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ked

검색결과 947건 처리시간 0.021초

쌀보리, 겉보리 및 밀을 이용한 엿기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alt Prepared with Covered Barley, Naked Barley and Wheat)

  • 서형주;정수현;김영순;홍재훈;이효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17-421
    • /
    • 1997
  • Quality of Sikhe, the Korean conventional rice beverage depend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accharifying activities of various amylases, intrinsic flavour, budding rate and so on. To improve the quality of Sikhe, characteristics of malt produced with wheat, covered barley and naked barley were evaluated. The germination rate of wheat was 82%, but those of naked and covered barley were 69% and 56% for 6 days, respectively. Malt prepared from germinated grains with 1.5~2.0 times length of buds had the highest saccharifying power. when the extraction of enzyme and reducing sugar was carried out at 5$0^{\circ}C$ for 4 hr, saccarifying power and reducing sugar contents were the highest. Malt of wheat had the highest saccharifying power. Malt of naked barley had higher saccharifying power than that of covered barley. The amylase types of wheat, covered barley and naked barley were similar to $\beta$-amylase.

  • PDF

쌀보리를 기질로 한 알콜발효의 최적 액화효소

  • 남기두;김운식;최명호;박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7-221
    • /
    • 1996
  • Various treatments of naked barley with commercial liquefying enzymes have been emploved to reduce high viscosity of naked barley in cooking as a raw material for alcohol production and to increase alcohol yield. The enzyme BAN used for cooking and liquefaction of naked barley was able to make a reduction of one third of viscosity and to enhance alcohol yield of 4 l/Ton of raw material than the T120L was. Of course, alcohol yield depended in part on the applied saccharifying enzymes. The low temperature cooking of naked barley with BAN was favorable compared with high temperature cooking for both of reducing viscosity (210 vs. 237 cp) and final alcohol yield (Yp/so: 0.397 vs. 0.395 g/g) in industrial scale.

  • PDF

한국산 쌀보리 $\alpha$-Amylase 저해물질의 분리 및 정제 (Purification of $\alpha$-Amylase Inhibitor from Naked Barley in Korea)

  • 심기환;문주석;신창식;최진상;박석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56-562
    • /
    • 1995
  • The $\alpha$-amylase inhibitor from naked barley was purified by DEAE-cellulose, Concanavalin-A sepharose and superose 6 column chromatography, and confirmed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The purified $\alpha$-amylase inhibitor showed a single band of 29KD in molecular weight when estimated by the SDS-PAGE. Its purity was increased by 12-fold as compared to its crude extract, and its specific activity was found to be 336.7units/mg. The major amino acids of the $\alpha$-amylase inhibitor from naked barley was appeared to be glutamic acid, asparitic acid and arginine. The inhibitor from naked barley was glycoproteins and carbohydrate content of inhibitor was 1.0%.

  • PDF

쌀보리쌀의 수분 흡수 속도 및 침지 중 경도의 변화 (Hydration Rates and Changes of Hardness during Soaking of Polished Naked Barleys)

  • 윤영진;김관;김성곤;김동연;박양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1호
    • /
    • pp.21-25
    • /
    • 1988
  • 쌀보리(무안보리, 송학, 새쌀보리 및 늘쌀보리)의 주된 입자(7mesh)를 도정수율 65%로 도정하고 $40^{\circ}C$에서의 수분 흡수 속도 및 침지 중 경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쌀보리쌀은 침지 시간 7시간에 평형 수분 함량에 도달하였으며, 확산계수 값은 쌀보리에 비하여 $3{\sim}4$배 높았다. 쌀보리쌀의 침지 중 부피 증가량은 수분 증가량과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쌀보리쌀의 부피 증가 속도 상수 값은 쌀보리에 비하여 약 2.2배 높았다. 쌀보리쌀의 침지 중 경도 변화는 대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감소속도 상수 값은 송학이 가장 컸으며 무안보리쌀이 가장 작았다.

  • PDF

겉보리와 쌀보리의 제분특성 및 점조성 (Rheological and Milling Characteristics of Naked and Covered Barley Varieties)

  • 최홍식;H.E.스나이더;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5-90
    • /
    • 1975
  • 일정한 제분 조건하에서 쌀보리의 제분수율은 겉보리의 경우보다 약 10% 높았으나, 제품속의 회분함량은 오히려 낮았다. 그리고 쌀보리 가루의 아미로그람은 겉보리가루보다 높은 점성을 보였다. 보리가루와 밀가루의 10:90 및 30:70 혼합물로 부터 만든 반죽의 화리노그람에서는 보리가루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제빵품질이 감퇴됨을 살폈다. 또, 제빵비교 시험에서도 쌀보리가루의 경우 겉보리가루보다 안정성이 높았고, 탄력이 좋았으며, 조직이 튼튼하였다.

  • PDF

보리의 종류를 달리한 보리식혜의 이화학적 특성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khyes made of Different Various of Barley)

  • 김안나;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0-41
    • /
    • 2015
  • 보리의 이용증대와 식혜 제조 시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인 엿기름 함량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리의 종류(자수정보리, 검정보리, 늘보리, 늘찰보리, 쌀보리, 쌀찰보리)를 달리하여 전통음료인 식혜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리 입자의 장폭비를 측정한 결과, 검정보리가 가장 높았으며, 자수정보리가 가장 작았다. 보리밥알의 수분은 54.96~71.74%의 함량을 보였다. 당화액의 pH는 5.40~5.63의 범위였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15.37~18.73 brix%의 범위로, 늘찰보리로 제조한 식혜의 당화액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가장 높으며, 검정보리로 제조한 식혜에서 가장 낮았다. 환원당 측정결과, 4.35~7.42 mg/ 100 g의 값을 보였으며, 늘찰보리에서 가장 높은 환원당의 값을 검정보리에서 가장 낮은 환원당 값을 보여, 가용성 고형분함량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밥알과 당화액의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 검정보리에서 낮게 나타났다. 보리식혜의 특성차이 검사 결과, 밥알의 통통함은 검정보리가 강하게 평가되었으며, 늘찰보리가 낮게 평가되었다. 밥알의 삼킨 후의 느낌은 검정보리가 강하게, 늘찰보리가 낮게 평가되었으며, 밥알의 통통함 항목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호도 검사 결과, 외관은 쌀찰보리와 쌀보리로 만든 식혜가 높았으며, 냄새는 자수정보리가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텍스처에서는 쌀보리와 쌀찰보리가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쌀보리로 제조한 식혜가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위와 같이 보리의 품종에 따라 식혜 품질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늘찰보리와 쌀보리로 식혜 제조 시 엿기름의 함량을 늘리지 않으면서도 당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볶은 쌀보리를 혼합한 녹차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Green Tea Blended with Parched Naked Barley)

  • 최성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981-986
    • /
    • 2012
  • 중작녹차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좋은 향미와 기능성을 가진 차를 만들기 위해 덖은 쌀보리에 중작녹차를 혼합하였다. 쌀보리녹차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추출은 Likens and Nickerson형 추출 장치를 사용한 동시증류추출방법에 의해 완수였으며, 그 농축된 추출물은 GC (Gas chromatography)와 GC-MS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에 의해 분석되었다. 3-methylbutanal, 2-methylbutanal, 그리고 2,5-dimethyl pyrazine 등의 화합물이 쌀보리로부터 분리, 동정되었다. 그리고 녹차에서는 ${\alpha}$-terpinolene, indole, ${\beta}$-ionone 등을 포함한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또한 쌀보리와 녹차를 혼합한 쌀보리녹차에서는 2,5-dimethyl pyrazine, indole, 3-ethyl-2,5-dimethyl pyrazine 등을 포함한 화합물들이 분리, 동정되었다. 그 결과로부터 일반 중작녹차보다 볶은 쌀보리와 녹차를 혼합한 쌀보리녹차가 관능적으로 더 좋은 향미를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 같았다.

쌀보리 단독제분 및 혼합제분 방법에 관한 연구 (A note on Methods of Milling Naked Barley and Wheat-Naked Barley Mixture)

  • 최홍식;권태완;김희갑;김동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6-99
    • /
    • 1975
  • 쌀보리의 합리적인 제분 방법을 규명하고저 tempering 최적조건 부분 도정후의 제분성, 밀과의 혼합 제분성 등을 test mill 을 이용, stock stream 별로 검토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쌀보리의 최적 tempering 조건으로서는 수분 13. 5%에서 48시간 일차 tempering 을 한 후 이어 제분 30분전 0. 5% 가수 처리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였다. 2. tempering 전후 부분 도정을 실시하므로써, 회분 함량은 저하시킬 수 있었으나 수율이 크게 저하되고, 부분도정 후 제분이란 두 단계의 가공 과정이 필요하므로 비효율적이었다. 3. 쌀보리를 밀과 혼합하여 제분할 때, 쌀보리의 혼합비율은 $10{\sim}20%$가 합리적이며, 이때 사용되는 원료 밀은 연질보다 경질의 밀이 더욱 유리하였다.

  • PDF

Effect of Naked Neck Gene on Immune Competence, Serum Biochemical and Carcass Traits in Chickens under a Tropical Climate

  • Rajkumar, U.;Reddy, B.L.N.;Rajaravindra, K.S.;Niranjan, M.;Bhattacharya, T.K.;Chatterjee, R.N.;Panda, A.K.;Reddy, M.R.;Sharma, R.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7호
    • /
    • pp.867-872
    • /
    • 2010
  • A comprehensive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ect of naked neck (Na) gene on immune competence,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and carcass quality traits in three genotypes (NaNa, Nana and nana) of the naked neck chicken under a tropical climate (Southern India). Sixty day-old chicks (20 from each genotype) were selected randomly and reared under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s up to eight weeks of age. The cell mediated immune (CMI) response to phytohaemoagglutinin-P (PHA-P) was significantly higher ($p{\lgq}0.01$) in NaNa and Nana genotypes compared to nana birds. The humoral response as measured by antibody titre to sheep red blood cells (SRBC)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NaNa. The total cholesterol, LDL and VLDL 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p{\leq}0.01$) lower whereas HDL 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aNa and Nana compared to nana genotype. The presence of Na allel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ive weight and dressing yield, and decreased the feather cover and abdominal fat. The naked neck genotypes (NaNa/Nana) performed better than the normal (nana) siblings for almost all the traits studied.

한국산 검정콩 및 쌀보리 $\alpha$-Amylase 저해물질의 이화학적 특성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lpha$-Amylase Inhibitors from Black Bean and Naked Barey in Korea)

  • 심기환;문주석;배영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67-375
    • /
    • 1998
  •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alpha$-amylase inhibitors from black bean and naked barley is Korea were investigated. Preincubation time for maximum inhibition was 30min and no activity change was seen after that time. Optimum pH of the $\alpha$-amylase inhibitors from the black bean and naked barley was pH 7.0 and the inhibitory activities were stable in the range of pH 6.0~8.0 in both phosphate and Tris-HCI buffer solutions. Both inhibitors maintained more than 50% of activity after incubation for 17 min at 7$0^{\circ}C$. The inhibitors from the black bean and naked barley maintained more than 50% of activities after treatment for 40 min and 30 min with pepsin, and 30 min and 50 min with trypsin, respectively. Both inhibitors functioned via a noncompetitive mechanism and were active against porcine pancreatic and human salivary $\alpha$-amylases. The activities of both inhibitors were linear for the ionic stength ranging from 0 to 0.9. The addition of 70 mM maltose to the reaction mixture caused a maximum increase in the relative activities of both inhibitors, but it did not affect the dissociation of the EI complex. The activities of both inhibitor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by adding 1mM of K+ or Mg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