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park trail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4초

국립공원 탐방객의 등산로 선택모형 -계룡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A Choice Model of Visitor's at National Park in the Case of Mt. Kyeryong)

  • 박청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21
    • /
    • 2001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motivations, preferences, and past experiences vary by each hikers trail choice at the Mt.Keyryong National P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choice in the recreation areas, and establish the fundamental theory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resource and visitors. For this study, we have collected 472 respondents by on-site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from the hikers in the park.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discriminant analysis. The motivations variable of hiking participation on mountain trail were categorized three types; close-nature, escapism, and physical improvement. The preferences for trail environment were classified as four categories by factor analysis; preference for nature, safety, use density, and facilities. In descriptive statistics, the study showed that the experienced hikers prefer natural trials and hikers who have preference for close-nature select longer and deeper forest trails. The results of discriminant analysis indicate that the level of past experience is the most affectable in classification of trail choice. Such variables as motivation for close-nature and preference for nature were also appeared as affecting factors on classification of trail choice. Two discriminant functions were available, and 90.5 percent of analysis sample were correctly classified. In the validity analysis, 89 percent of holdout sample were correctly classified. These hit ratios ensures an accuracy by Press Q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o be useful knowledge of the choice of detailed use environments in the same recreation areas.

  • PDF

설악산 국립공원 등반로의 훼손상태와 주변식생에 관한 연구 (Mountaineering Trail Deterioration and Vegetation in the Mt. Sorak National Park)

  • 박봉우;이기선;윤영활;박완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9-79
    • /
    • 1989
  • ^x Mt. Sorak national park trails are receiving high levels of use that is affecting user satisfaction and resource management. Trampling impacts studies were conduced in 2 courses to measure soil loss, extent of trail width, and vegetation change. Trail erosion were quantified using a cross -sectional area and most Portions were eroded severely in Oe - Sorak course especially. Phytosociological changes were also surveyed on trail - sides and controls by quadrat to confirm that trampling had an effect on the composition of the vegetation. Information from this study could be used directly in the planning, construction of new trails, and the maintenance of existing trails.

  • PDF

인체간암세포에서 genistein의 TRAIL에 의한 apoptosis 유도 상승효과에서 미치는 p38 MAPK signaling pathway의 영향 (Enhancement of TRAIL-Mediated Apoptosis by Genistein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3B Cells: Roles of p38 MAPK Signaling Pathway)

  • 김성윤;박철;박상은;홍상훈;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49-1557
    • /
    • 2011
  • TRAIL은 다양한 암세포에서 apoptosis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간암세포를 포함한 일부 암세포에서 TRAIL 저항성이 획득된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다. 대두의 대표적인 생리활성 물질인 isoflavonoid계열 genistein은 이미 많은 암세포에서 apoptotic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TRAIL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TRAIL 저항성을 가진 Hep3B 간암세포에서 TRAIL에 의한 apoptosis 유도를 genistein이 더욱 상승시킬 수 있음을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Hep3B 세포에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는 범위의 genistein에 의한 TRAIL 유도 apoptosis 상승효과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손상과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genistein과 TRAIL 복합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도는 p38 MAPK 활성 저하로 더욱 상승하였으며, 이는 Bid의 truncation 증가, pro-apoptotic 단백질인 Bax의 발현 증가와 anti-apoptotic Bcl-2의 발현 감소 및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의 cytochrome c 유출의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p38 MAPK 억제제는 genistein 및 TRAIL 복합처리에 의한 caspase의 활성 증가와 PARP 단백질의 단편화를 촉진시켰으며, 이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적 손상 증가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genistein이 TRAIL에 의한 apoptosis 유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이 p38 MAPK 의존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T24 방광암세포에서 Luteolin과 TRAIL의 복합 처리에 따른 Apoptosis 유도 (Induction of Apoptosis by Combination Treatment with Luteolin and TRAIL in T24 Human Bladder Cancer Cells)

  • 박현수;최영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363-136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플라보노이드 계열 중의 하나인 luteolin을 이용하여 TRAIL에 저항성을 가지는 T24 방광암세포에서 TRAIL 저항성 극복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luteolin 및 TRAIL 각각 단독 처리 시 세포증식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한 농도의 복합 처리 시 세포증식억제 효과가 크게 증가하였음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증식억제와 연관된 aspoptosis 유도는 caspase-8의 활성화에 의한 tBid의 발현 증가와 pro-apoptotic 인자인 Bax의 발현 증가로 인한 caspase-9 및 -3의 활성화로 이어지는 type II apoptosis에 의한 것이라 추측되며, 이러한 가정은 각각의 caspase 선택적 저해제를 이용하여 재확인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TRAIL에 저항성을 보이는 암세포에 luteolin이 감수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일 수 있으며, 암세포에 대한 combination therapy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Trichostatin A Sensitizes Human Renal Carcinoma Cells to TRAIL-Induced Apoptosis through Down-Regulation of c-FLIPL

  • Han, Min Ho;Park, Cheol;Kwon, Taek Kyu;Kim, Gi-Young;Kim, Wun-Jae;Hong, Sang Hoon;Yoo, Young Hyun;Choi, Yung Hyu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3권1호
    • /
    • pp.31-38
    • /
    • 2015
  • Histone acetyl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regulation of transcription by altering the structure of chromatin, and it may influence the resistance of some tumor cells to tumor necrosis factor (TNF)-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TRAIL) by regulating the gene expression of components of the TRAIL signaling pathwa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and molecular mechanisms of trichostatin A (TSA), a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in sensitizing TRAIL-induced apoptosis in Caki human renal carcinoma cells. Our results indicate that nontoxic concentrations of TSA substantially enhance TRAIL-induced apoptosis compared with treatment with either agent alone. Cotreatment with TSA and TRAIL effectively induced cleavage of Bid and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activation of caspases (-3, -8, and -9) and degradation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contributing toward the sensitization to TRAIL. Combined treatment with TSA and TRAIL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s of the cellular Fas-associated death domain (FADD)-like interleukin-$1{\beta}$-converting enzyme (FLICE) inhibitory protein (c-FLIP), whereas those of death receptor (DR) 4, DR5, and FADD remained unchanged. The synergistic effect of TAS and TRAIL was perfectly attenuated in c-$FLIP_L$-overexpressing Caki cells. Taken together,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down-regulation of c-FLIP contributes to TSA-facilitated TRAIL-induced apoptosis, amplifying the death receptor, as well as mitochondria-mediated apoptotic signaling pathways.

지리산국립공원 종주등산로의 횡단면 변화 - 노고단~삼도봉 구간을 중심으로 - (Cross-sectional Changes of Ridge Traversing Trail in Jirisan National Park)

  • 김태호;이승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34-245
    • /
    • 2013
  • 지리산국립공원 종주등산로의 침식속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노고단~삼도봉 구간에서 등산로의 형태별 유형을 고려하여 16개 측량지점을 선정하고 2010년 11월부터 2012년 4월까지 18개월간 등산로의 횡단면을 측량하였다. 모든 지점에서 실질적인 침식이 발생하여 등산로 횡단면이 확대되었으나 토양침식량은 지점에 따라 차이가 커 $54.9{\sim}908.8cm^2$, 일평균 침식속도로는 $0.1{\sim}1.72cm^2$의 범위를 보인다. 유형별로는 평탄면형 $172.4cm^2$, 얕은 우곡형 $109.3cm^2$, 깊은 우곡형 $493.9cm^2$, 외벽형은 $573.2cm^2$, 양벽형 $556.8cm^2$이다. 그러나 유형에 관계없이 등산로의 횡단면 변화는 노면보다는 측벽에서 크게 나타났다. 시기별로는 5월~10월의 침식량이 11월~4월보다 많았으며, 2011년 11월~2012년 4월에는 퇴적량이 침식량보다 많아 등산로 횡단면이 줄어들었다. 조사구간에서는 3월과 4월에 등산로 측벽에 서릿발작용으로 토양입자가 쌓이고 5월 이후 강수량이 많아지면서 우세로 제거되며 등산로 침식을 주도한다. 서릿발 발달에 유리하므로 북향 측벽의 침식량이 남향보다 크다. 4월에 관측되는 동결기의 작은 침식량과 등산로 횡단면의 축소는 동상과 서릿발작용에 작은 강우량과 일시적인 답압 중단이 가세하여 만들어낸 계절적인 현상이다. 산악국립공원의 등산로 관리 측면에서 등산로의 침식량과 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관측이 이루어지는 등산로 침식 모니터링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지정이 훼손 탐방로 주변 토양과 식생피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ecial Protection Area Designation on Soil Properties and Vegetation Coverage of Degraded Trails)

  • 김동환;이동호;김현석;김성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352-359
    • /
    • 2015
  • 본 연구는 훼손지에 적용된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제도가 탐방로의 토양과 식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북한산 국립공원 내 일반 탐방로(개방 탐방로)와 특별보호구로 지정되어 16년 동안 출입이 금지된 탐방로(폐쇄 탐방로)의 토양의 용적밀도, 수분, 총 질소, pH, 유기물 함량을 측정하고, 지면피도를 조사하여 개방 탐방로와 폐쇄탐방로의 토양 및 식생상태를 비교분석하였다. 일반 탐방로의 토양은 탐방로 주변 식생지대의 토양에 비하여 용적밀도가 증가하고 수분과 총 질소,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여 훼손을 확인하였으나, 폐쇄 탐방로의 경우, 토양의 용적밀도, 수분, 총 질소, pH, 유기물 함량이 주변 식생지대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탐방로 폐쇄로 인한 생태적 회복을 확인하였다. 지면피도의 경우, 일반 탐방로에서 지면식생과 낙엽의 피도가 낮고 나지와 암석의 피도가 높아 훼손을 확인하였으나, 폐쇄 탐방로에서는 낙엽 암석 나지 피도가 회복되었고, 식생피도는 산림 환경피해도 등급을 적용하였을 때 제한적인 회복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특별보호구 지정을 통해 훼손지의 회복이 가능하나, 토양이 식생에 비하여 더 빠르게 회복됨을 알 수 있었다. 훼손지의 특별보호구 지정은 대상지의 회복특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으며, 특별보호구 제도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대상지의 생태적 사회적 가치와 중요성을 고려한 세분화된 특별보호구 선정 및 관리 기준이 필요하다.

운동강도 평가를 이용한 국립공원 등산로의 관리대책 - 설악산국립공원과 계룡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Management Guideline of Trail in National Park Using Analysis of Excercise Load - At Soraksan Nat'l Park and Kyeryongsan Nat'l Park -)

  • 이준우;박범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69-479
    • /
    • 1998
  • 본 연구는 등산로의 물리적 특성과 등산시 운동강도와의 관계를 밝히고 이를 이용자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설악산국립공원과 계룡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운동부하에 영향을 미치는 등산로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경사도가 주요원인이며, 등산시 짐의 무게도 운동부하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급경사지에 위치한 등산로의 이용을 억제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등산로의 연령대별 운동강도를 추정하여 제시하였다. 제시된 홍보자료는 체력이 낮거나 나이가 많은 탐방객의 이용을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백두대간권역 국립공원 비개방 탐방로의 훼손실태 (Deterioration Status of Closed- Trail of National Parks on the Baekdudaegan Mountains, South Korea)

  • 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827-834
    • /
    • 2012
  • 본 연구는 백두대간권역의 설악산, 속리산국립공원 비개방 탐방로를 대상으로 탐방로 특성과 이용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여 핵심지역 보전을 위한 공원관리와 비개방에 따른 이해 당사자들간의 갈등 해결을 위한 정책반영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 비개방 탐방로 3개 구간, 속리산국립공원 비개방 탐방로 1개 구간 총 17.1km, 112개 조사지점의 탐방로 특성을 조사한 결과 평균 노폭은 0.98m, 평균 나지폭은 0.84m, 평균 최대침식깊이와 종단경사는 각각 11.6cm, 14.2%이었다. 훼손유형 발생빈도는 뿌리노출이 53개소(47.3%)로 가장 많았으며 훼손영향이 적은 건전지점은 47지점(42.0%)이었다. 본 조사대상지는 산악형 국립공원의 개방 탐방로에 비해 훼손 압력은 적으나 국립공원을 일부 포함하는 다른 지역의 백두대간 마루금 탐방로와 비슷한 압력을 받고 있었다.

한라산국립공원의 등산로와 주변의 환경훼손 (Environmental Deterioration of and around Trail in Hallasan National Park)

  • 오구균;허순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5-71
    • /
    • 1992
  • 한라산국립공원에서 이용객에 의한 등산로와 등산로주변의 환경훼손실태조사를 1990년에 실시하였다. 등산로폭과 주변의 나지노출폭은 이용강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주변식생의 수고와 경사도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노면의 깊이는 노폭 및 나지노출폭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용객에 의한 등산로주변의 면적훼손은 아고산지역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었으며, 주 훼손지역의 총 면적은 121,000$m^2$로, 그중 생태계보전사업이 시급한 면적은(훼손등급 4급이상) 약 72,000$m^2$로 추정되었다. 등산로와 주변의 훼손유형은 10가지로 밝혀졌으며, 총 침식량은 약 62,000$m^2$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