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functional product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38초

상황버섯의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분석 (Phellinus linteus; Market and Technology Trends Analysis)

  • 손은화;노현숙;박영서;손은수;강세찬;강남성;표석능
    • KSBB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109-117
    • /
    • 2008
  • 담자균류의 버섯은 대부분 영양생장단계의 균사체와 포자를 형성하는 생식생장단계인 자실체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자연산 상황버섯은 자연계에서의 분포수가 극히 적어 그 자실체를 얻기 어려우며, 이러한 희귀성으로 인해 매우 고가로 거래되고 있다. 1990년대 중반 상황버섯은 균사체 배양기술과 인공재배법이 확립된 후 농가에서 대량생산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의 개발이 활발하였다. 그러나 인공재배법에 의한 상황버섯 추출물은 자연산 추출물의 항암 및 효능면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자연산 자실체와 같은 수준에서의 약효를 나타내기 위한 인공배양기술과 고농도 유효성분을 획득하기 위한 추출법이 핵심기술로 대두되었고, 인공배양된 상황버섯과 자연산의 다각도적인 약효 비교에 관한 연구가 아직까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이 높게 함유된 저렴한 추출물이 생산될 수 있는 기반 기술들이 기능성 음료용수, 식품 및 의약품으로 개발에 중요한 핵심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상황버섯 기능성 식품의 시장은 상황버섯의 효능에 대한 인지 증대, 웰빙열풍을 의한 건강 음료에 대한 선호도 증대 등으로 인해 향후에도 1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는 중소기업들이 주로 활동하고 있어 마케팅 및 유통의 한계로 인해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지 않으나, 사업매력도가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어 대기업에서도 상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시장에의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Antihepatotoxic effect of Heat-treated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in $CCl_4-induced$ Rats and the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Volatile Sulfur Substances

  • Park, Hee-Juhn;Jung, Hyun-Ju;Lim, Sang-Cheol;Jung, Won-Tae;Kim, Won-Bae;Park, Kwang-Kyun;Lee, Jin-Ha;Choi, Jong-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1권2호
    • /
    • pp.67-74
    • /
    • 2005
  • The ethanolic extracts of the leaves and bulb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liaceae) collected from Daegwallyoung (D) and Ullung Island (U) in Korea were obtained using three different extracting methods. The first extracts, DL-1 DB-1, UL-1 and UB-1, were obtained from leaves (L) and bulbs (B) dried at $90^{\circ}C$, respectively, and the second extracts, DL-2, DB-2, UL-2 and UB-2, were obtained by extracting the leaves and bulbs of fresh plant parts. The third extracts DL-3, DB-3, UL-3 and UB-3 were obtained by incubating leaves and bulbs at $36^{\circ}C$. The six extracts obtained from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at Daegwanllyoung (cultivated site) were orally administered to examine for a possible antihepatotoxic effect in $CCl_4-induced$ rats. DL-1 exhibited the most pronounced effect. The extracts inhibited serum ALT, AST, SDH, ${\gamma}-GT$, ALP and LDH activities elevated by $CCl_4$ injection and attenuated decreased glutathione S-transferase, glutatione reductase and ${\gamma}-glutamylcysteine$ synthetase activities and a decreased hepatic glutathione. However, the extracts obtained from Ullung Is. (native site) were less active than the extracts from Daegwallyoung, suggesting that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from the cultivated site is more useful for functional food than of native site.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antihepatotoxic effect is due to a higher content of hepatic glutathione. Gas chromatography of the twelve extract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sulfides, disulfides or trisulfides contents belonging to volatile sulfur substances (VSS). Nine component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ir mass spectra, namely, dimeth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diallyl disulfide, dipropyl disulfide, allyl methyl sulfide, allyl methyl trisulfide, 2-vinyl-4H-1,3-dithiin, 3,4-dihydro-3-vinyl-1,2-dithiin, and allithiamine. Extract DL-1 had the highest VSS content. Dried plant materials contained larger amounts of the VSSs than other extracts, and the leaves contained larger amount than the bulb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at treatment increases the antiheaptotoxic ability of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VSSs.

시금치 가루를 첨가한 발아현미쿠키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Cookie with Added Spinach Powder)

  • 이희정;주나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07-71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시금치 가루를 첨가한 발아현미쿠키 제조 조건의 최적화를 위해 시금치 가루와 설탕, 버터의 양을 독립변수로 하였고, Design Expert7(State-easy co., Minneapolis)을 사용하여 실험을 계획하고 최적화하였다. 시금치 가루와 설탕, 버터의 최대 및 최소범위는 예비실험을 거쳐 시금치 가루는 1~5 g, 설탕은 20~50 g, 버터는 40~60 g으로 하여 발아현미쿠키를 제조하여 물리적, 관능적 특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색도에서 명도는 시금치 가루 1 g과 설탕 20 g, 버터 60 g에서 가장 높았고, 5%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적색도와 황색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퍼짐성은 시금치 가루와 설탕, 버터의 양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첨가량이 많을수록 퍼짐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금치 가루와 버터의 교호작용이 퍼짐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루 첨가가 쿠키의 퍼짐성을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경도는 시금치 가루와 버터의 교호작용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관능적 특성에서 색, 향,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 항목은 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금치 가루의 양이 많아질수록 기호도는 일정수준까지 증가하다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색의 관능은 시금치 가루와 버터의 교호작용, 향은 설탕과 버터의 교호작용, 조직감은 시금치 가루와 설탕의 교호작용,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시금치 가루와 버터, 설탕과 버터의 교호작용이 더 민감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의 모든 항목에서 시금치 가루 3 g, 설탕 35 g, 버터 50 g에서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실험을 중 발아현미와 통밀가루를 이용한 쿠키베이스에 시금치를 첨가한 것이 비교적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아현미 쿠키베이스를 이용한 시금치첨가 쿠키의 결과에서는 최적 배합비를 예측한 최적값은 시금치 가루 3 g, 설탕 35.5 g, 버터 54.4 g이었으며, 본 시금치를 첨가한 발아현미 쿠키는 기능성 및 품질과 기도적 측면에서 상품화를 위한 충분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수수의 종자와 새싹채소의 기능성분 분석 (Analysis of Functional Compounds on the Seeds of Sorghum (Sorghum bicolor Moench) and Their Sprouts)

  • 전현식;전승호;조영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99-511
    • /
    • 2017
  • 이 연구는 유기농 수수의 곡물과 새싹채소의 주요 기능성 성분인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 활성, 일반성분을 알아봄으로써, 수수의 유기농 농산물로써의 다양한 활용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수수의 유광 새싹채소는 종자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이 2.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기성분에서도 새싹채소에서 1.6~9.87배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성분 중 총 polyphenol 함량은 유광 새싹채소에서 평균 $4,135mg\;GAE\;g^{-1}$으로 높았으나, flavonoid 함량은 종자에서 평균 $3.86mg\;GAE\;g^{-1}$으로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종자에서 평균 $15.78mg\;TE\;g^{-1}$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광 새싹채소와 무광 새싹채소에서는 평균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는 종자에서 평균 $15.79mg\;TE\;g^{-1}$으로 새싹채소에 비해 11배 이상의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특히, '동안메'는 황금찰, 남풍찰 및 소담찰에 비해 종자와 새싹채소에서 가장 높은 활성이 나타내었다.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은 품종과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광처리와는 매우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따라서 유기농 항산화 식품 및 천연 항산화제 공급원의 이용시 종자('동안메')를 이용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수수 새싹채소의 영양학적인 유기농 식품으로써의 이용에 대한 추가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동충하초 유래 cordycepin의 항암 활성 기전 최근 연구 동향 (Anti-cancer Properties and Relevant Mechanisms of Cordycepin, an Active Ingredient of the Insect Fungus Cordyceps spp.,)

  • 정진우;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07-614
    • /
    • 2015
  • 암은 전 세계 사망률과 질병률의 가장 큰 원인이다. Cordycepin (3'-deoxyadenosine)은 동양의 전통의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동충하초의 주요 기능성 구성요소이자 아데노신 유사체로 알려져 있다. 지난 10년간 cordycepin은 in vitro 및 in vivo 모델에서 면역활성 기능뿐 만 아니라 항염증, 항산화 및 항암 등 다양한 약리학적 특성을 가진다고 보고되어왔다. 최근 들어 많은 연구들은 cordycepin을 화학예방요법 작용제 측면에서 흥미로운 특성을 보고하였고, 실험적인 증거들에 의해 세포사멸 촉진, 세포주기 정지 유도,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 조절, 암세포의 침윤 및 전이 억제를 통해 암의 증식을 지연시킨다고 보고되어 왔다. Cordycpin은 많은 암 세포에서 retinoblastoma protein (RB)의 인산화를 막고 cyclin-dependent kinases (Cdks) inhibitors를 활성화시켜 G2/M기의 진행을 막는 효력이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세포 사멸을 유도하기 위해 세포 내/외부에 존재하는 경로를 활성화시켜 활성 산소종을 생성하고 하위에 존재하는 kinase cascade 반응을 개시한다. 아울러 cordycepin은 또 다른 세포 사멸인 autophagy와 같은 대체 경로를 활성화 시킬 수도 있으며, nuclear factor-kappa B 및 activated protein-1 신호 경로를 포함한 다양한 기전을 통하여 암세포 분리, 이주, 침윤 및 전이 또한 억제 할 수 있다. 본 총설에서는 cordycepin의 항암 작용 기전을 요약하고, 다양한 암 발생의 치료제로서 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미성숙 목화다래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평가 (Evaluations on Antioxidant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Immature Cotton Boll)

  • 박희정;이기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6-43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미성숙 목화다래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알아보기 위해 다래를 크기별로 구분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radical의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및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목화다래의 크기가 작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DPPH radical 소거능 및 ABTS radical의 소거능 또한 작은 크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는 다른 선행연구들에서와 같이 페놀함량이 높은 실험군에서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이 높게 나타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인체 위 내부환경과 같은 pH 1.2에서는 높은 활성을 보이다가 pH 4.2에서는 점차로 활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중성에 가까운 pH 6.0에서는 아질산염 소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OD 유사활성은 대조군인 ascorbic acid에 비하면 낮은 활성이었지만, 기 보고된 다른 천연물들의 효소활성과 비교하였을 때 더 높거나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본 실험을 통해 미성숙 목화다래의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화장품이나 기능성 식품 등에 있어서 새로운 소재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해주는 것으로서, 그동안 주로 천연 솜의 생산을 위해 재배되어왔던 목화의 제한적 활용성을 더욱 다양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대한 레몬 머틀 잎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emon Myrtle (Backhousia citriodora) Leaf Extracts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 김판길;정경임;최영주;갈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86-99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레몬 머틀 잎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과 NO 소거능 및 RAW 264.7 세포에서의 항염증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레몬 머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각각 207.44와 $331.54{\mu}g\;TAE/mg$이었고, DPPH radical 소거능은 0.5 mg/ml 농도에서 각각 90.69%와 92.50%로 나타났으며, SOD 활성은 1 mg/ml 농도에서 각각 106.22%와 103.58%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 분석에서는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1 mg/ml 농도, pH 1.2에서 81.06%와 91.03%로 에탄올 추출물의 소거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레몬머틀의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대식세포에 LPS를 처리하여 세포 내 NO 생성을 유도한 후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여 각각의 추출물이 NO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각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LPS에 의해 증가된 iNOS 단백질 발현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레몬 머틀 잎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천연물 소재로서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종시 감나무 부위별 수용성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Water-soluble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Kojongsi Persimmon (Diospyros kaki L.))

  • 전인화;강현주;이현서;신준호;박용균;정승일;장선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05-510
    • /
    • 2014
  • 본 연구는 고종시 감나무 부위별 수용성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감꼭지와 감잎은 DPPH, ABTS 및 NO 등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활성뿐만 아니라 환원력도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LPS에 의해 활성화된 설치류 유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서 NO 생성억제는 감꼭지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지만, $PGE_2$ 생성의 경우 모든 부위의 추출물에서 탁월한 억제 효과가 있었다. 더욱이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감꼭지, 감잎 및 감껍질 추출물은 농도에 의존적으로 TNF-${\alpha}$와 IL-$1{\beta}$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종시 감나무 부위별 추출물 중 감꼭지와 감잎은 항산화제뿐만 아니라 항염증에 효과적인 물질이라는 것을 제시해주었고, 감껍질의 경우 비록 항산화 효과는 낮았지만, 우수한 항염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임을 제시해주었다. 그러므로 고종시 감나무 수용성 추출물은 항산화와 항염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Ginsenoside Re Enriched Fraction (GS-F3K1) from Ginseng Berries Ameliorates Ethanol-Induced Erectile Dysfunction via Nitric Oxide-cGMP Pathway

  • Pyo, Mi Kyung;Park, Kwang-Hyun;Oh, Myeong Hwan;Lee, Hwan;Park, Young Sik;Kim, Na Young;Park, So Hee;Song, Ji Hye;Park, Jong Dae;Jung, Se-Hee;Lee, Bong-Gun;Won, Beom Young;Shin, Ki Young;Lee, Hyung G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46-52
    • /
    • 2016
  • Erectile dysfunction (ED) is a highly prevalent disorder that affects millions of men and considered to be an early symptom of atherosclerosis and a precursor of various systemic vascular disorder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epare ginsenoside Re enriched fraction (GS-F3K1, ginsenoside Re 10%, w/w) from ginseng berries flesh and to investigate the enhanced activities of GS-F3K1 on alcohol-induced ED. GS-F3K1 was prepared by the continuous liquid and solid separating centrifugation and circulatory ultrafiltration from ginseng berries flesh. GS-F3K1 was administered for 5 weeks in ethanol-induced ED rat by oral administration of 20% ethanol.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S-F3K1 on ED model, the levels of nitrite expression, 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cGMP) and erectile response of the penile corpus cavernosum of rat were measured. The erectile response of the corpus cavernosum was restored after GS-F3K1 administration, to a level similar to the normal group. The level of nitrite and cGMP expression in the corpus cavernosum of GS-F3K1-administered male rat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positive control group. GS-F3K1 from ginseng berries should effectively restore ethanol-induced ED in male rats and could be developed as a new functional food for the elderly me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nalytical Method for Betanine and Isobetanine in Processed Food Products Labeled with Beet Red

  • Kang, Hyun-Hee;Yun, Choong-In;Lee, Gayeong;Shin, Jae-Wook;Kim, Young-Ju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76-381
    • /
    • 2021
  • Red beet roots (Beta vulgaris L.)는 천연색소로 붉은 색계열의 betacyanins은 75-95%의 betanine와 이성질체인 isobetanine 15-45%으로 존재한다. 본 연구는 비트레드를 사용한 식품에 대해 HPLC-DAD를 이용하여 지표성분인 betanine 및 isobetanine에 대해 분석법을 확립하였으며, 유효성 검증을 위해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확성, 정밀성, 측정불확도를 측정하였다. 캔디류, 빙과류, 코코아 가공품의 matrix에 적용하여 matrix matched calibration법을 사용하였으며 R2이 0.9998 이상으로 높은 직선성을 보였다.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16-0.32 mg/L, 0.48-0.97 mg/L으로 확인되었다. 분석법의 정확성 및 정밀성을 검증하기 위해 intra-day 및 inter-day 반복 실험 결과, 회수율은 96.0-103.1 %, 100.0-102.2 %이였으며, RSD는 0.5-3.3 %, 0.9-3.8 %로 산출되었다. 측정불확도는 매트릭스 및 측정 농도에 따라 1.71-12.43%로 평가되었다. 또한, 확립된 분석법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서 비트레드 색소를 사용한 가공식품 26종을 분석한 결과, betanine과 isobetanine을 정량 할 수 있었다 (8.4-3,823.4 mg/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