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cognitive function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1초

Treatment of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for a patient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Case report

  • Kim, Yunna;Eom, Yoon Ji;Cho, Seung-Hun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9-283
    • /
    • 2019
  •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a treatment that injects Hominis placenta extract into acupoints, has been suggested in the literature and researches that it could be used for cognitive decline. We experienced a case of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treated with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could be a possible treatment modality producing substantial clinical result in cognitive function which is assessed with Mini-Mental State Examination-Dementia Screening (MMSE-DS), 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K), and Korean-Dementia Rating Scale (K-DRS). A 84-year-old man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received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on GV20, CV12, and bilateral ST36 for a month. The results of neuropsychological examination showed increase in scores after treatment of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Before treatment, they were 15 points for MoCA-K, and 120 points for K-DRS (7.6%), but after treatment, they elevated by 21 points for MoCA-K and 137 points for K-DRS (100%). MMSE-DS score was 28 points, unchang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It did not cause any side-effect.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could be a safe option for treating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기억력과 정신질환 (Memory and Psychiatric Disorders)

  • 홍경수;연병길
    • 생물정신의학
    • /
    • 제4권1호
    • /
    • pp.3-11
    • /
    • 1997
  • Disturbances in memory are the most common problem in patients with an organic mental syndrome. Other patients with significant psychiatric disorders also often have difficulty with memory. So it is very important in the clinical practice of psychiatry to understand the biological and neurocognitive mechanisms of memory proessing, and to develop the assessment tools with which memory function can be evaluated reliably and validly. Moreover, memory researches provide an important viewpoint from which we can understand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of major neuropsychiatric illnesses. This article focuses on our understanding of memory functions in clinical and neurobiological aspects. The relevant material will be presented in four parts : 1) terminologies needed in defining major stages of various types of memory processing : 2) neurochemical and neuroanatomical basis of memory processing : 3) brief bed-side screening tests and more comprehensive neuropsychological tests for the evaluation of memory function : 4) the characteristics of memory dysfunction in several major psychiatric illnesses.

  • PDF

학령기 정상아동에서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in the Elementary School Child)

  • 이종범;김진성;서완석;신현진;배대석;이혜린
    • 정신신체의학
    • /
    • 제11권2호
    • /
    • pp.97-117
    • /
    • 2003
  • 연구목적: 학령기 정상아동에 있어서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6월부터 2003년 1월까지 평균 범위 이상의 지능을 유지하고 있고, 배제기준(ru1e out criteria)을 통과한 학년별 남녀 각각 10명씩, 120명의 정상아동에게 K-ABC, K-PIC 및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들 중 무작위로 선발된 30명에게 검사-재검사 신뢰도(reliability)를 알아보기 위해 4주뒤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를 재실시하였다. 결 과: 타당도 검증을 위한 상관분석 결과, 4가지 연속수행검사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동일하였으며, 기억력 검사에서도 단기기억의 순방향과 역방향 검사의 차이를 보이면서 선행연구와 동일하였다. 고위인지기능검사들에서는 각기 다른 측정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검사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시사하였다. 12개 검사 43개의 변수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0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전체 설병변량은 75.5%였다. 도출된 요인은 '주의력 유지, 정보처리속도, 경계력, 언어학습, 주의의 배분 및 개념형성, 사고의 유연성, 개념형성, 시각기억능력, 단기기억, 선택적 주의력' 순이었다. 해석적 준거(criteria)를 마련하기 위한 K-ABC와의 상관분석에서, K-ABC의 하위척도와 선택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신뢰도 검증에서, 연습효과를 반영하는 결과들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고위인지기능검사에서 현저하였다. 하지만, 각 검사 군의 반분신뢰도와 내적 일치도는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아동기 정상아동의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수행은 성인과는 다른 발달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신경심리학적 배경을 가진 표준화된 지능검사와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해석적 준거 마련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를 통한 학령기 정상아동의 신경심리학적 특성 (The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School Aged Child by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 이종범;김진성;서완석;신현진;배대석;이준엽
    • 정신신체의학
    • /
    • 제11권2호
    • /
    • pp.118-136
    • /
    • 2003
  • 연구목적: '컴퓨터화된 검사'인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가 학령기 정상아동의 신경심리학적 발달특성을 반영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6월부터 2003년 1월까지 평균 범위 이상의 지능을 유지하고 있고, 배제기준(rule out criteria)을 통과한 학년별 남녀 각각 10명씩, 120명의 정상아동에게 K-ABC, K-PIC 및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정상아동의 표집과정에서 지능의 통제와 엄격한 배제기준의 적용을 통하여 전체 아동의 21.1%가 분석과정에서 제외되었지만 학년별 인원과 성비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지능의 차이가 없는 연구 대상자 120명을 선발할 수 있었다. 학년에 따른 CNFT의 결과비교에서, 주의력 검사, 기억력 검사 및 고위인지기능검사 대부분에서 학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주로 초등학교 저학년(1학년과 2학년)과 고학년(5학년과 6학년)에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주의력 검사의 경우,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수행이 행상되는 특성을 확인하였고, 단기기억력 검사에서 역방향 검사와 순방향검사의 차이, 연령에 따른 수행차이가 선행연구와 동일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회상(recall) 과제로 구성된 언어청각검사와 재인(recognition)과제로 구성된 시각도형기억검사 또한 대인검사로 실시된 선행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연령에 따른 변화특성이 확인되었다. 고위인지기능검사에서도 주의력 검사 및 기억력 검사에서 연령에 따른 변화특성이 발견되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된 CNFT가 아동의 신경심리학적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위하여서는 연구 대상자의 표집단계에서부터 지적수준의 통제와 더불어 엄격한 배제기준의 적용이 필요함을 알수 있었다.

  • PDF

간이 신경 인지기능 국재화 검사의 개발 I : 고안 (Development of the Bedside Neurocognitive Function Localization Test(BNLT) I : A Design)

  • 이영호;정효경;허시영;고영택;박병관
    • 수면정신생리
    • /
    • 제6권2호
    • /
    • pp.133-142
    • /
    • 1999
  • Recently,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patients with head injury and cerebrovascular accident,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eed for the useful assessment tools of brain dysfunction and it's localization. With the advances in the neuroscience since the mid-1970s, particularly in the areas of neuroanatomical tracing, neuroimaging, and improved behavioraltest design, it has been possible to develop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and localization of brain dysfunction. However, these equipments are not readily available in the private clinics and too expensive to use as a screening tool to all suspected patients with brain dysfunction. Although several screening tests such as Mini-Mental States Examination(MMSE) or Brief Cognitive Rating Scale(BCRS) are simple in use and useful for the brief assessment of brain dysfunction, these are also limited in using for localization of brain dysfunction because of their simplicity. With increasing need of the assessment tool which is able to localize the dysfunction more precisely in the clinical practice, we planned to develop the new assessment tool, the Bedside Neurocognitive Function Localization Test(BNLT) which is suitable for this purpose. The BNLT was designed to be utilized for localizing brain dysfunction effectively and readily in the clinical practice. We introduced the whole process of designing the BNLT in this manuscript.

  • PDF

1회성 축구활동이 남자 청소년의 혈청 neurotrophins 수준과 신경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ute Soccer Game on Serum Levels of Neurotrophins and Neurocognitive Functions in Male Adolescents)

  • 양정수;유신환;조수연;노희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444-145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1회성 축구활동이 남자 청소년의 혈청 뉴로트로핀 수준과 신경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건강한 남자 청소년 15명으로 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축구활동 처치(SOC) 조건과 자율학습 처치(CON) 조건의 2가지 처치 조건에 참여하였다. 채혈은 처치 전(Pre), 처치 후(Post), 처치 후 2시간(Post-2 h) 시점에서 총 3회 실시하였으며, 채취된 혈액을 이용하여 혈청 serum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nerve growth factor (NGF),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을 분석하였다. 신경인지 기능의 평가는 Stroop 색체-단어 검사를 이용하였으며, 채혈 시점과 동일한 시점에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혈청 BDNF, NGF, IGF-1 수준은 축구활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Post 시점에서 SOC 조건이 CON 조건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Stroop 색체-단어 검사는 색체-단어 검사 점수에서 축구활동 후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p<0.05), Post 시점과 Post-2 h 시점에서 SOC 조건이 CON 조건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1회성 축구활동이 뉴로트로핀을 증가시켜 신경인지 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우울 및 불안 장애에서의 인지적 처리와 정서조절 고찰: 신경인지 연결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Processes and Emotion Regulations in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Focused on the Neurocognitive Networks)

  • 김충명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77-186
    • /
    • 2021
  • 본고는 인지적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우울 및 불안 환자의 정신병리적 과정과 이의 치료접근 방식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위해 최근 제시된 신경인지 연결망을 토대로 인지과정 및 정서조절의 비정상적 기능 연결성을 재해석 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재구성된 우울과 불안장애 신경인지 연결망 모델을 통해, 우울증은 불이행방식 연결망(default mode network; DMN)의 과다 활성화에 기인하는 '자기참조적 사고로의 과몰입'으로, 불안장애는 불이행방식 연결망의 과소 활성화에 기인하는 '자기참조적 사고와의 단절'로 규정해 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신경인지 연결망 중 자기의식 및 투사와 관련되는 자기참조 처리가 주요 기능인 DMN의 비정상적 활성화와 병리적 기능의 체계적 연결시도는 우울와 불안에 대한 통합적 해석과 치료적 접근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또 다른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인지훈련 프로그램이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Cognitive Training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 오은영;정미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1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ognitive training program on neurocognitive task perform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 patients who had a stroke. Methods: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n=21) or control group (n=21).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4-week cognitive training program and usual care (i.e., rehabilitation service), while the control was received usual care only. Cognitive function was measured with a standardized neurocognitive test battery and ADL was assessed at baseline and one and two months after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determine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and ADL over 2 months. Results: The interaction of group and time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in attention, visuospatial function, verbal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had a sustained or gradual decrease in test performance. A significant group by time interaction in instrumental ADL was also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gradual improvement and the control group showing no noticeable change. Conclusion: Findings show that the cognitive train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beneficial in restoring cognitive function and improving ADL in patients following a stroke. Further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training participation and cognitive improvement and effective functioning in daily living.

노인의 혈중 호모시스테인, 엽산, 비타민 $B_{12}$ 수준 및 영양소 섭취 상태와 신경인지기능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among Plasma Homocysteine, Folate, Vitamin $B_{12}$ and Nutrient Intake and Neuro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 김희정;김혜숙;김기남;김꽃핀;손정인;김성윤;장남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6호
    • /
    • pp.498-506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plasma homocysteine, folate, and vitamin $B_{12}$ levels and neurocognitive function in 118 community-dwelling elderly subjects (mean age, $75.1{\pm}6.7$ years).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C) was used to screen and assess neurocognitive function in the participants. Dietary intake data including the use of dietary supplements were obtained using the 24-hour recall method by well-trained interviewers. Plasma folate and vitamin $B_{12}$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by radioimmunoassay, and homocysteine was assessed by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method. The proportions of participants with suboptimal levels of plasma folate (< 3 ng/mL), vitamin $B_{12}$ (< 221 pmol/mL), and homocysteine (> $15{\mu}mol/L$) were 16.1%, 5.9%, and 21.2%, respectivel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lasma homocystein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lasma folate and vitamin $B_{12}$ levels. The MMSE-KC test sco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lasma homocysteine and folate, but not with vitamin $B_{12}$, after adjusting for age, gender, body mass index, living with spouse, education, current smoking, energy intake, and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thyroid disease, dyslipidemia, stro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general linear model adjusted for covariates revealed that MMSE-KC test scores increased from the lowest to the highest quartiles of vitamin $B_1$, vitamin $B_2$, vitamin $B_6$, vitamin $B_{12}$, and vitamin C intake (p for trend = 0.012, 0.039, 0.014, 0.046, 0.026,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blem of folate inadequacy and hyperhomocysteinemia are highly prevalent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and that dietary intake of the B vitamins and vitamin C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scores.

알츠하이머병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 인지기능 및 행동심리증상과 백질고강도신호와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nd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 권지웅;김현;이강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26권2호
    • /
    • pp.119-126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알츠하이머병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 백질고강도신호 차이에 따른 신경인지 기능 및 행동심리증상(BPSD)을 비교하는 것이다. 방 법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서, 알츠하이머병 및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받은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뇌 자기공명영상의 백질 고강도 신호(white matter hyperintensity, WMH)는 표준화된 시각 기반 척도(Fazekas scales)에 의해 평가되었으며, 참가자들은 Fazekas 척도에 따라 두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신경인지기능은 임상치매평가척도(CERAD-K)에 의해, BPSD는 한국형 신경정신행동검사(K-NPI)로 평가되었다. WMH의 심각도에 따른 신경인지기능 및 BPSD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시행하였다. 결 과 WMH의 중증도가 높은 군은 유의하게 낮은 언어 유창성을 나타내었다(p<0.05). 또한 WMH의 중증도가 높은 군은 유의하게 높은 K-NPI 점수를 보였다(p<0.01). 결 론 WMH와 실행기능과 관련된 신경인지검사 간에는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 또한 WMH는 BPSD의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임상실제에서 WMH를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 AD)및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환자를 치료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