that the pH, concentration of amines, and amounts of nitrite are three important conditions of nitrosamine occurence. 7 kinds of tea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Persimmon tree (Diospyroo kaki Thiunb, Per.), Mulberry tree (Morus alba Linne, Mul.), Rubber tree (eucommia ulmoi-des Oliver, Rub.), Solomon's-seal (Bolygonatu Morr, Som.), Chicory (Cichorrium intybus L, Chi.), Sumach (Rhus javanica L., Sum.), Docwood (Cornus officinale Sieb, Doc.) and they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MeOH), ethyl ether (EtEt), ethyl acetate (EtAc), and also the extract existed in the aqueous layer II (Aq L. II) was used.

  • PD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inger Extracts Originated from Different Habitat

  • Lim, Tae-Soo;Oh, Hyun-In;Kwon, Joong-Ho;Kim, Hyun-Ku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43-147
    • /
    • 2006
  • Phys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grown ginger (KG) and Chinese-grown ginger (CG) extracts were examined. Ginger was extracted with water, and 50 and 100% ethanol, and then nitrite-scavenging activity (NSA),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and electron-donating ability (EDA) of extracts were investigated. NSA at pH 1.2 was the most effective in 50% ethanol extracts of both origins. SOD-like activities of water and 50% ethanol extracts of both samples were 8.66-35.95% lower than those of 1 and 0.1% L-ascorbate solutions. SOD-like activity of KG extracts was higher than that of CG extracts, and water extracts of samples were the highest. EDA of KG extract was higher (22.23-86.95%) than that of CG extract, while both sample extracts showed lower EDA than those of 1 and 0.1% L-ascorbate solutions.

치자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치자 첨가 국수의 품질특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Gardenia jasminoid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Gardenia jasminoides Powder)

  • 김미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37-243
    • /
    • 2006
  • 본 연구는 품질 특성과 기능성을 가진 국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치자 분말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저장성을 검토하고 치자 분말을 $0{\sim}0.3%$ 첨가한 국수의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치자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300{\sim}1,000$ ppm 농도에서 물 추출물은 $65{\sim}86%$, 에탄올 추출물은 $69{\sim}91%$로 우수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치자 추출물 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pH 1.2에서 가장 높았고, pH 1.2에서 물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1,000 ppm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각각 79%, 88%로서 우수한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치자를 첨가한 국수 생면을 $5^{\circ}C$에서 4주일간 저장하였을 때 치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균수는 낮았으며 치자 첨가에 의하여 국수의 저장성이 향상되었다. 치자 국수의 색도 측정 결과, 적색도(a)는 치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부의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건면보다는 삶은 면에서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황색도(b)는 건면과 삶은 면 모두 치자의 첨가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치자 국수의 건면과 삶은 면의 관능검사 결과, 색, 향,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0.2와 0.3% 첨가 국수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치자 국수 제조시에 치자분말의 최적 첨가농도는 0.2-0.3%가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쑥 추출물의 기능성과 쑥국수의 품질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Mugwort Extra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Mugwort Powder)

  • 박찬성;김미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1-167
    • /
    • 2006
  • 본 연구는 품질 특성과 기능성을 가진 국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쑥 분말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항암활성과 쪽을 첨가한 쑥국수의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쑥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100{\sim}1,000ppm$에서 물 추출물은 $73{\sim}81%$, 에탄올 추출물은 $74{\sim}92%$로 우수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pH가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pH 1.2에서 가장 높았고 동일 pH에서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쪽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1,000 ppm의 유방암세포 (MDA cell)에 대한 증식 억제율은 각각 30, 27% 였으며 폐암세포(A549 cell)에 대한 증식 억제율은 각각 22, 23% 였다. 쑥을 첨가한 국수 생면을 $5^{\circ}C$에서 4주일간 저장하였을때 쪽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총균수 및 진균수는 낮았으며 쑥 첨가에 의하여 국수의 저장성이 향상되었다. 쑥국수의 색도 측정 결과 명도(L)와 적색도(a)는 건면과 삶은 면 모두 쑥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감소하였다(p<0.05). 쑥국수의 관능검사 결과, 건면은 뒷맛을 제외한 나머지 기호도에서 2% 첨가 국수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삶은 면은 쓴맛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2% 첨가 국수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쑥국수 제조시에 쑥의 최적 첨가농도는 2%가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까마중-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적 특성과 항산화 효과 (Function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Effects of Solanum nigrum-Ethanol Extract)

  • 정갑섭;이남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207-1214
    • /
    • 2009
  • Functional properties of Solanium nigrum-ethanol extract were investigated, nitrite scavenging ability(NSA) and antioxidant activities based on thiobarbituric acid(TBA) value were measured. The contents of potassium in fruit and root, calcium in leaf were the highest mineral components in each parts of Solanium nigrum. Total aromatics contents(TAC) was order of fruit>root>leaf, total flavonoid contents(TFC) in leaf was 6 and 10 times,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s(TPC) in leaf was 15 and 30 times of those in fruit and root, respectively, and TFC was high with TPC increase. NSA of leaf-ethanol extract was 61.9% on pH 1.2, 53.5% on pH 3.0, 54.8% on pH 4.0 and 14.3% on pH 6.0, where as NSA of root and fruit-ethanol were considerably low to 3.5~7.9% over pH 1.2~6.0. TBA value of soybean oil with the dosage of leaf-extract showed few differences from control within 3 days, but it fairly decreased with considerable antioxidant effect to 47.6% of the control in 8 days.

둥굴레 근경의 증자 및 볶음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변화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Polygonatum odoratum Root Extracts with Different Steaming and Roasting Conditions)

  • 김경태;김정옥;이기동;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6-172
    • /
    • 2005
  •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둥굴레 근경의 증자 및 볶음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총 페놀성 성분,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증자시간$(60\~180\;min)$, 볶음온도$(110\~150^{\circ}C)$ 및 볶음시간$(10\~50\;min)$을 달리하였을 때 회귀식의 $R^2$는 총 페놀성 성분,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pH 3.0)에서 각각 0.9356, 0.9578 및 0.9436으로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총 페놀성 성분의 최대값은 증자시간 135.59분, 볶음온도 $143.84^{\circ}C$ 및 볶음시간 43.47분에서 $2847.67\;mg\%$로 예측되었다. 전자공여능의 최대 예측치는 $75.00\%로 증자시간 108.98분, 볶음온도 $135.56^{\circ}C$ 및 볶음시간 48.86분일 때였다. 아질산염 소거능(pH 3.0)은 증자시간 162.80분, 볶음온도 $143.88^{\circ}C$ 및 볶음시간 31.97분일 때 최대값 $87.38\%$로 예측되었다. 둥굴레 추출물의 총 페놀성 성분은 볶음온도>증자시간>볶음시간의 순으로,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복음시간>볶음온도>증자시간의 순으로 각각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