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coloring matter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6초

건조 쪽잎 추출액에 의한 면직물 염색성 (Dyeing Properties of Cotton Fabrics Dyed with Extract from Dry Leaf of Indigo Plant)

  • 송성원;조경래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2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dyeing method with dry leaves of indigo plant. Coloring matter was extracted from dry leaves of indigo plant with hot sodium hydroxide solution. The extract was reduced with sodium dithionite, and it was used for dyeing cotton fabrics under various conditions. UV-visible absorption spectra of extract, reduction rate of extracts by reducing agent, and the surface color of dyed cotton, lightfastness were examined. For the initial 20 minutes, the absorbance of indigo solution rapidly decreased. However, several hours later, the decreasing rate retarded. By repeating the dyeing process, the shade looked deeper and deeper. At $30-40^{\circ}C$, the value of K/S reached the highest point. The concentration of indigo solution in dye bath seemed to playa critical role for the reaction of the reducing agent. It was observed that the surface color of cotton fabrics was getting bluish and its degree of value and chroma seemed slightly decreased as the K/S value was increasing. The lightfastness was clearly enhanced by increasing the K/S value.

연안해역에서 파도에 의한 해수 침투이론의 비교와 정량화 (Analysis and Quantification of Seawater Infiltration by Wave Action in Coastal Zone)

  • 정정조;최두형;김태근;강전광정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11
    • /
    • 2001
  • 조간대와 같은 연안지역에서 해수의 토양 이동이 가지는 의미는 육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토양 이동 및 생물농축, 저서생물들의 생존에 필수적인 플랑크톤, 박테리아, 유기쇄설물, 산소, 영양염, 유기물의 생물공급, 수질 정화량 산정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쇄성 수역과 같이 파도에너지가 비교적 작은 조간대에서 파도에 의한 해수의 침투거동을 해석하고, 파도에너지와 사면 구배의 변화에 따른 해수의 침투량 변화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조간대에서의 해수 침투량을 개략적으로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모의 조간대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폐쇄성 수역과 같은 파도에너지가 작은 조간대에서는 파도에 의해서 해수가 반원형의 형태로 토양중으로 침투하는 semi-circular mechanism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침투 거동임을 알 수 있었다. 구배 또는 쇄파파고가 높아짐에 따라서 해수의 침투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수는 쇄파파고 보다는 구배의 영향을 크게 받아서 토양중으로 침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현장토양을 이용하여 해수의 침투량을 정량화 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 조간대에서의 해수 침투량을 개략적으로 산정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오염물질의 토양 이동 및 생물농축, 저서생물들의 먹이공급, 수질 정화량 산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요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