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 activity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3초

Acanthamoeba culbertsoni 감염에 있어서 세포 매개성 면역 (Cell-mediated immunity in mice infected with Acanthumoeba culbertsoni)

  • 김명준;신주옥;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3호
    • /
    • pp.143-154
    • /
    • 1990
  • 병원성이 강한 Acanthamoeba culbertsoni에 감염된 마우스를 감염 정도에 따라 경(輕)감염, 중(中)등 감염, 중(重)감염 실험군으로 나누었을 때 감염 기간에 따라 발현되는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의 차이를 지연형 과민반응, T와 B림프구의 아세포화 정도 및 자연 살세포의 독성을 통하여 곤찰하고 또한 혈청내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감염 마우스의 사망율은 $3{\times}10^3$개의 아메바 영양형을 감염시킨 경(輕) 감염군에서는 17%였으며, $1{\times}10^4$개를 감염시킨 중(中)등 감염군에서는 34%, $1{\times}10^5$개를 감염시킨 중(重) 감염군에서는 65%였다. 세포 매개성 면역을 관찰하기 위한 지연형 과민반응의 변동을보면 각 실험군 모두에서 감염 후 7일째 발바닥의 두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감염 후 14일째에는 감소하였고 각 실험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각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 culbertsoni lysate 및 B 림프구 mitogen인 LPS에 의한 비장세포의 아세포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T림프구 mitogen인 con. A로 처리한 비장세포의 아세포화 정도는 각 실험군 모두에서 감염 7일 이후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B림프구 mitogen인 poly I 처리시는 실험군 모두에게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con. A와 poly I에 의한 아세포화 정도에 있어서 각 실험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자연살세포의 세포 독성은 실험군 모두에게 대조군에 비해 감염 후 1일째에 증가되었고 감염 후 5일째에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각 실험군 간에 세포독성의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혈청내 항체가는 각 실험군 모두에서 감염 7일 이후부터 대조군에 비해 계속 증가하였으나 각 실험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수종(數種)의 생약(生藥)에 대(對)한 항암효과(抗癌效果)의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II)-약물(藥物)에 대(對)한 암세포(癌細胞)의 감수성분석(感受性分析)- (Experimental Studies on Antitumor Activity of Herb Drugs (II)-Sensitivity Testing of Tumor Cell to Drugs-)

  • 임재훈;우홍정;김병운;하윤문;이승훈;남상윤;최용묵
    • 생약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7-135
    • /
    • 1987
  • In vitro sensitivity testing was performed for 21 kinds putative anticancer drugs selected from references and information. Cellular damage of P815 mastocytoma cells following exposure to water extracts of drugs was evaluated by colony formation assay. Highly effective drugs with more than 50% inhibition of colony formation were seven (Houttuyniae Herba, Sanguisorbae Radix, Nepetae Herba, Manitis Squama, Lonicerae Flos, Amomi Semen, Polyporus), though not more effective than BCNU. According to the results of $^3H-thymidine$ incorporation assay for determination of selective cytotoxicity, 3 of these drugs (Houttuyniae Herba, Polyporus, Manitis Squama) were found to be low cytotoxic to normal mouse lymphoid cel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bove 3 drugs may be used for effective anticancer drugs in vivo.

  • PDF

Regulation Roles of MICA and NKG2D in Human Renal Cancer Cells

  • Jia, Hong-Ying;Liu, Jun-Li;Yuan, Ming-Zhen;Zhou, Cheng-Jun;Sun, Wen-Dong;Zhao, Jing-Jie;Wang, Jue;Liu, Ling;Luan, Y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9호
    • /
    • pp.3901-3905
    • /
    • 2015
  • Objective: Our aim was to investigation the roles of MHC class I chain-related gene A(MICA) and natural killer cell group 2D(NKG2D) in human renal cancer cells. Materials and Methods: The expression of membrane MICA (mMICA) on renal cells and NKG2D on NK cells were detected by flow cytometry (FCM); the content of sMICA were detected b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the distribution of mMICA on renal tumor tissues by immunohistochemistry; the interaction between MICA and NKG2D was observed by antibody closed method. Result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mMICA in renal cancer tissu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ontrols, where the soluble MICA was not expressed. Cytotoxic activity of NK cells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exposure to NKG2D and MICA antibodies (P<0.05), and serum containing sMICA can obviously lower the function of NKG2D (P<0.05). Conclusions: The interaction of mMICA and NKG2D play important roles in mediation of cytotoxicity of NK cells in RCC. On the other hand, sMICA may mediate tumor immune escape through down- regulated NKG2D expression.

참치 추출물의 항암 및 면역효과 (Antitumor and Immunological Effects of Tuna Extract)

  • 황우익;백나경;황윤경;이성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53-366
    • /
    • 1992
  • 본 연구는 참치의 석유 에텔 추출물로 부터 항암 효과가 있는 활성 성분을 분리 정제하고, 흰생쥐의 임파모 세포인 LI210 과 P388, 인체 장암세포인 HCT-48, HT-29 및 HRT-18를 대상으로 단계별로 얻어지는 성분의 항암 활성올 측정하고, 그 물질의 생체내에서의 작용 기전을 밝히기 위해 여러가지 면역학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In vitro배양액에서의 인체 결장암세포인 H HCT-48에 대해, crude extract는 배양액 1ml강 $60\mu\textrm{g}$ 첨가시 증식이 2배로 억제되었으며(1 unit), 이를 column chromatography 수행하여 얻은 fraction D의 1 unit은 $2 22\mu\textrm{g}$이며, 다시 TLC를 하여 얻은 Spot I 의 1 unit은 $9\mu\textrm{g}$으로서 정제 했을때 277배 증가하였다. Spot I 은 GC/ M5에 의해 7가지 성분이 섞여있는 혼합물로서 이 중 4가지 생분은 $C_{14:0},\;C_{16:0},\;C_{17:1},\;및\;C_{18:0}$인 지방산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나머지 3가지는 지방 성분으로 분자식은 확인되지 않았다. 다른 인체 장암 세포인 HT-29과 HRT-18에 대한 crude extract의 1 unit은 $64\mu\textrm{g}\;및\;54\mu\textrm{g}$이었으며 frattion D의 1 unit에 해당하는 양은 두 세포 모두 약 $34\mu\textrm{g}$이었다. 또한, 생쥐의 백혈병 성 임파모 세포인 L1210과 P388의 경우 crude extract의 1 unit에 해당하는 양은 $2-2.5\mu\textrm{g}$이며, fraction D의 경우는 $1.2-1.4\mu\textrm{g}$으로서 참치 추출물의 세포 종식 억제력은 백혈병성 임파모세포에서 인체 장암세포보다 높았으며, 암세포의 종류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있었다. 참치 추출물(fraction D)을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한 HCT-48 세포획 크기 분포도는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포의 크기가 작아지며, 현미경 사진에서 보면 본래의 형태가 위축되거나, 세포의 주위가 흐트러지면서 사면 현상을 보였다. 참치 석유 에텔 추출물에는 DHA가 18.8%를 차지 하며 EPA는, 3.25% 포함되어 있었다. 대조군 생쥐에 비해 S-180을 접종한 후 참지 추출물을 투여한 생쥐에서 용혈반 형성 세포수와 혈청 단백질 중 immunoglobulin의 relative %가 현저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비장의 자연 살해 세포의 활성에는 변화를주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참치의 석유 에델 추출물중에 in vitro에서 인체 장암세포 및 백혈병성 임파모세포의 증식 억제 및 생체내에서 면역 증강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 PDF

비기환이 항종양(抗腫瘍) 면역반응(免疫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Bikiwhan on the Anti-tumor Immune Responses in the Mouse)

  • 문병하;문구;문석재
    • 대한한방종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67-190
    • /
    • 1995
  • Bikiwhan is one of the oriental medicines that have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tumors since ancient times. However, the mechanism of the drug action is not closely surved. This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ikiwhan on the innate immunity were analysed by measuring the functions of phagocytes, and those of specific immunity were analysed by measuring T and B cells activitie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 1. Bikiwhan has direct cytotoxic effects against human lymphoma cell lines (K562) in a dose dependent manner. 2. An administration of Bikiwhan increased allogenic immune response in the mouse. 3. An administration of Bikiwhan increased the antibodies formation against SRBC. 4. An administration of Bikiwhan enhanced the apperance of rosette forming cells in the spleen. 5. An administration of Bikiwhan decreased the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against dinitrofluorobenzene. 6. An administration of Bikiwhan has no effect on natural killer cells. 7. Bikiwhan increased the phagocyte activity of peritoneal macrophages in vitro and in in vivo as well. 8. Bikiwhan depressed the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intermediated in vitro and in vivo as well. 9. Bikiwhan has the capacity to make peritoneal macrophages secrete nitric oxide. The above results demonstrate that Bikiwhan has enhancing effects of immune responses against tumors by decreasing tissue demages caused by immune responses.

  • PDF

활성화된 자연살상 T 세포(NKT)에서 생성된 사이토카인에 의한 신경모세포종의 세포독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cytotoxicity of cytokines produced by the activated human NKT cells on neuroblastoma)

  • 조진영;윤영욱;윤향석;김종덕;최두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4호
    • /
    • pp.439-445
    • /
    • 2006
  • 목 적 : ${\alpha}$-Galactosylceramide (GalCer)로 자극한 자연살상 T 세포(NKT)는 CD1d 및 T 세포 수용체(T cell receptor) 의존적으로 일부 백혈병에서 항암효과를 발현하나, CD1d음성인 신경모세포종에서는 세포독성을 유도할 수 없다. 이들 NKT세포의 활성화 시 분비되는 많은 양의 사이토카인의 직접적인 항암효과에 대해서는 소수의 보고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hCD1d/${\alpha}$-GalCer tetramer로 NKT세포를 자극하여 얻은 상청액(supernatant)을 이용하여 NKT세포에 의한 신경모세포종의 치료적 접근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방 법 : 신경모세포종 세포 주를 IMDM 배지에 배양하였고, NKT세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 양은 cytometric bead array (CBA)분석으로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calcein-AM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digital image microscopy scanning (DIMSCAN)으로 측정하였고 특이 세포고사(specific apoptosis)는 annexin V and 7-AAD 염색 후 유식세포분석기를 통하여 산출하였다. 결 과 : 활성화된 NKT세포는 많은 양의 IL-2, IL-4, INF-${\gamma}$와 TNF-${\alpha}$을 분비하였다. NKT 자극 후 얻어진 상청액은 8개의 신경모세포종 세포 주 중 4개에서 의미있는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그 기전은 annexin-V 염색이나 pancaspase 억제제의 전 처치 실험으로 세포고사을 통하여 유도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 세포고사 유도는 anti-TNF-${\alpha}$, anti-IFN-${\gamma}$ 중화항체의 단독투여 시 현저히 감소하였고 동시투여 시에는 완전하게 억제되었다. 결 론 : NKT 세포의 활성화에 의해 분비된 IFN-${\gamma}$와 TNF${\alpha}$가 일부 신경모세포종 세포 주에서 협동적 세포 독성을 유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