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butyl acrylate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4초

n-butyl acrylate로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의 부분방전 특성 (Partial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butyl acrylate grafted Polyethylenes)

  • 이정원;서광석;곽희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89-492
    • /
    • 1997
  • Partial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ormal butyl acrylate grafted low density polyethylenes were investigated by an ultrasonic sensor made of ceramic piezoelectric material. It was found that the partial discharging activities in normal butyl acrylate grafted low density polyethylenes were considerably suppressed compared to those in plain low density polyethylene. It was found that acrylic acid grafted polyethylene was more effective than normal butyl acrylate grafted low density polyethylene.

  • PDF

Poly(n-butyl acrylate-co-methyl methacrylate) and Poly(n-butyl acrylate-co-styrene)/Silicate Nanocomposites Prepa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 Park, Yeong-Suk;Chung, In-Jae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1권6호
    • /
    • pp.425-430
    • /
    • 2003
  • Two types of poly(n-butyl acrylate) copolymer/silicate nanocomposites have been produced: poly(n-butyl acrylate-co-methyl methacrylate) [P(BA-co-MMA)]/silicate nanocomposites and poly(n-butyl acrylate-co-styrene) [P(BA-co-ST)]/silicate nanocomposites. The P(BA-co-MMA)/silicate nanocomposites shows the exfoliated structures but a P(BA-co-ST)/silicate nanocomposites have intercalated structures, because the BA/MMA comonomer has a higher polarity (e-value in Q-e scheme) than the BA/ST comonomer. The BA/MMA comonomer expanded the interlayer space of the silicate wider than did the BA/ST comonomer. The thermal degradation onset point of the P(BA-co-MMA)/silicate nanocomposites was 43$^{\circ}C$ higher than that of pure P(BA-co-MMA). P(BA-co-MMA)T5%, P(BA-co-MMA)T10%, and P(BA-co-MMA)T20% exhibit 134,302, and 195% increases, respectively, in their storage moduli at -20$^{\circ}C$ relative to the pure copolymer.

연속적 Seed 유화중합법에 의한 마이크론 크기의 Poly(n-Butyl Acrylate) 라텍스입자 제조 (Preparation of Micron Size Poly(n-Butyl Acrylate) Latex Particle by Sequential Seeded Emulsion Polymerization)

  • 김지훈;서숭혁;남완우;김경찬;강신원;하기룡
    • 공업화학
    • /
    • 제10권6호
    • /
    • pp.889-894
    • /
    • 1999
  • 유화중합법으로 마이크론 크기의 고분자 라텍스 입자 제조시, 라텍스 입자의 응집, 2세대 입자의 생성 등의 문제 때문에 원하는 형태, 크기, 구조를 지니는 입자를 제조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구조적, 기능적 고분자 미립자를 합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론 크기의 라텍스 입자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미립자 성분으로 n-butyl acrylate(BA)를 선정하고, 개시제의 농도, 유화제의 양, 반응 온도, 가교제의 양 및 교반기의 속도 등의 반응 변수 조건에 따른 seed 유화 중합을 실시하여 각 반응 변수들이 입자의 크기 및 분산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반응 변수의 최적 조건들을 규명하여 연속적 seed 유화중합법으로 $0.14{\sim}3.67{\mu}m$의 평균 입자경을 갖는 poly(n-butyl acrylate)(PBA) 라텍스 입자를 제조할 수 있었다.

  • PDF

Acrylic acid와 n-butyl acrylate로 grafts시킨 폴리에틸렌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of acrylic acid and n-butyl acrylate grafted PE)

  • 이창용;김억;서광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8-282
    • /
    • 1996
  • Electrical properties of acrylic acid and n-butyl acrylate grafted polyethylene were investicated. Charge accumulation characterist-ics of acrylic acid grafted PE are changed by graft ratio, but it remains not changed in n-butyl acrylate grafted PE. It was also observed that anti-treeing and AC breakdown strength of grafted PE were increased due to the graft ratio. The change of electrical properties of grafted PE were attributed to the polar group introduced by the graft reaction.

  • PDF

Polyethylene/Ethylene n-Butyl Acrylate Blends의 전하형성특성 (Charge Distributions in Polyethylene/Ethylene n-Butyl Acrylate Blends)

  • 김억;이창용;이미경;서광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3-147
    • /
    • 1995
  • The space charge formation in polyethylene (PE)/ethylene n-butyl acrylate (EnBA) blends were investigated. Heterocharge was found in PE and EnBA containing 5 mole% of nBA while homocharge was found in EnBAs containing 19 and 20% of nBA. All PE/EnBA blends except the one with the EnBA containing 5% nBA showed heterocharge formation. Heterocharge was also found in crosslinked PE/EnBA blends, which was attributed to the volatile residuals generated by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peroxide.

  • PDF

아미드 커플링을 통한 덴드리틱 Polystyrene-Block-Linear Poly(t-butyl acrylate) 공중합체의 합성 (Synthesis of Dendritic Polystyrene-block-Linear Poly(t-butyl acrylate) Copolymers by an Amide Coupling)

  • 송걸;조병기
    • 폴리머
    • /
    • 제33권2호
    • /
    • pp.158-16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잘 정의된 덴드리틱 폴리스티렌-블록-선형 폴리(3차 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음이온 중합법을 통해 합성된 폴리스티렌($M_n$=1000 g/mol)을 외곽부분으로 함유하는 덴드론의 수산기 그룹을 토실화(tosylation), 아지드화(azidation), 환원(reduction) 반응을 통해 아민기로 전환하였다. 한편, 선형 poly(t-butyl acrylate)는 DMF 용매에서 benzyl 2-bromopropanoate/Cu(I)Br, PMDETA/t-butylacrylate를 각각 개시제/촉매 시스템/단량체로 사용하여, 원자이동라디칼 중합법(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을 통해 합성할 수 있었고, 말단을 카르복시산 그룹으로 전환하기 위해 수소기체 환경하에서 Pd/C 을 사용하여 탈벤질화(debenzylation) 반응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합성된 덴드리틱 및 선형 블록들을 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pyridine, DMAP)과 다이아이소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N,N'-diisopropylcarbodiimide, DIPC)를 이용한 아미드 커플링 방법을 통해 최종 덴드리틱-선형의 블록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블록공중합체를 수소원자핵공명법 및 겔침투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통해 조사한 결과, 잘 정의된 분자량 및 낮은 분자량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비닐아세테이트/알킬아크릴레이트계 에멀젼 공중합과 등온 열분해 특성 (Characteristics of Isothermal Analysis and Emulsion Copolymerization of Vinyl Acetate/Alkyl Acrylate)

  • 조대훈;최성일;설수덕
    • 접착 및 계면
    • /
    • 제13권2호
    • /
    • pp.64-72
    • /
    • 2012
  • 비닐아세테이트와 알킬아크릴레이트계 에멀젼공중합에서 개시제인 ammonium persulfate (APS)의 농도, 보호 콜로이드인 poly(vinyl alcohol) (PVA)의 종류와 농도, 공단량체인 methyl acrylate (MA), ethyl acrylate (EA), n-butyl acrylate (BA)의 혼합비를 변화시켜 중합하였다. 제조된 poly(vinyl acetate-co-methyl acrylate) (PVAc/PMA), poly(vinyl acetate-co-ethyl acrylate) (PVAc/PEA), poly(vinyl acetate-co-n-butyl acrylate) (PVAc/PBA)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등온 열분해법으로 $100{\sim}200^{\circ}C$ 영역에서 구한 비닐아세테이트와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대한 등온 열분해 활성화에너지는 PVAc/PMA > PVAc/PEA > PVAc/PBA이었으며, 플라스마 처리 전과 후의 접착박리강도는 PVAc/PMA > PVAc/PEA > PVAc/PBA의 순이었다.

반응성 공중합체들을 이용한 습도센서의 감습 특성 (Humidity Sensitive Properties of Humidity Sensor Using Reactive Copolymers)

  • 김진석;배장순;공명선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6-131
    • /
    • 2001
  • 4 차 암모늄염을 형성할 수 있는 공중합체들 poly[(vinylbenzyl chloride)-co-(n-butyl acrylate)-co-(2-hydroxyethyl methacrylate)]와 poly[(4-vinylpyridine)-co-(n-butyl acrylate)-co-(2-hydroxyethyl methacrylate)]를 고분자막 습도센서의 감습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합성하였다. 습도센서는 30%RH, 60%RH 그리고 90%RH에서 평균 저항 값은 각각 8.6 M $\Omega$, 310 k$\Omega$ 그리고 12 k$\Omega$을 보여 주었다. 또한 히스테리시스는 $\pm$3%RH 안에서 나타났으며, 온도의존성 계수는 -0.37~-0.407RH/$^{\circ}C$이었다. 감습막의 조성에서 공중합체 중 n-BA와 HEMA의 도입은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나 기판과의 접착성은 크게 향상되었다. 33%RH에서 85%RH로 또는 역으로 변화할 때의 응답속도는 54초이며 수중에 2시간 침적 후 저항의 변화는 +0.2%RH 이내에서 존재하였다.

  • PDF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하이브리드 에멀젼의 합성 및 경화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ing Characteristics and the Synthesis of Polyurethane Acrylate Hybrid Emulsion)

  • 한상훈;박동원
    • 공업화학
    • /
    • 제17권2호
    • /
    • pp.132-137
    • /
    • 2006
  • Methyl methacrylate (MMA), 2-hydroxy ethylmethacrylate (2-HEMA), n-butyl acrylate (n-BA) acrylic acid (AAc)를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사용하고 친수성기인 카르복실 말단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을 시드로 하여 시드중합 방법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하이브리드 에멀젼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혼성 에멀젼의 입자경과 폴리우레탄 수분산체의 입자경과 단독 아크릴레이트 에멀젼의 입자경 그리고 수분산 폴리우레탄과 아크릴레이트 에멀젼을 기계적으로 브랜드한 혼합물의 입자경을 입도 분석기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 및 분포를 측정하였고 하이브리드한 에멀젼은 기계적으로 브랜드한 에멀젼보다 평균입자경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수분기 용매에 대한 팽윤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물리 화학적 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하이브리드 에멀젼에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경화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였다.

아크릴 고무의 합성과 물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ynthesis and Properties of Acrylic Rubber)

  • 조을룡;이기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4권3호
    • /
    • pp.308-314
    • /
    • 2009
  • n-Butyl acrylate, n-butyl methacrylate, acrylonitrile, glycidylmethacrylate, and allyl methacrylate를 사용하여 유화중합에 의해서 아크릴 고무를 합성하였다. 가교단량체의 첨가량을 일정하게 고정시킨 후 주단량체 중 acrylonitrile을 변량시켰을 때 중합체의 Tg가 acrylonitrile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면서 무니 점도, 경도(Shore A), 인장강도가 증가하였다. 신장률은 acrylonitrile의 증가에 따라 체인의 유동성이 감소하면서 감소하였다. 가교 단량체인 glycidylmethacrylate의 순수한 중합체의 Tg는 약 $56^{\circ}C$로 중합 시 첨가량이 증가하면 중합물의 Tg는 증가하고, 무니 점도, 경도, 인장강도도 증가하며 신장율은 감소하였다. 이는 rheometer의 측정 결과 glycidylmethacrylate의 증가에 의한 가교밀도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