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gative higher score.

검색결과 483건 처리시간 0.027초

국산 백침계 오이와 수출용 백침계 오이의 오이 물김치 제조가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Properties of Cucumber Kimchi of Different Species during Fermentation)

  • 이혜정;김정근;고종명;허명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41-249
    • /
    • 2002
  • 국산 백침계 오이와 수출용 백침계 오이로 제조한 오이 물김치의 저장 중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pH는 적정 pH인 3.5$\pm$0.1에 이르는 시기가 세 시료 모두 14일로 이 수준은 백다다기 오이로 7% 용액에 CaCl$_2$ 첨가 및 microwave를 이용한 후 열처리군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2. 총산도의 변화는 발효 완결 기준을 1.4$\pm$0.1%로 볼 때 대조군은 14일, 수출용 오이들은 7일로 대조군이 수출용 오이들에 비해 발효가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3. 환원당의 변화는 대조군이 14일부터 감소하고, 수출용 오이들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고 대조군은 미생물 증식 속도가 늦은 경향을 보였다. 4. 총균수는 세 품종 모두 발효 적기인 14일에 최대 균수를 보인 후에도 증가가 계속되어 발효가 서서히 진행되는 경향을 보였다. 5. 세 품종의 젖산균수도 총균수의 변화와 경향은 유사했으나 발효 적기인 14일에 최대균수를 보인 후 발효말기까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6. 물성도의 변화는 저장 14일 째에 측정한 결과 견고도는 대조군이 수출용 오이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 관능 검사 결과 저장 기간 동안 외관은 세 시료 모두 높은 값을 나타냈고, 저장기간과 시료간의 Pearson의 상관 계수는 초록색의 정도와 아작함이 유의 수준내에서 음의 관계를 보였다.

말더듬이 지속된 아동과 회복된 아동의 기질 특성 비교: 종단연구 (Temperamen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persistent and recovered stuttering: A longitudinal study)

  • 전희정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4호
    • /
    • pp.101-11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말더듬의 지속과 회복에 따른 하위유형의 기질 특성을 종단적으로 비교하고, 외현적 말더듬 중증도와 기질 특성의 관련성을 살피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학령전 아동으로 41명의 말더듬 아동(CWS, children who stutter)과 30명의 말을 더듬지 않는 아동(CWNS, children who do not stutter)이었다. 아동들은 4년간 종단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마지막 평가에 참여하였을 때 전체 CWS 중 27명은 말더듬이 회복된 아동으로, 14명은 말더듬이 지속된 아동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각 아동의 기질 특성은 유아기질척도-간편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기질 평가는 첫 평가 이후 1년이 지난 시점과 첫 평가 이후 2년이 지난 시점에서 각각 이루어졌다. 기질 특성 비교를 위해 유아기질척도-간편형의 상위요인(외향성, 부정적 정서, 의도적 통제)과 15개의 하위영역 점수를 분석하였으며, 집단과 평가 시점에 따른 차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말더듬이 지속된 아동 집단은 말더듬이 회복된 아동 집단과 CWNS보다 상위요인인 부정적 정서 점수가 평가 시점과 관계없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말더듬이 지속된 아동 집단은 다른 아동 집단보다 부정적 정서를 구성하는 하위영역인 '공포'와 '분노/좌절'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말더듬이 지속된 아동 집단을 대상으로 평가 시점별로 외현적 말더듬 중증도와 기질의 상위요인 및 하위영역 점수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현적 말더듬 중증도와 기질 특성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기질 특성이 말더듬의 지속 및 회복과 관련 있는 요인이라는 이론적 관점을 지지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질이 말더듬으로 인한 반복적인 경험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충남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수면 시간과 질, 생활시간 사용 및 식사의 질과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sleep quality, time use and dietary qual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nam)

  • 신지은;최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6호
    • /
    • pp.656-669
    • /
    • 2022
  • 본 연구는 충남지역 남녀 고등학생 423명을 대상으로 수면의 시간 및 질, 생활시간 사용, 청소년 영양지수를 조사한 후 주중과 주말의 수면 시간에 따른 생활시간의 주된 활동과 식습관 및 영양상태를 비교 평가하고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남학생 112명, 여학 생 311명이었으며, 체질량지수는 남학생이 23.2 kg/m2으로 여학생의 21.6 kg/m2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수면 시간은 주중의 경우 남학생이 6.6시간으로 여학생의 5.8시간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 < 0.001), 주말의 경우에는 남녀학생 모두 8.9시간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높은 수면의 질 15점에서 낮은 수면의 질 75점으로 평가한 수면의 질 점수는 전체 학생에서 주중 26.7점, 주말 28.5점이었으며 남녀학생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중은 6시간, 주말은 8시간을 기준으로 이분하여 비교했을 때, 생활시간 사용은 남학생의 경우 짧은 수면군의 주중 스크린 시간과 주말 총 학습 시간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 < 0.05), 여학생의 경우 짧은 수면군의 주중과 주말 모든 유형의 학습 시간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영양지수 점수는 여학생에서 주중 긴 수면군의 총 점수와 실천 영역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 < 0.05, p < 0.05), 주말 짧은 수면군의 균형 영역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조사대상자의 일반특성을 보정하여 수면 시간과 수면의 질 점수, 생활시간 사용, 청소년 영양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했을 때, 남학생의 경우 주중 수면 시간, 주말 수면의 질 점수, 주말 스크린 시간이 영양지수 총 점수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p < 0.05). 여학생의 경우에는 주중 수면의 질 점수, 주말 수면의 질 점수, 주중 스크린 시간, 주말 스크린 시간, 주말 운동 시간이 영양 지수 총 점수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p < 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전체 고등학생에서 수면의 질이 낮을수록, 스크린 시간이 길수록 영양지수 점수가 낮았다. 남학생의 경우 주중 수면 시간이 길수록, 여학생의 경우에는 주말 운동 시간이 길수록 영양지수 점수가 높아 수면 시간과 질, 생활시간 사용은 식사의 질과의 관련성이 있었다.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Belief of Teaching Efficacy)

  • 강이슬;김민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25-352
    • /
    • 2011
  •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내적 교육신념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해서 알아보고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및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국공립, 민간, 가정 보육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36개월 미만의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처리를 위하여 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개인적 교수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영아보육교사 자신의 교수효능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통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보면 업무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아들과의 활동 스트레스, 개인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수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에서 일반적 교수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교육수준, 월 급여, 근무시간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월 급여가 적을수록, 근무시간이 많을수록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병원경영의 수익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Managerial Performance of Hospitals)

  • 정범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17권
    • /
    • pp.107-13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trend of profitability classified by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and to analyze related factor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survey material conducted by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on 33 hospitals in Korea between 1993 and 2002. Profitability was measured in the aspect of investment profit rate and operation profit rate with net profit to total assets, normal profit to total assets and operating margin to gross revenue as dependent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were classified by general factors (ownership, number of beds, period of establishment, region), financial factors (total asset turnover, liabilities to total assets, current ratio, fixed ratio, inventories turnover, personnel costs per operation profit, material costs per operation profits), composition of manpower and facilities(personnel and area per beds), productivity index(the number of daily patients per medical doctor, the number of daily patients per nurse), the score of quality assurance activities. First, Concerning the specialists per beds or area per beds and profitability of hospitals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ose hospitals having the most daily patients per nurse had significantly higher profitability than the others, but the number of daily patients per medical doctor had little effect on the profitability. Thirds, Those hospitals having a higher proportion total asset turnover tended to show significantly higher profitability compared to other hospitals, but the liabilities to total assets and liquidity ratio had a little difference to the profitability. Those hospitals having a higher proportion personnel costs per operation profit and material costs per operation profits tended to show significantly lower hospital profitability compared to other hospitals. Fourth, In regression analysis, hospital profitability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personnel costs per operation profit or material costs per operation profits. While it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otal asset turnover, the number of daily patients per nurse. In conclusion, private hospitals had higher profitability than that of public hospitals. Though factors related to profitability of hospital were different according to ownership, it is important for securing appropriate profitability by operating appropriate number of nurse, raising total asset turnover, and reducing personnel costs, material costs per operation profit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eline data for planning of hospital management. But the study may be limited in that the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due to its small sample size. However, this longitudinal observation of 33 hospitals over ten year period has significant merit alone.

  • PDF

최후통첩게임 상황에서의 부정정서 조절에 관한 연구: 한국 노인과 청년 비교 (A study on the regulation of negative emotions in the Ultimatum Game: Comparison between Korean older and young adults)

  • 전다솜;김혜리;허아정;박선우;김문걸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921-939
    • /
    • 2019
  • 노화와 함께 심리사회적 여건이 불리해지는 데도 불구하고 노인이 청년보다 부정적 정서를 덜 경험하는 것을 사회정서적 선택이론은 노인이 부정 정서가 경험될 수 있는 상황을 선택하지 않거나 부정 정서를 유발하는 자극으로부터 주의를 돌려서 사전에 정서조절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정적 정서가 경험되는 상황에서도 노인이 청년보다 부정적 정서를 더 잘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최후통첩게임을 사용하였다. 최후통첩게임에서 제안자가 한정된 자원의 일부를 응답자에게 분배하겠다고 제안했을 때, 응답자가 이를 수락하면 둘 다 각자의 몫을 가질 수 있으나 거절하면 둘 다 아무것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자신의 경제적 이득을 고려한다면 제안자의 불공평한 제안에 대해 화가 나더라도 이를 조절하고 제안을 받아들여야 한다. 노인이 청년보다 정서조절을 더 잘 한다면 불공평한 제안을 받았을 때 분노를 덜 경험할 것이므로 청년보다 더 많이 수락할 것이다. 57명의 노인과 60명의 대학생이 연구에 참가하였다. 연구결과 노인과 청년 모두 공평한 제안은 80% 이상으로 수락하였으나, 불공평한 제안 수락률은 노인이 청년보다 더 높았다. 불공평한 제안에 대해 분노를 보고한 비율은 노인이 더 낮았다. 불공평한 제안 수락률은 분노 보고율과 부적 상관이, 정서조절 점수와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정서조절과 분노 보고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연령집단과 불공평한 제안 수락률 간의 관계를 정서조절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이 청년보다 불공평한 제안을 더 많이 수락하는 것은 노인이 분노를 더 잘 조절하는 것으로 일부 설명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는 정서조절의 향상이 성인기의 주요한 발달적 변화라는 주장에 대한 새로운 증거가 됨을 논의하였다.

일 지역 성인의 흡연실태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dult-smoking in a Region)

  • 정영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7-113
    • /
    • 1999
  •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dult-smoking in Chinan County. I us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among 923 residents living in nine districts selected at random among the sites of eleven eup-myons from December 28. 1998 to January 6. 1999. collected data and analyized using SPSS. The smoking rate of adults in Chinan County was $36.9\%$.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moking rate according to the age. gender, education and job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moking rate in group of above 40s was about $40\%$ and that of the male took $55.5\%$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and the smoking rate of the people having high-school education was the highest$(46.2\%)$. With regard to the career. the smoking rate of the farmers ranked first$(46.1\%)$. Therefore anti-smoking business for smokers should be focused on above 40 years old, males. people having high school education and farmers. As the result of the survey of smoking habits of 340 people who smoke currently, the average smoking begining age was 21.8 and $81.5\%$ among them was between 16-25 years old. $4.4\%$ was under 15. during around the elementary school. Most motives to smoke were as followed; curiosity or taste$(33.6\%)$, relief of stress $(31.2\%)$, peer presure$(26.5\%)$ And considering the amount of the cigarette which is smoked per day, the case which is less than a pack of cigarettes was highest as $75.5\%$ and the people who smoke over one pack of cigarettes took $24.5\%$. As for the kind of tobacco which is smoked, how to smoke and the desire for the smoking, most case was toxin was moderate$(47.8\%)$ or mild$(46.9\%)$. shallowly$(49.0\%)$ or deeply$(46.3\%)$ and under stress$(33.4\%)$. after meals$(27.8\%)$, during drink$(15.7\%)$ and so on. The highest point marked among the factors of smoking motives was 'the reduce of negative emotion' $(3.27\pm1.00)$. followed by 'uncomfortable habits' $(2.87\pm1.02)$, 'addiction' $(2.84\pm1.06)$. 'habit' $(2.74\pm1.12)$. 'pleasure' $(2.70\pm1.04)$. 'stimulus' $(2.59\pm.90)$, 'sensation-exercise satisfaction' $(2.42\pm.97)$. Smokers smoke to reduce the negative emotions when angry in most common case. depressed. anxious. uncomfortable. lone. ashamed or embarrased. and intend to solve the certain problem. etc. Other motives are uncomfortable habit. addiction. habit. pleasure and the pursuit of stimulus. The level of nicotine dependence of adults m Chinan County was 10.57 which amount to 'high' wholly. As the resulf of the level of nicotine dependence score. the people who are low in the level of nicotine was $33.5\%$. the people who are high was $48.2\%$. very high was $18.4\%$. The approach for anti-smoking for smokers should be condu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nicotine. For the people who are in low level of nicotin dependence the prohibition of the smoking should be guided through the approach to foster strong will. for those who are in 'high' by acquiring proper method for the prohibition of smoking. and for those who are 'very high' the anti-smoking should be induced by providing proper program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the suffer from abstinence syndrome.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nicotin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s ha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nicotine dependence accompanied by smoking habi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smoke, the kind of tobacos. smoke inhale habit. In other words, the group of heavy smokers had higher level of the nicotine dependence than that of the light smokers relatively and the group which smoke strong taboaco has higher level of nicotine than that of which smoke mild or moderate. And the group of smokers who smoke deeply has higher level of nicotine than that who smoke shallowly or nonswallow. Aa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moking motive factors and the level of nicotine, there was the indication that people who smoke for the decrease of the negative emotion. habit, pleasure. stimulus. sensation-exercise satisfaction had high level of the nicotine dependence. As the result of the anti-smoking will of smokers. $65.0\%$ of them had prohibition of smoking will. $29.3\%$ had no will to quit smoke.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anti-smoking was health. $67.9\%$ had experience to try to quit smoke and the biggest reason to fail to quit smoking was the lack of the will power to keep anti-smoking. $52.8\%$ of them were advised to stop smoking from their spouses or children. only $2.8\%$ were by medical. The people who have the opinion to need anti-smoking education were $69.6\%$. Therefore when the business for the hygine of the mouth for adult is set. it should be centered on the people who have intention of prohibition of the smoking and help to quit smoking by way of other affirmative counter-program not smoking under stress.

  • PDF

일 지역 중년여성의 폐경증상과 폐경관리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cteric Symptoms and Management of Menopause in Middle-aged Women)

  • 송애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08-32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cteric symptoms and management of menopause of middle -aged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1 women(40 to 60 years old). Data were collected from Jun. 1 to Jul. 15, 2001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instruments employed were : 1) The Climacteric Symptoms Scale developed by Aeri Song and Eun soon Chung(1998). 2) The Management of Menopause Scale developed by Aeri Song(1997).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p.c. program using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Mean score of climacteric symptoms was $2.18{\pm}0.39$(Maximum 4, Minimum 1). The mean scores among the categories of climacteric symptoms, in descending order, were : a) physical and physiological reactions ($2.62{\pm}0.53$), b) social and family relationships ($2.23{\pm}0.50$), c) psychiatric and psychological reactions ($2.08{\pm}0.49$), d) relationship with sexual partner($1.73{\pm}0.54$), e) genitourinary reactions ($1.72{\pm}0.55$). 2. Mean score of management of menopause was $1.79{\pm}0.45$ (Maximum 4, Minimum 1). The mean scores among the categories of management of menopause, in descending order, were : a) dietary management($2.57{\pm}0.52$), b) self control ($2.24{\pm}0.57$), c) management of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2.14{\pm}0.75$), d) management of sex life($1.71{\pm}0.47$), e) management of professional health maintenance($1.61{\pm}0.59$).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 of middle-aged women's self reported climacteric symptoms according to : a) occupation (t=-2.79, p<0.001) b) marriage state (t=-2.29, p<0.05) c) age of menarche (F=4.66, p<0.001) d) method of Sanhujori (post natal care & treatment) (F=4.22, p<0.001) e) hormone replacement therapy (t=-3.09, p<0.05). From the above statistics, several significant findings were noted : a) There were more climacteric symptoms from those who were unemployed, those who had no partner or were divorced and those who started a menarche earlier. b) There were less climacteric symptoms reported from those on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those who followed their parents or parents-in-law advice regarding Sanhujori (postnatal care)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 of middle-aged women's self reported management of menopause according to : The educational background (F=7.63, p<0.001), religion (F=3.74, p<0.001), income (F=3.65, p<0.001), number of parity (F=4.87, p<0.001), method of Sanhujori(postnatal care) (F=5.73, p<0.001), period of Sanhujori (postnatal care) (F=2.81, p<0.05), hormone replacement therapy (t=3.81, p<0.001). Women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strong religion, higher income, large number of parity, managed their post natal care well, were on HRT, managed their menopause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others who took part in the survey. 5. It will be noted from the above that women's degree of climacteric symptom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o the management of menopause(r=-0.2146, p<0.001). The findings shown above suggest the need to develop a variable management of menopause, in order to improve climacteric symptoms of middle-aged women. It is hoped that the above findings will stimulate more detailed research into this matter, and thereby enable guidance to be given to women going through the menopause to cope with it in a less stressful way.

  • PDF

일부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The Related Factors Influencing on Self-rated Health Level of Middle-aged Women)

  • 이혜진;이경혜;김은경;김미정;황석만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90-301
    • /
    • 2012
  • This survey of 836 midlife women ($51.0{\pm}4.0$ yrs) was undertaken by exclusively a face to face interview by well-trained interviewers guarantying data collection of higher quality. This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factors affecting self-rated health status, including dietary habits and physical mental social factors. In the self-rated health status of a 'good' group, age was lower (p < 0.05), monthly income was higher (p < 0.01), dietary habits score (p < 0.001) and appetite (p < 0.001) and the degree of movement (p < 0.001) and life satisfaction (p < 0.001), marital intimacy (p < 0.001)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their children (p < 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bad' group. The level of depression (p < 0.001) and severe feeling of menopausal symptoms (p < 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or' group.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educational level (r = 0.069, p < 0.05), income (r = 0.157, p < 0.001), eating habits (r = 0.235, p < 0.001), appetite (r = 0.263, p < 0.001), life satisfaction (r = 0.197, p < 0.001), marital intimacy (r = 0.167, p < 0.001),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r = 0.149, p < 0.001), positive attitude toward menopause (r = 0.070, p < 0.05)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ut depression (r = -0.122, p < 0.001) and menopausal symptoms (r = -0.292, p < 0.001) showe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self-rated health status. The predictable factors affecting the self-rated health status of middle-aged women were examin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nopausal symptoms - physical discomfort'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followed by the 'appetite', 'eating habits', 'menopause symptoms - sensory problems', 'BMI', 'positive attitude toward menopause' and 'high marital intimac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appetite' and 'eating habits'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self-rated health status. Therefore, a program of dietary education must be considered for the effective health education and counseling of middle-aged women.

일부 제조업 남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of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Manufacturing Male Workers)

  • 박승경;이후연;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16-224
    • /
    • 2018
  • 본 연구는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들의 우울수준을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 내용(직무의 요구도, 직무의 자율성) 및 직장의 사회적지지(상사의 지지도, 동료의 지지도)와 우울과의 관련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은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 428명으로 하였으며, 2017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 중 우울경향이 있는 자(CES-D 점수 16점 이상)는 21.5% 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내용별 CES-D 점수는 업무의 요구도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업무의 자율성이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직장의 사회적지지도별 CES-D 점수는 상사의 지지도가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동료의 지지도가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CES-D 점수는 업무의 요구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업무의 자율성, 상사의 지지도, 동료의 지지도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업무 요구도가 높을수록, 업무의 자율성이 낮을수록, 상사와 동료의 지지도가 낮을수록 CES-D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CES-D 점수에 대한 설명력은 업무 요구도와 업무의 자율성이 추가됨에 따라 18.4%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상사의 지지도와 동료의 지지도가 추기됨에 따라 14.1%의 설명력이 증가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업무의 요구도와 업무의 자율성 및 상사와 동료의 지지도가 우울수준과 높은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