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gative permeability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8초

카테콜 치환체를 가진 세파로스포린계 항생제 LB10522의 작용기전 (Action Mechanism of LB10522, a New Catechol-Substituted Cephalosporin)

  • 김무용;오정인;백경숙;김인철;곽진환
    • 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02-111
    • /
    • 1996
  • LB10522 is a new parenteral broad spectrum cephalosporin with a catechol moiety at C-7 position of beta-lactam ring. This compound can utilize tonB-dependent iron transp ort system in addition to porin proteins to enter bacterial periplasmic space and access to penicillin-binding proteins (PBPs) which are the lethal targets of ${\beta}$-lactam antibiotics. The chelating activity of LB10522 to metal iron was measured by spectrophotometrically scanning the absorbance from 200 to 900nm. When $FeCl_3$ was added, optical density was increased between 450 and 800nm. LB10522 was more active against gram-negative strains in iron-depleted media than in iron-replete media. This is due to the increased expression of iron transport channels in iron-depleted condition. LB10522 showed a similar activity against E. coli DC2 (permeability mutant) and E. coli DCO (wild type strain) in both iron-depleted and iron-replete media, indicating a minimal permeaility barrier for LB10522 uptake. LB10522 had high affinities to PBP 3 and PBP 1A, 1B of E. coli. By blocking these proteins, LB10522 caused inhibition of cell division and the eventual death of cells. This result was correlated well with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E. coli exposed to LB10522. Although the in vitro MIC of LB10522 against P. aeruginosa 1912E mutant (tonB) was 8-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P. aeruginosa 1912E parent strain, LB10522 showed a similar in vivo protection efficacy against both strains in the mouse systemic infection model. This result suggested that tonB mutant, which requires a high level of iron for normal growth, might have a difficulty in surviving in their host with an iron-limited environment.

  • PDF

Effect of pumice powder and artificial lightweight fine aggregate on self-compacting mortar

  • Etli, Serkan;Cemalgil, Selim;Onat, Onur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27권3호
    • /
    • pp.241-252
    • /
    • 2021
  • An experimental program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resh properties,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self-compacting mortars (SCM) produced with pumice powder and Artificial Lightweight Fine Aggregate (aLWFA). aLWFA was produced by using fly ash. A total of 16 different mixtures were designed with a constant water-binder ratio of 0.37, in which natural sands were partially replaced with aLWFA and pumice powder at different volume fractions of 5%, 10% and 15%. The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used in this study were manufactured through cold bonding pelletisation of 90% of class-F fly ash and 10% of Portland cement in a tilted pan with an ambient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Flowability tests were conducted on the fresh mortar mixtures beforehand, to determine the self-compacting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EFNARC. To determine the conformity of the fresh mortar characteristics with the standards, mini-slump and mini-V-funnel tests were carried out. Hardened state tests were conducted after 7, 28 and 56 days to determine the flexural strength and axial compressive strength respectively. Durability, sorptivity, permeability and density tests were conducted at the end of 28 days of curing time.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pumice powder replacement improved both the fresh state and the hardened state characteristics of the mortar and the optimum mixture ratio was determined as 15%, considering other studies in the literature. In the aLWFA mixtures used, the mechanical and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modified compositions were very close to the control mixture. It is concluded in this study that mixtures with pumice powder replacement eliminated the negative effects of the aLWFA in the mortars and made a positive contribution.

Effect of post-treatment routes on the performance of PVDF-TEOS hollow fiber membranes

  • Shadia R. Tewfik;Mohamed H. Sorour;Hayam F. Shaalan;Heba A. Hani;Abdelghani G. Abulnour;Marwa M. El Sayed;Yomna O. Mostafa;Mahmoud A. Eltoukhy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4권2호
    • /
    • pp.85-93
    • /
    • 2023
  • Membrane separation is widely used for several applications such as water treatment, membrane reactors and climate change. Cross-linked organic-inorganic hybri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was adopted for the preparation of optimized hollow membrane (HFM) for membrane distillation or other low pressure separators for mechanical properties and permeability under varying pretreatment schemes. HFMs were prepared on semi-pilot membrane fabrication system. Novel adopted post-treatment schemes involved soaking in glycerol, magnesium sulphate (MgSO4), sodium hypochlorite (NaOCl), and isopropanol for different durations. All fibers were characterized for morphology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surface roughness using atomic force microscope (AFM), elemental composition by examining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 water contact angle (CA°) and porosity. The performance of the fibers was evaluated for pure water permeation flux (PWF). Post-treatment with MgSO4 gave the highest both tensile modulus and flux. Assessment of properties and performance revealed comparable results with other organic-inorganic separators, HF or flat. In spite of few reported data on post treatment using MgSO4 in presence of TEOS, this proves the potential of low cost treatment without negative impact on other membrane properties. The flux is also comparable with hypochlorite which manifests substantial precaution requirements in actual industrial use.The relatively high values of flux/bar for sample treated with TEOS, post treated with MgSO4 and hypochlorite are 88 and 82 LMH/bar respectively.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한 콘택트렌즈의 Dk 결정 (An Excel Program for Dk Calculation of Contact Lens)

  • 김대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7-116
    • /
    • 2011
  • 목적: 콘택트렌즈 피팅 시 렌즈 관련 사양의 변화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는 각막에서 산소부족이 없는 최소 Dk값 및 산소농도를 계산/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방법: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착용 시 렌즈 아래 형성되는 눈물층의 두께와 Dk값을 계산할 수 있는 방정식을 세우고 수치 계산 모델을 확립하였다. 결과: 렌즈사양을 변화시키면 렌즈 아래 눈물층의 두께가 변하며 이에 따라 산소투과도가 다르게되므로 각막이 요구하는 최소 산소농도 역시 달라짐을 계산으로 확인하였으며, 눈물층의 두께를 위한 계산 프로그램은 눈물층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선택되어야 함을 밝혔다. 즉, flat 피팅 시에는 렌즈가장자리와 각막이 만나서 만들어지는 오목면의 형태에 따라 렌즈 아래 눈물층의 두께가 결정되며, flat하게 피팅 될수록 각막주변부 표면의 산소농도는 감소되어 계산값으로는 (-)가 되며 실제로는 산소농도는 0이 된다. Tight 피팅 시 각막표면의 산소를 계산하면 tight 피팅으로 눈물층의 두께가 렌즈의 두께보다 극단적으로 두꺼워지게 되어 계산값은 역시 (-)가 되며 각막 표면의 산소 농도는 0이 되어 산소결핍을 야기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결론: 콘택트렌즈의 변수를 조절하여 피팅 상태를 변경할 때에는 눈물층의 두께와 이에 따른 각막표면의 산소농도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산소결핍이 나타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울릉도 북면 천부리 추산 용출소의 수질화학적 특성 (The Hydrochemistry of ChusanYongchulso Spring, Cheonbu-ri, Buk-myeon, Northern Ulleung Island)

  • 이병대;조병욱;추창오
    • 지질공학
    • /
    • 제28권4호
    • /
    • pp.565-582
    • /
    • 2018
  • 울릉도 북면 천부리에 소재하는 자분샘인 추산용출소 지하수의 수질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통하여 대수층의 발달특징을 고찰하였다. 상류구배인 나리분지 일대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부석층과 화산쇄설층, 칼데라 함몰과 관련된 단층과 절리와 같은 파쇄대는 투수계수가 높아 용출소의 지하수함양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한다. 특히 다공성이며 표면적이 넓은 알칼리성 화산쇄설물로 구성된 화산암류로 인해 상류하천수와 용출소는 독특한 수질특성을 보인다. 용출소의 수질유형은 $Na-HCO_3$형이며, 상류의 샘과 하천수는 $Na-HCO_3$형과 Na-Cl형의 경계에 놓인다. EC과 상관성이 높은 성분으로는 $HCO_3$와 Na를 비롯하여 F, Ca, Mg, Cl, $SiO_2$, $SO_4$ 등이 있다. 높은 Na, Cl 함량은 울릉도 지질 전반에 알칼리계열의 화산암이 분포하며, 고기 화산활동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물-암석반응을 잘 반영하는 요소인 Eh와 pH는 어떤 수질성분과도 상관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결과에 의하면, 요인 1의 영향력은 54%로 나타났으며, 요인 2의 경우 25.8%이다. 요인 1에 높은 적재량을 가지는 성분은 F, Na, EC, Cl, $HCO_3$, $SO_4$, $SiO_2$, Ca, $NO_3$, Mg 등이다. 요인 2에 대해 적재량이 높은 성분은 Mg, Ca이며, 음의 적재값이 높은 성분은 K, $NO_3$, DO 등이다. 이 지역의 독특한 수질특성 즉 높은 Na, Cl, F, $SO_4$ 등은 알칼리계열의 화산쇄설암류의 세립질 입자, 높은 공극률 등이 물-암석반응을 가속화시킨 결과로 해석된다. 그러나 울릉도의 수질특성과 대수층의 발달, 수리순환을 규명하기 위하여서는 광범위한 지구물리탐사와 더불어, 동위원소, 미량원소, 추적자 등을 통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NMDA를 처리한 HT-22 신경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손상을 완화하는 레스베라트롤의 보호 효과와 헴 산화효소-1의 역할 (Resveratrol Ameliorates NMDA-induced Mitochondrial Injury by Enhanced Expression of Heme Oxygenase-1 in HT-22 Neuronal Cells)

  • 강재훈;우재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22
    • /
    • 2022
  • 뇌 등 신경 조직에서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일종인 글루탐산(glutamate)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세포 독성에 N-methyl-D-aspartate (NMDA) 수용체가 중요하게 관여함은 잘 알려져 있다.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은 자연식품에서 얻어지는 가장 잘 알려진 폴리페놀(polyphenol)의 일종으로 글루탐산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세포 독성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그 기전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NMDA를 처리한 HT-22 신경세포를 신경세포 독성 모델로 이용하여 미토콘드리아 손상에 미치는 레스베라트롤의 보호 효과와 그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NMDA를 처리한 HT-22 신경세포에서 MTT 환원능의 감소와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의 소실, 세포 내 ATP 농도의 감소, 활성산소종 생성의 증가, 미토콘드리아 막 투과성의 증가(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 등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적, 형태학적 손상을 시사하는 지표 변화들이 관찰되었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손상의 결과로 세포사멸(apoptosis)이 증가함도 확인하였다. 레스베라트롤은 NMDA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손상과 세포사멸을 현저히 방지하는 보호 효과를 보였다. 헴 산화효소-1(heme oxygenase-1) 활성 억제제인 아연 프로토포르피린-9(zinc protoporphyrin IX)을 전처리한 세포에서는 레스베라트롤의 보호 효과가 현저히 약화되었으며, 반면에 heme oxygenase-1 활성 촉진제인 코발트 프로토포르피린(cobalt protoporphyrin)과 빌리루빈(bilirubin)은 레스베라트롤과 유사한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간 정량중합효소연쇄반응(RT-qPCR) 검사와,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검사로 확인한 결과 레스베라트롤은 헴 산화효소-1의 mRNA와 단백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짧은 간섭 RNA (small interfering RNA)를 형질주입(transfection)하여 헴 산화효소-1의 발현을 일시적으로 차단(knock down)한 세포에서는 레스베라트롤의 보호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레스베라트롤은 NMDA를 처리한 HT-22 신경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적, 형태학적 손상을 완화하여 신경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내며 그 기전에는 헴 산화효소-1의 발현 증가가 중요하게 작용함을 시사한다.

위 평활근의 부위별 전압-장력 관계에 관한 연구 (Regional Differences in Voltage-tension Relationship of Gastric Smooth Muscles in Guinea-pig)

  • 김기환;이상진;서석효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3권2호
    • /
    • pp.263-275
    • /
    • 1989
  • Mechanical contractions and electrical activities of the fundic longitudinal and antral circular muscle fiber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lucidate topical differences of gastric motility. K-induced contracture was produced by exposure of muscle strips to high K Tyrode solution. Membrane potential and mechanical contraction were simultaneously recorded by conventional glass microelectrode method and single sucrose-gap technique.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ris-buffered Tyrode solution which was aerated with $100%\;O_2\;and\;kept\;35^{\circ}C$.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resting membrane potential of circular muscle cells in the antral region was about 10 mV more negative than that in the fundic region. 2) The membrane potentials decreased almost linearly as the extracellular KCI concentration was increased both in antral circular muscle cells and in fundic longitudinal muscle cells. 3) The thresholdal K concentration of K-contracture was 15 mM (membrane potential, -48 mV) for the antral circular muscle strip and 20 mM for the fundic longitudinal muscle cells. 4) The ratio of membrane permeability coefficient for $Na^+\;and\;K^+,\;P_{Na}/P_K\;({\alpha})$ was 0.065 for antral circular muscle cells and was 0.108 for fundic longitudinal muscle cells. 5) K-contracture of antral and fundic smooth muscle strips showed the contracture composed of phasic and tonic components. The amplitude of the phasic component increased sigmoidally in a dose-dependent manner, whereas that of the tonic component was maximal at a concentration of 40 mM KCI and at the concentrations above or below 40 mM KCI the amplitude was reduced. 6) Th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amplitude of tonic component and extracellular KCI concentration in the range of 40 to 150 mM KCI was more prominent in the antral circular muscle strip than in the fundic longitudinal muscle strip, where the amplitude of the tonic component decreased less steeply and was maintained higher at the same high K concentrations. 7) The tonic component was totally dependent on the external $Ca^{2+}$ and completely abolished by verapamil, while tile phasic component was far less dependent on the external $Ca^{2+}$ and partially suppressed by verapamil. From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made. 1) The phasic component of K-contracture is produced both by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and by $Ca^{2+}$-influx from outside, while the tonic component is generated and maintained by the $Ca^{2+}-influx$ through the potential-dependent $Ca^{2+}$ channel. 2) The mechanism of reducing the free $Ca^{2+}$ concentration in the myoplasm seems to be more developed in the antral circular muscle than in the fundic longitudinal muscle. 3) The lower resting membrane potential of the fundic longitudinal muscle cell reflects a relatively high $P_{Na}/P_K$ ratio of about 0.108.

  • PDF

석탄바닥재 처리가 골프장 잔디식재 사질토양의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Effects of Bottom Ash on the Turfgrass Growth Media of Sandy Topsoil in Golf Course)

  • 이주영;최희열;양재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9-204
    • /
    • 2010
  • 화력발전 후 발생되는 석탄회의 발생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석탄바닥재의 재활용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아 재활용이 잘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석 탄바닥재와 모래의 혼합비율을 달리한 상토로 lysimeter를 제작한 후에 잔디를 재배하고 용탈실험을 수행해 석탄바닥재가 골프장 사질토양의 토양개량재로 적합한지 여부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석탄바닥재와 모래를 일정비율(석탄바닥재 0, 10, 20, 30, 50%)로 혼합하여 조성한 lysimeter에 일정량의 관수를 실시하고 용탈수를 채취한 결과 석탄바닥재 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용탈수량은 유의성있게 감소해 석탄바닥재 처리가 모래토양의 보수력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비 후 3일 간격으로 용탈수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석탄바닥재의 처리 수준이 증가할수록 용탈수의 pH는 증가하였으나, 관수량에 대한 용탈수량, $NO_3$-N, $NH_4$-N 및 K의 용탈량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용탈수의 EC는 석탄바닥재의 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용탈초기부터 끝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결과는 석탄바닥재가 사질토양의 보수 보비력 및 산성토양을 개량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 한다. 그러나 석탄바닥재 pH가 9.03의 알칼리성이고, 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투수성이 불량해지고 토양에서 $PO_4$-P의 흡착량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석탄바닥재를모래에 20% 이하의 적정 비율로 혼합하면 보수 보비력이 낮은 골프코스의 사질토양을 개량할 수 있는 토양개량재로 재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spirin-Triggered Resolvin D1 Inhibits TGF-β1-Induced EndMT through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Smad7 and Is Closely Related to Oxidative Stress

  • Shu, Yusheng;Liu, Yu;Li, Xinxin;Cao, Ling;Yuan, Xiaolong;Li, Wenhui;Cao, Qianqia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4권2호
    • /
    • pp.132-139
    • /
    • 2016
  • The endo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ndMT) is known to be involved in the transformation of vascular endothelial cells to mesenchymal cells. EndMT has been confirmed that occur in various pathologic conditions.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 (TGF-${\beta}1$) is a potent stimulator of the vascular endo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 (EMT). Aspirin-triggered resolvin D1 (AT-RvD1) has been known to be involved in the resolution of inflammation, but whether it has effects on TGF-${\beta}1$-induced EndMT is not yet clear.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T-RvD1 on the EndMT of human umbilical vein vascular endothelial cells line (HUVECs). Treatment with TGF-${\beta}1$ reduced the expression of Nrf2 and enhanced the level of F-actin, which is associated with paracellular permeability. The expression of endothelial marker VE-cadherin in HUVEC cells was reduced, and the expression of mesenchymal marker vimentin was enhanced. AT-RvD1 restored the expression of Nrf2 and vimentin and enhanced the expression of VE-cadherin. AT-RvD1 did also affect the migration of HUVEC cells. Inhibitory ${\kappa}B$ kinase 16 (IKK 16), which is known to inhibit the NF-${\kappa}B$ pathway, had an ability to increase the expression of Nrf2 and was associated with the inhibition effect of AT-RvD1 on TGF-${\beta}1$-induced EndMT, but it had no effect on TGF-${\beta}1$-induced EndMT alone. Smad7, which is a key regulator of TGF-${\beta}$/Smads signaling by negative feedback loop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treatment of AT-RvD1.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AT-RvD1 suppresses the TGF-${\beta}1$-induced EndMT through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Smad7 and is closely related to oxidative stress.

동전기력 복원공정 적용에 따른 세립토양의 전기화학적 특성 변화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ine Soils in the Application of Electrokinetic Remediation)

  • 고석오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7권3호
    • /
    • pp.85-94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토양입자에 대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동전기 기술을 실제 현장에서 적용시,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최적 운전방법이나 인자를 도출하는 것이다. 토양입자의 제타포텐셜을 토양용액의 pH와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대하여 측정하여 전기삼투압적 흐름방향 및 흐름율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동전기 실험동안, 전기삼투압 투과율($k_e$), 전기전도도($\delta_e$) 및 전압분포에 대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Kaolinite의 PZC는 4.2정도로 측정되었으며 pH가 증가할수록 제타포텐셜 감은 점점 음의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주입된 계면활성제 또한 토양 표면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어 제타포텐셜 값을 변화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동전기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토양시료의 대부분에 걸쳐 낮은 pH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로 인하여 용액과 전기적 흐름이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전압 분포도 시간에 따라 변화하여 용액과 전기적 흐름 특성에 영향을 주었다. 결과적으로, 낮은 pH에 의한 토양의 제타포텐셜 값의 변화와 구간별로 다른 전압차분포로 인하여 용액과 전기적 흐름이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본 연구로부터 얻었다. 효과적인 동전기 공정의 적용을 위하여 인위적인 토양 용액의 pH 조절이나 토양의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물질 등을 동시에 주입함으로써 오염물을 제거하는 용매의 흐름이 계속적으로 높게 유지되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