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3

검색결과 46,938건 처리시간 0.069초

거대고리 아자크라운화합물과 전이금속 및 란탄족금속이온의 착물의 안정도 (The Stability Constant of Transition and Lanthanide Metal Ions Complexes with 15 Membered Macrocyclic Azacrown Ligands)

  • 홍춘표;최용규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77-582
    • /
    • 2004
  • 새로운 아자크라운 화합물인, 1,4-dioxa-7,10,13-triazacyclopentadecane-N,N',N''-triacetic acid, $N-ac_3[15]aneN_3O_2(II_a)$과 1,4-dioxa-7,10,13-triazacyclopentadecane-N,N',N''-tripropioc acid, $N-pr_3$[15]ane$N_3O_2(II_b)$는 이와 유사한 화합물의 합성방법을 수정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이 아자크라운 화합물, $N-ac_3[15]aneN_3O_2와\;N-pr_3[15]aneN_3O_2$의 양성자화 상수값은 전위차법을 이용하여 PKAS 프로그램으로부터 측정되어졌다. 그리고 0.1 M $NaClO_4$수용액으로 이온강도를 조절하고, $25{\pm}0.1^{\circ}C$에서 란탄족금속인, $Ce^{3+},\;Eu^{3+},\;Gd^{3+}$$Yb^{3+}$과 리간드인 $N-ac_3[15]$ane$N_3O_2$$N-pr_3[15]aneN_3O_2$의 착물의 안정도상수를 전위차법을 이용하여 BEST 프로그램으로부터 구하였고, 또한 위와 같은 조건에서 전이금속인 $Co^{2+}$, $Ni^{2+}$, $Cu^{2+}$$Zn^{2+}$와 리간드인, $N-ac_3[15]aneN_3O_2$$N-pr_3[15]aneN_3O_2$의 착물의 안정도상수 값도 전위차법을 이용하여 BEST 프로그램으로부터 측정하였다. 합성된 아자크라운 화합물과 골격구조가 유사하고 아세트산과 프로피온산기를 포함하는, 1,7-dioxa-4,10,13-triazacyclopentadecane-N,N',N''-triacetic acid과 1,7-dioxa-4,10,13-triazacyclopentadecane-N,N',N''-tripropioc acid의 착물의 안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결합제로서 가능성 있는 새로운 작용기를 갖는 Aminosilane 제조에 관한 연구(I)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new Functionalized Aminosilanes as a Promising Coupling Agent(I))

  • 한정식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47-53
    • /
    • 1998
  • Michael Reaction을 이용하여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APS(3-aminopropyltrime thoxysilane)과 AEAPS(N-[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을 다수의 Michael acceptor(ethyl acrylate, acrylonitrile, acrylamide, 2-cyanoethyl 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 그리고 3-(trimethoxysilyl) propylmethacrylate)와 반응시켜 10 종류의 aminosilane[3-(N-2-carboethoxyethyl)aminopropyl]triethoxysilane, [3-(N-2-cyanoethyl)aminopropyl]triethoxysilane, [3-(N-di-2-carboethoxyethyl)aminop-ropyl]triethoxysilane, [3-(N-2-cyanoethyl)aminopropyl]triethoxysilane, [3-(N-2-cyanoethoxypropionyl)aminopropyl]triethoxysilane, [3-(N-di-2-cyanoethoxypropi-onyl) aminopropyl] triethoxysilane, [3-(N-di-2-hydroxyethoxypropionyl)aminoprop-yl]-triethoxysilane, [3-(N-2-amidoethyl)aminopropyl]triethoxysilane, {3-[N-(N-di-2-cyanoethyl)ethyl] aminopropyl}triethoxysilane, {3-[N-(3-trimethoxy-silylpropyl)-2-methylpropionyl]aminopropyl}triethoxysilane 등을 35-70% 수율로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구조는 $^1{H}$-NMR과 FT-IR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 PDF

인공 사육 동물 모델 시스템을 이용한 n-3 지방산 결핍이 쥐의 뇌, 망막, 간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3 Fatty Acid Deficiency on Fatty Acid Composition in Brain, Retina and Liver Using a Novel Artificial Rearing System)

  • 임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66-47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인공 사육 모델 시스템과 인공 쥐용 분유를 이용하여 출생 직후 12시간 이내에 엄마 쥐들로부터 신생 쥐를 분리하여 n-3 지방산 결핍분유와 n-3 지방산 적절분유로 3주 동안 사육한 후(이유기) 각각 장기들을 취하고 또한 성숙 쥐(15 wks)의 뇌, 망막, 간을 취하여 뇌 성장 발달 과정 동안 n-3지방산 결핍이 이들 장기들의 지방산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유기와 성숙기 쥐의 뇌 지방산 조성은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n-3지방산 결핍군의 경우 n-6지방산의 함량은 높았으나 (p<0.05),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과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낮았고(p<0.05), 총 saturated 지방산의 경우는 변화가 없었다. 기대했듯이 뇌 DHA의 경우 n-3 지방산 결핍군은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이유기 때 $50\%$, 성숙기에는 $70\%$까지 감소하였고 반면 n-6 계열인 DPAn-6의 함량은 상당히 증가하였음을 살펴볼 수가 있었다. 이유기의 망막의 총 saturated 지방산과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에는 식이군 사이에 변화가 없었고 22:4n-6, DPAn-6와 총 n-6 지방산의 함량은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p<0.05), 22:5n-3, DHA와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상당히 감소하였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p<0.05). 성숙 쥐 망막의 지방산조성의 경우 20:4n-6, 22:4n-6, 22:5n-6와 총 n-6 지방산의 함량은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p<0.05), 22:5n-3, DHA와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상당히 감소하였다(p<0.05). 특히 n-3 결핍군의 망막 DHA는 이유기 때 $57\%$ 감소에서 성숙기에 $63\%$까지 감소하였다. (p<0.05). 간의 경우, 이유기의 n-3 지방산 결핍군의 DHA는 $65\%$ 감소한 반면 간의 DPAn-6는 $59\%$ 증가하였다. 흥미로운 것은 이유기의 간 지방산 조성과는 대조적으로 성숙기의 n-3 지방산 결핍군의 18:2n-6, 20:3n-6, 20:4n-6와 22:4n-6 지방산 함량이 현저히 감소된 것과는 달리 DPAn-6의 함량이 n-3 지방산 적절군보다 $143\%$까지 증가되었음 관찰할 수 가 있었다(p<0.05). 이상의 장기들의 n-3지방산 결핍군은 이유기와 성숙기에서 DPAn-6/DHA비와 n-6/n-3비 또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컸으나(p<0.05) DPAn-6와 DHA의 합에는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뇌 성숙 발달 과정동안 n-3 지방산 결핍은 뇌의 DHA의 결핍을 초래하고 이러한 비정상적인 조건에서 DPAn-6의 증가를 유발하였으며 이러한 지방산 조성의 변화와 공간과 후각에 기초를 하는 기억 학습 능력 저하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ON A THREE-DIMENSIONAL SYSTEM OF DIFFERENCE EQUATIONS WITH VARIABLE COEFFICIENTS

  • KARA, MERVE;YAZLIK, YASIN;TOUAFEK, NOURESSADAT;AKROUR, YOUSSOUF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9권3_4호
    • /
    • pp.381-403
    • /
    • 2021
  • Consider the three-dimensional system of difference equations $x_{n+1}=\frac{{\prod_{j=0}^{k}}z_n-3j}{{\prod_{j=1}^{k}}x_n-(3j-1)\;\(a_n+b_n{\prod_{j=0}^{k}}z_n-3j\)}$, $y_{n+1}=\frac{{\prod_{j=0}^{k}}x_n-3j}{{\prod_{j=1}^{k}}y_n-(3j-1)\;\(c_n+d_n{\prod_{j=0}^{k}}x_n-3j\)}$, $z_{n+1}=\frac{{\prod_{j=0}^{k}}y_n-3j}{{\prod_{j=1}^{k}}z_n-(3j-1)\;\(e_n+f_n{\prod_{j=0}^{k}}y_n-3j\)}$, n ∈ ℕ0, where k ∈ ℕ0, the sequences $(a_n)_{n{\in}{\mathbb{N}}_0$, $(b_n)_{n{\in}{\mathbb{N}}_0$, $(c_n)_{n{\in}{\mathbb{N}}_0$, $(d_n)_{n{\in}{\mathbb{N}}_0$, $(e_n)_{n{\in}{\mathbb{N}}_0$, $(f_n)_{n{\in}{\mathbb{N}}_0$ and the initial values x-3k, x-3k+1, …, x0, y-3k, y-3k+1, …, y0, z-3k, z-3k+1, …, z0 are real numbers. In this work, we give explicit formulas for the well defined solutions of the above system. Also, the forbidden set of solution of the system is found. For the constant case, a result on the existence of periodic solutions is provided and the asymptotic behavior of the solutions is investigated in detail.

Effect of Different Dietary n-6 to n-3 Fatty Acid Ratios on the Performance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Muscles of Broiler Chickens

  • Mandal, G.P.;Ghosh, T.K.;Patra, A.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1호
    • /
    • pp.1608-1614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dietary ratios of n-6 to n-3 (n-6/n-3) fatty acid (FA) on performance and n-6/n-3 FA in muscles of broiler chickens. A total of 300 one-day-old Cobb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3 treatments of 10 replicates in each (10 birds/replicate). Birds were fed on a corn-soybean meal-based diet containing 1% oil during starter (day 1 to 21) and 2% oil during finisher (day 22 to 39) phases, respectively. Treatments of high, medium and low dietary n-6/n-3 FA were formulated by replacing rice bran oil with linseed oil to achieve n-6/n-3 FA close to >20:1, 10:1 and 5:1, respectively. Average daily gain, average daily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were similar (p>0.05) among the treatments. Serum glucose,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concentrations were not affected (p>0.05) by dietary treatments. In breast, concentration of C18:3n-3 was significantly greater (p = 0.001) for medium and low vs high n-6/n-3 FA, while concentrations of C20:5n-3, C22:6n-3, total n-3 FA, and n-6/n-3 FA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low vs medium, and medium vs high dietary n-6/n-3 FA. In contrast, concentrations of C18:2 and mono-unsaturated FA (MUFA) were lower for low vs high dietary n-6/n-3 FA. In thigh muscles, concentrations of C20:5n-3 were higher (p<0.05) for medium and low vs high dietary n-6/n-3 FA, and concentrations of C18:3n-3, C22:6, and n-3 FA were greater (p<0.05) for medium vs high, low vs medium dietary n-6/n-3 FA. However, concentrations of C18:1, MUFA, n-6/n-3 were lower (p<0.05) for low and medium vs high dietary n-6/n-3 FA. In conclusion, lowering the dietary n-6/n-3 FA did not affect the performance of chickens, but enhanced beneficial long-chain n-3 FA and decreased n-6/n-3 FA in chicken breast and thigh, which could be advantageous for obtaining healthy chicken products.

N,N,N',N'-Tetrahalobenzene-1,3-disulfonamide/PPh3 as an Efficient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Alkyl Halides

  • Ghorbani-Vaghei, Ramin;Shiri, Lotfi;Ghorbani-Choghamarani, Arash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3호
    • /
    • pp.820-822
    • /
    • 2013
  • N,N,N',N'-Tetrabromobenzene-1,3-disulfonamide (TBBDA)/$PPh_3$ and N,N,N',N'-tetrachlorobenzene-1,3-disulfonamide (TCBDA)/$PPh_3$ are two highly reactive reagent systems for the conversion of alcohols corresponding into alkyl chlorides and bromides in moderate to excellent yields in dichloromethane at room temperature under mild and neutral conditions.

고당질 식이시 n6 와 n3 불포화 지방산이 쥐의 혈장지질 저하기전에 미치는 영향 (Plasma Lipid-Lowering Effect of n6 and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Rats Fed High Carbohydrate Diet)

  • 남정혜;박현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5호
    • /
    • pp.420-430
    • /
    • 1991
  • To compare the hypolipidemic effects of n6 linoleic acid. n3 $\alpha$-linolenic acid and n3 eicosapentaenoic acid in rats fed high carbohydrate(70% Cal) diet. 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fed different experimental diets for 6 weeks. which were different only in fatty acid composition. The dietary fats were beer tallow(BT) as a source of saturated fatty acid (SFA), corn oil(CO) for n6 linoleic acid(LA), perilla oil(PO) for n3 $\alpha$-linolenic acid(LL) and fish oil(FO) for n3 eicosapentaenoic acid(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Plasma total cholesterol(Chol) level was increased by n6 LA but decreased by n3 LL and n3 EPA and most effectively reduced by n3 EPA. HDL-Chol level was raised by n6 LA,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HDL-Chol levels by n3 LL and was lowered by n3 EPA. Plasma TG level was reduced by n6 LA, but lipogenesis in liver was not affected by n6 LA. However, plasma TG level was lowered by n3 LL and EPA. Both lipogenic enzyme activity and liver TC level were also decreased by n3 PUFA. The relative proportions of TG in VLDL was significantly lowered by n3 EPA. but the proportions of Apo B in VLDL was not changed by n3 EPA. Overall. the hypolipidemic effect was in the order of EPA+ DHA(n3) >LL(n3) >LA(n6) and fish oil and perilla oil rich in n3 PUFA may have important nutritional application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ypertriglyceridemia.

  • PDF

n-6/n-3 지방산 비율이 고지혈증 랫드의 지질대사 분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6/n-3 fatty acid ratio on metabolic partitioning in hyperlipidemic rats)

  • 이승형;엄경환;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643-653
    • /
    • 2018
  • 본 연구는 고지혈증 모델동물 랫드에서 n-6/n-3가 서로 다른 식이를 급여하였을 때 혈액지질의 대사적 분할에 미치는 작용 메카니즘을 생체 모니터링 기법으로 구명하였다. 총 glycerolipids의 간에서 대사된 cholesteryl $^{14}C$-oleate 비율은 n-6/n-3 비율 4:1, 15:1, 30:1, 대조군 순서로 낮았다(p<0.05). 인지질 분비량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n-6/n-3 비율 4:1, 15:1, 30:1 순서로 높았다(p<0.05). 중성지방 분비량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n-6/n-3 비율 4:1, 15:1, 30:1 순서로 특히, 4:1 처리군에서 낮았다(p<0.05). 총 glycerolipid에 대한 인지질의 분할 비율은 n-6/n-3 비율 4:1, 15:1, 30:1, 대조군 순서로 높았다(p<0.05). 간으로부터 중성지방 분할 비율(%)은 대조군 82.25%와 비교할 때 n-6/n-3 비율 4:1, 15:1, 30:1에서 각각 72.99, 75.93, 78.12%로써 n-6/n-3 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p<0.05). 인지질 분할 비율(%)은 대조군 11.04%와 비교할 때 n-6/n-3 비율 4:1, 15:1, 30:1에서 각 25.15, 18.87, 18.15%로써 n-6/n-3 비율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p<0.05).

식이지방 수준에 따라 n6 와 n3 계 불포화지방산이 혈장 지질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Differential Effect of n6 and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Plasma Lipids in Rats Fed Low and High Fat Diets)

  • 남정혜;박현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4호
    • /
    • pp.314-325
    • /
    • 1991
  • 식이지방의 수준에 따라 n6 와 n3 불포화지방산이 혈장 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과 또 그 기전이 다른지를 연구하고자 Sprague Dawley 종 수컷쥐에게 저지방(LF, 10% Cal)식이와 고지방식이(HF, 40% Cal)를 각각 6주동안 투여하였으며, 사용된 기름은 포화지방산 급원으로는 쇠기름, n6 linoleic acid(LA) 급원으로 corn oil, n3 ${\alpha}-linolenic$ acid(LL) 급원으로 perilla oil, n3 eicosapentaenoic acid(EPA)와 docosahexaenoic acid(DHA) 급원으로 fish oil이었다. Ultracentrifugation 방법으로 VLDL fraction을 분리하여 thin layer chromatography에 의해서 화학적조성을 구하였다. Plasma cholestere 수준은 LF 와 HF 모두 n6 LA에 의해서는 오히려 증가되었고 n3 LL과 n3 EPA에 의해서는 감소되었으며, HF 에서 n3 EPA가 가장 cholesterol 저하효과가 있었다. HDL-Chol 농도는 n6 LA에 의해서 증가되었으나, HF 경우 n3 EPA에 의해서 유의성있게 감소되었다. Plasma TG 농도는 n3 EPA에 의해서 가장 감소되었고 간의 lipogenic enzyme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VLDL fraction의 TG상대적양(%)이 유의성 있게 낮아졌다. 이때 LF 군에서는VLDL fraction의 apo-B의 상대적양(%)이 감소되지 않았으나 HF군에서 n3 EPA에 의해서 유의성 있게 낮았다. 그러므로 n3 EPA의 hvpotriglyceridemic effect는 간에서 lipogenesis를 억제하여 plasma VLDL로 TG 분비가 억제되었을 것이며, HF일 경우는 간에서 apo-B 생성도 억제되었다. 관상동맥성심장질환의 예방적 차원에서 평상시에도 쇠기름과 corn oil 보다는 n3 PUFA가 풍부한 들기름이나 생선을 더욱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식용 해조류의 품질구성요인과 그 기능성 성분 I. 서식지에 따른 10종 해조류의 n-3 지방산의 분포 (Quality Factors and Functional Components in the Edible Seaweeds I. Distribution of n-3 Fatty Acids in 10 Species of Seaweeds by Their Habitats)

  • 정보영;조득문;문수경;변재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21-628
    • /
    • 1993
  • 10종 해조류(녹조류 2종, 갈조류 5종, 홍조류 3종)의 n-3 지방산 조성을 우리 나라 남해안의 주요 서식지에 따라 비교하였다. 총지질(TL)은 녹조류 중에서는 파래(약 7~10%), 갈조류 중에서는 미역과 톳(약 3~5%), 그리고 홍조류 중에서는 김(약 5~6%)에서 각각 많았다. 미역과 톳의 TL함량은 충무에서 채취한 것이 기장 및 여수에서 채취된 것들보다 많은 경향이 있었으나, 파래의 경우에는 기장 및 연수에서 채취된 것에서 더 많았다. 녹조류는 16 : 4(n-3), 18 : 4(n-3) 및 18 : 3(n-3)과 같은 비교적 탄소수가 적은 n-3지방산(28.0~66.3%)이 풍부하였다. 갈조류는 녹조류에 비하여 적은 양의 n-3 지방산(17.9~36.5%)을 함유하였으나, n-6 지방산을 상당량 함유하였다. 홍조류의 n-3 지방산은 대부분 20 : 5(n-3) 지방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낙동에서 채취된 것이 53%의 20 : 5(n-3) 를 함유하였다. 이들 n-3 지방산의 함량은, 동일종에 속하는 해조의 경우, TL함량이 높은 종류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시험된 해조류는 TL함량과 n-3 지방산의 함량이 서식지에 따라 다른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