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ctanol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4초

세프테졸 부티로락톤 에스텔의 합성 및 생물약제학적 특성 (Synthesis and Biopharmaceutical Properties of Ceftezole Butyrolactone Ester, a Novel Prodrug of Ceftezole)

  • 이진환;박재영;최준식;고재원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1권3호
    • /
    • pp.143-150
    • /
    • 2001
  • Butyrolactone ester of ceftezole (CFZ-BL) was synthesized by esterification of ceftezole (CFZ) with ${\alpha}-bromo-{\gamma}-butyrolactone$. The synthesis was confirmed by spectroscopic analysis. CFZ-BL was more lipophilic than CFZ when the lipophilicity was assessed by partition coefficients between n-octanol and water at various pH. CFZ-BL itself did not show any microbiological activity in vitro, but serums taken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CFZ-BL showed substaintial microbiological activity indicating that CFZ-BL is converted to microbiologically active metabolite, probably CFZ, in the body. The conversion was confirmed by in vitro incubation study, in which CFZ-BL was incubated in some body tissues of rabbit. Liver homogenate showed fastest conversion of CFZ-BL among the tissues tested (blood and intestine). Thus, CFZ-BL appeares to be rapidly metabolized in the liver to CFZ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The metabolism process appears to be hydrolysis of the ester to CFZ, the parent drug of CFZ-BL. In vivo metabolism of CFZ-BL to CFZ was confirmed by analying CFZ by HPLC. CFZ concentration in the serum samples taken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CFZ-BL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serum samples taken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equivalent amount of CFZ. Oral bioavailability of CFZ-BL, a prodrug of CFZ, was 1.45-fold higher than that of CFZ in rabbits possibly due to enhanced lipophility and absorption of the prodrug.

  • PDF

용액 처방으로부터 록소프로펜의 기니아픽 피부 투과 증진 (Enhanced Penetration of Loxoprofen across Excised Guinea Pig Skin from Solution Formulations)

  • 김태성;전인구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1권4호
    • /
    • pp.217-224
    • /
    • 2001
  • To develop a novel transdermal delivery system of loxoprofen (LP), a potent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gent, the effects of various vehicles and penetration enhancers on the skin permeation of LP from solution formulations were investigated. The permeation rate of LP through excised guinea pig skin was measured using a side-by-side permeation system at $32^{\circ}C$. The solubilities of LP in various vehicles were determined by the equilibrium solubility method, and partition coefficients $(P_c)$ were determined. The solubility of LP increased in the rank order of water & isopropyl myristate (IPM) & glyceryl dicaprylate/dicaprate & propylene glycol dicaprylate/caprate & propylene glycol laurate (PGL) & polyethylene glycol 400 &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DGME) & ethanol. n-Octanol-water $P_c$ value was 15.5. Among pure vehicles tested, IPM and PGL showed highest fluxes of $89.9{\pm}5.0$ and $45.4{\pm}0.3\;{\mu}g/cm^2/hr$ from saturated solutions, respectively.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demonstrat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solubility of LP and its permeation rate, indicating the change in the barrier property of the skin and/or carrier mechanisms by vehicles tested. The addition of DGME to IPM or PGL markedly increased the solubility of LP, but the permeation rate did not decrease when the concentration of DGME in the cosolvent was increased upto 40%. The addition of linoleic acid (3%) in the cosolvent slightly increased the permeation rate, but others such as lauroyl sarcosine, fatty alcohols and fatty acids tested did not show enhancing effect. In conclusion, the DGME-IPM or DGME-PGL cosolvent system proved to be a good vehicle to enhance the skin permeation of LP.

  • PDF

Characteriz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erulic Acid

  • Sohn, Young-Taek;Oh, Jin-He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12호
    • /
    • pp.1002-1008
    • /
    • 2003
  • Ferulic acid (3-methoxy, 4-hydroxy cinnamic acid) is a flavoid component possessing antioxidant property. The compound i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as a new drug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the dementia. The objective of this preformulation study was to determin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erulic acid. The n-octanol to water partition coefficients of ferulic acid were 0.375 and 0.489 at the pHs of 3 and 10, respectively. Accelerated stability study for ferulic acid indicated that the t 90 value for the drug was estimated to be 459 days at $25^{\circ}C$. Ferulic acid was also found to be unstable under the relative humidity of more than 76%, probably because of the hygroscopic nature of the drug. In order to study compatibility of ferulic acid with typical excipients, potential change in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spectrum was studied in 1: 1 binary mixtures of ferulic acid and typical pharmaceutical excipients (e.g., Aerosil, Avicel, CMC, Eudragit, lactose, PEG, PVP, starch and talc). Avicel, CMC, PVP and starch were found to be incompatible with ferulic acid, indicating the addition of these excipients may complicate the manufacturing of the formulation for the drug.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ferulic acid powder was in the size range of 10-190 $\mu$m with the mean particle size of 61 $\mu$m. The flowability of ferulic acid was apparently inadequate, indicating the granulation may be necessary for the processing of the drug to solid dosage forms. Two polymorphic forms were obtained by recrystallization from various solvents used in formulation. New polymorphic form of ferulic acid, Form II, was obtained by recrystallization from 1,4-dioxane. The equilibrium solubility for Form I was approximately twice of that for Form II. The dissolution rate of Form II was higher than that of Form I in the early phase (<6 min). Therefore, these physicochemical information has to be taken in the consideration for the formulation of ferulic acid.

저농도의 HPC 영역에서 에멀젼법에 의해 제조된 구형 알루미나 분말의 입자 크기 변화 (Change of Particle Size of Spherical Alumina Powders Prepared by Emulsion Method in the Region of Low Hydroxypropylcellulose Concentration)

  • 안치원;박건식;유한수;조건;이영우;양명승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94-600
    • /
    • 1995
  • Spherical alumina gel powders were produced by hydrolysis of aluminum sec-butoxide (Al(sec-OC4H9)3) in a n-octanol/acetonitrile mixed solvent. The enlargement of particle size was induced by increasing HPC (hydroypropylcellulose) concentration (0.005, 0.1, and 0.05 g/ι) and emulsion-state aging time (10 min and 360 min). Mean particle sizes of dried alumina gel powders increased from 1.4 ${\mu}{\textrm}{m}$ to 3.5${\mu}{\textrm}{m}$ at 10-min emulsion-state aging time and from 1.9${\mu}{\textrm}{m}$ to 4.1${\mu}{\textrm}{m}$ at 360-min emulsion-state aging time as HPC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0.005 g/ι to 0.05 g/ι. At the same HPC concentration, particle size of dried alumina gel powder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emulsion-state aging time from 10 min to 360 min. The increase i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dried alumina gel powder with increase in HPC concentration was interpreted as the enlargement of particles from alkoxide emulsions unprotected by HPC. The produced dried gel powder calcined at 115$0^{\circ}C$ for one hour transformed to $\alpha$-alumina.

  • PDF

Noncondensable gas's influence in waster vapor absorption accompanying interfacial disturbance into aqueous solution of LiBr

  • Dong-Ho RIE;Keun-Oh Lee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3-70
    • /
    • 1992
  • 흡수식 열펌프에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냉매/흡수용액은 $H_2O$ / LiBr 계이다 그러나, LiBr 수용액의 점성계수는 LiBr의 농도가 커짐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 LiBr수용액의 농용액 영역에서 물질확산계수가 감소한다. 이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흡수용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시키므로서 흡수를 촉진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계면활성제의 첨가에 의한 흡수용액의 열 및 물질이동 촉진에 관한 연구는 계면활성제 첨가농도에 의해 흡수용액의 표면상에서 게면활성제가 액적으로 존재하는 계면활성제 포화용해도 이상의 조건에서 발생하는 마랑고니대류가 효과적이다. 이 흡수촉진효과는 냉매증기의 흡수시 흡수용액표면상의 분포한 계면활성제와 흡수용액사이의 표면장력차에 기인하는 계면교한 현상에 기인한다. 그러나, 이흡수촉지효과는 냉매증기의 흡수가 일어나는 흡수기 내부의 不안정상태, 즉, 불응축성가스(공기)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이루어지며, 불응축성가스가 흡수촉진저하(열 및 물질이동의 저하)에 기인하는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이러한 불응축성가스가 흡수기 내부에 존재할 때 계면교한의 거동 및 열 및 물질이동저하현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농도변화(포화용해도 이상 및 이하의 두 조건)에 따른 증기흡수 실험 및 계면교한가시화 실험을 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본실험을 통하여 불응축성가스가 수증기흡수에 끼치는 영향을 파악(계면교란의 악화) 첨가시의 흡수량과 不安定상태(불응축성가스가 존재시)의 증기흡수량의 비교에 의해 급격한 증기흡수저하가 不安定상태하에서 발생함으로서 불응축성가스가 흡수촉진효과(계면교한현상)을 저해시키는 결론을 얻었다.es and facts obtained by the expenence in this area, respectively. Both depth-first search and backward chaining schemes are used in reasoning process. This expert system is written in an artificial intelligence language "PROLOG", and its availability is demonstrated through the case study.e함량은 감소되었으며 sulfhydryl기가 증가됨에 따라서 disulfide groups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ascorbic acid는 열처리 온도뿐만 아니라 시간과도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저온 살균유와 초고온 살균유 사이에서는 지표물질들의 함량이 다소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담시간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았으며, 고유한 언어를 통역하는 과정에서 의미론적 문제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면접과 기록과정에서 보면 자료의 기록과정과 분류 및 분석과정이 명시되어 있지 않았다. 참여관찰과 면접방법을 사용시 이에 대한 자세한 기술이 되어 있지 않았다. 5. 연구결과의 적용 및 이에 대한 논의는 상당히 제한되어 있었는데, 수편의 연구만이 방법론 문제점과 앞으로의 연구분야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였으며, 특이한 것은 어 떤 연구자도 이른 개발을 위한 적용 및 임상실무적 차원에서 간호에 대한 제언을 하지 않았다.유모델변수들은 유입-유출 자료들로부터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Gauss-Newton 방법을 이용한 Bard

  • PDF

보조계면활성제가 노닐페놀 에톡실레이트 계면활성제, 탄화수소 오일, 물로 이루어진 삼성분계의 상평형 및 동적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surfactant on Phase Equilibrium and Dynamic Behavior in Ternary Systems Containing Nonylphenol Ethoxylate Surfactant, Water and Hydrocarbon Oil)

  • 임흥균;이슬;모다희;임종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6호
    • /
    • pp.969-97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보조계면활성제 첨가가 nonylphenol ethoxylate (NP) 계면활성제, 물, 탄화수소 오일의 3성분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평형 및 동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에서 사용한 펜탄올, 옥탄올, 데칸올 등의 보조계면활성제는 모두 소수성 첨가제로 작용하였으며, 소수성 증가 효과는 알코올의 사슬 길이 증가 및 첨가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계면활성제 시스템이 친수적인 조건에서는 비극성 오일의 종류에 상관없이 시간에 따라 오일의 크기가 감소하였으며, 마이셀 용액에 의한 탄화수소 오일의 가용화는 diffusion-controlled 메커니즘이 아닌, interface-controlled 메커니즘을 따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소수성 조건에서는 과포화로 인하여 일어나는 자발적 유화 현상과 물과 계면활성제의 오일상으로의 확산으로 인한 오일의 크기 증가가 관찰되었다. 비극성 탄화수소 오일과 계면활성제 수용액 사이의 시간에 따른 계면장력 측정 결과는 동적 거동 실험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middle-phase 마이크로에멀젼을 포함한 3상이 형성되는 조건에서는 매우 낮은 계면장력으로 인하여 오일이 수용액 상에 빠른 속도로 가용화되었고 작은 방울 형태로 유화되었다.

숙신산 추출반응이 일어나는 단일 액적계에서의 비정상상태 물질 전달 (Unsteady Mass Transfer Around Single Droplet Accompanied by Interfacial Extraction Reaction of Succinic Acid)

  • 전상준;홍원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6호
    • /
    • pp.1021-1026
    • /
    • 2012
  • 단일 액적 시스템에서의 비정상상태 물질 전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단일 액적계를 위한 이성분계로는 옥탄올(연속상)-물(분산상) 시스템이 이용되었으며 동반되는 불균일 반응으로는 아민추출제(tri-n-octylamine,TOA)를 이용한 숙신산 추출 반응을 모델 시스템으로 선정하였다. 점도, 밀도, 용질의 분배계수, 연속상에서 하강하는 액적의 종말 속도, 용질과 추출제의 확산계수 등과 같은 시스템의 기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과 이론적 계산들이 수행되었다. 액적의 종말 속도는 숙신산 농도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이나 TOA가 없을 때는 숙신산 농도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TOA 농도 증가와 함께 감소하였다. 액적의 낙하는 수직 낙하 경로를 기준으로 좌우로 진동하면서 움직이는 경향을 보였다. 낙하하는 액적에서의 물질 전달 관찰을 위해 물질 전달 셀을 제작하여 시간에 따른 액적 내의 평균 농도 변화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무차원 변수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50 g/L의 숙신산 농도 조건하에서 TOA 농도를 0.1과 0.5 mol/kg 으로 조절하였을 때, 전자의 경우에는 관찰 시간 범위 내에서 일정한 Sh 값을 유지하여 용질의 이동 방향으로의 농도 기울기가 감소함에 따라 훌럭스도 그에 비례하여 감소함을 알 수 있었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Sh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여 계면에서의 숙신산 훌럭스 감소에 비해 농도기울기 감소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일어남을 알 수 있다.

한우암소고기의 연령이 등심 및 우둔부위 일반성분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e on Chemical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for Loin and Top Round of Hanwoo Cow Beef)

  • 조수현;성필남;강근호;최순호;장선식;강선문;박경미;김영춘;홍성구;박범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10-81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한우 암소(2-15세) 총 126두를 연령그룹별(그룹 1, 5세 이하; 그룹 2, 6-8세; 그룹 3, 9세 이상)로 구분하여 등심(loin) 또는 우둔(top round) 부위의 이화학적 육질특성을 조사하여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등심과 우둔 모두 연령그룹 1이 연령그룹 2 또는 3 보다 근내지방 함량이 높았고(p<0.05) 단백질함량은 등심에서는 연령그룹 1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우둔부위에서는 연령그룹간에 차이가 없었다. 콜라겐 함량은 등심은 연령그룹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우둔은 연령그룹 3이 다른 연령그룹들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육색은 등심의 경우 연령그룹 1이 연령그룹 3 보다 $L^*$값(백색도)과 $a^*$값(적색도)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우둔은 $a^*$값만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또한 연령 그룹 1의 등심이 연령그룹 3보다 가열감량(%)이 낮고 보수력은 높았다(p<0.05). 전단력은 등심과 우둔 모두 연령그룹 3이 연령그룹 1과 2보다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총포화지방산(SFA) 함량은 등심은 연령그룹 3이 그룹 1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았고 우둔은 연령그룹 1이 총단일불포화지방산(MUFA) 함량이 연령그룹 3보다 높았고(p<0.05), 다가불포화 지방산(PUFA) 함량은 낮았다(p<0.05). 유리아미노산 함량 비교에서 연령그룹에 관계없이 alanine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glutamine, glycine, isoleucine, proline 등이었다. 한편, threon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phenylalanine, leucine 및 lysine 함량은 연령그룹 1이 가장 높았다(p<0.05). 향기성분은 3-methylbutanal, furfural, octanal, 케톤류의 1-(acetyloxy)-2-propanone, 알코올류의 1-octanol, 피라진류의 2,5-dimethylpyrazine, 2-ethyl-2,5-dimethylpyrazine 성분함량이 연령층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결론적으로 한우암소고기는 연령대에 따라 고기내 성분조성 및 육질에 차이가 있었으므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부위 또는 요리방법에 적합한 활용 또는 가공방법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생송이 버섯과 냉동송이 버섯의 품질 및 향기 성분 특성 (Characteristics of Quality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Raw and Frozen Pine-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 구경형;조명희;박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25-630
    • /
    • 2002
  • 등급별 송이 버섯과 $-20^{\circ}C$$-70^{\circ}C$에서 급속냉동한 후 저장한 송이버섯의 일반성분과 AromaScan 및 GC/MSD에 의한 향기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냉동하지 않은 송이 버섯은 수분 함량 $89.48{\sim}90.77%$, 회분은 건물량으로 환산하여 등외품인 D시료를 제외하고 6.81%, 단백질 $16.19{\sim}20.01%$, 지방 $2.24{\sim}2.52%$로 등급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20^{\circ}C$$-70^{\circ}C$에서 6개월 저장한 냉동송이 버섯도 냉동하지 않은 송이 버섯과 각 성분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었다. 전자코에 의한 향 패턴 분석과 다차원 판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송이 버섯은 등급별 차이가 거의 없게 나타났으나, 냉동 저장한 등급별 송이 버섯의 경우 분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 등급별 송이 버섯 및 냉동 송이 버섯을 GC/MSD에 의한 향기 성분 분석 및 동정한 결과 50여개의 peak가 검출되었으며, 이중에서 29개의 성분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휘발성 향기 성분중 1-octen-3-ol, 2-octen-1-ol, 3-methy-butanal이 공통적인 성분이었고, 등급이 낮아질수록 1-octen-3-ol 함량이 감소하였다. 각 등급별 생송이 버섯 및 냉동 송이의 이취, 향미 등의 관능검사 결과 생송이 버섯은 등급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냉동 송이는 A(1등급), B(2등급), C(3등급) 시료에 비하여 D(등외품)시료를 낮게 평가하였다.

HPLC-PDA를 이용한 국내 유통 농산물 중 ametoctradin 잔류량 분석법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nalytical Method for Ametoctradin Residue Determination in Domestic Agricultural Commodities by HPLC-PDA)

  • 도정아;권지은;이은미;김미라;국주희;조윤제;강일현;김형수;권기성;오재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85-292
    • /
    • 2013
  • Ametoctradin은 triazolopyrimidine계에 속하는 살균제로 역병탄저병을 예방하는 약제이다. 증기압은 $2.1{\times}10^{-10}$ Pa ($20^{\circ}C$)으로 매우 낮아 분석을 위한 기기로 LC를 선택하였으며, HPLC-PDA기기를 사용하여 210 nm에서 400 nm까지 스캔한 결과, 최대흡광파장을 292 nm으로 확인하고 이를 분석파장으로 선택하였다. 추출용매는 물질의 용해도를 고려하여 methanol로 선정하였으며, 액-액 분배 및 정제과정에서는 약제의 n-octanol/water 분배계수($logP_{ow}$, $25^{\circ}C$)가 4.40 (pH 7, $20^{\circ}C$)의 비극성의 물리화학적 특징을 가짐을 고려하여 액-액 분배 단계에서는 dichloromethane, 정제 단계에서는 acetone/hexane (30/70, v/v)을 분석을 위한 용매로 사용하였다. 특히, 컬럼 충진제로 유지, 색소의 비용출성이 우수하고 극성의 물질을 넓은 범위에서 흡착하는 특성을 가지는 florisil을 선택하여 약제에 대한 선택성을 높일 수 있었다. 본 분석법은 회수율 측정(71.9-112.6%)을 통해 코덱스 가이드라인(CAC/GL 40)인 회수율 70-120%, 분석오차 10 미만에 적합함을 보여주어 분석법의 정확성을 확인하였으며, LC-MS를 통한 재확인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시험법의 신뢰성과 선택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재현성을 위해 실험실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RSDR(%)는 >0.01 mg/kg, ${\leq}0.1\;mg/kg$범위에서 3.02-14.63%, >0.1 mg/kg범위에서 1.27-7.67%로 코덱스 가이드라인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험법은 농산물에 잔류하는 ametoctradin을 분석하기 위한 공정 시험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