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ungran-jeo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저염 명란젓의 Shelf-Life 연장 방안 2. 보존제 첨가에 의한 연장 효과 (The Shelf-Life Extension of Low-Salted Myungran-jeot. 2. The Effects of Commercial Preservatives on the Shel-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 김상무;이근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56-461
    • /
    • 1997
  • Sodium lactateand sodium citrate, traditional food preservatives, were added to extend the shelf-life of the loow-salted Myungran-jeot, and various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with Muungran-jeot, and various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with Myungran-jeot femented at 1$0^{\circ}C$. pH was decreased in the beginning stage of fermentation and then increased, whereas the content of lactic acid was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But, lactic acid production of the low-salted Myungran-jeot with preservative were lower than control. The NH$_2$-N content of the low-salted Myungran-jot with sodium citrate was increased in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Sodium citrate inhibited the productions of VBN and TMA during the fermentation of Myungran-jeot, whereas sodium lactate inhibited the productions of VBN and TBA. Sodium lactate inhibited the growths of proteolytic bacteris and fungi. The estimated shelf-lives of the Myungran-jeot with control, sodium lactate, and sodium citrate were about 11, 13, and 13 days, respectively.

  • PDF

유산균으로 발효한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추출물 첨가 명란젓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yungran-Jeot with Saccharina japonica Water Extrac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황지영;장종수;류대규;김경태;허만규;엄성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93-198
    • /
    • 2019
  • Natural seasoning are trends of food industries to replace synthesized seasoning due to consumer preference. However, unexpected results can be happened in a point of sensory evalu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adding natural seasoning such as reduced flavor, color change and so 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potential of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extrac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STE) for myungran (pollock roe)-jeot instead of present synthesized seasoning. Among various STE concentration (0%, 5%, 10%, and 15%) in myungranjeot, there was no significant physicochemical changes in a point of crude lipid, pH, total acidity, salinity and color difference. Microbiological profiles was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10% STE-myungran-jeot showed higher ${\gamma}$-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as 24.4 mg/100g at free amino acid analysis than other STE-myungran-jeot without decline of sensory properties. In overall, it revealed that STE could replace the synthesized seasoning and improve the quality of Myungran-jeot. The results suggest that STE can be useful to develop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저염 명란젓갈의 품질지표 설정을 위한 연구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Quality Index of Low-salted Myungran-jeot)

  • 한진숙;조학래;조호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40-44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제조과정에서 조미액즙이 첨가된 저염명란젓갈을 $10^{\circ}C$에 저장하면서 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명란젓갈의 유통기한 예측을 위한 품질지표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명란젓갈의 숙성 중 젖산 생성량의 변화는 저장 7일까지는 서서히 증가하다가 7일 이후에 급격히 증가한 후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19일에 다시 증가하였다. pH의 변화는 젖산 생성량과 반대 경향을 보였다. 아미노태 질소는 숙성 10일까지 일정수준을 유지하다가 그 후에 증가하여 숙성 17일에 최고 값을 나타낸 후 다시 감소하였다. 휘발성 염기질소량은 숙성 5일 이후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여 저장 19일에는 $30mg\%$ 이상으로 나타났다. 미생물시험에서 분변대장균은 전 실험기간동안 검출되지 않았고, 일반 세균수와 내염성균수는 초기에는 각각 $1.5\times10^3$$5.5\tiems10^3 CFU/g$였고, 저장 17일까지 일반 세균수와 내염성균수가 $10^7CFU/g$을 유지하였다. 본 실험에 제공된 시료는 조미액 첨가와 알루미늄 밀봉 포장방식으로 인하여 외관상 알의 표면에 효모군락이나 곰팡이가 발생되지 않아 외관 특성이 명란젓갈의 품질 지표가 되지 못한 반면, 입안에서 명란알의 입자감이 중요한 품질 지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17일까지는 명란젓갈의 관능특성과 기호도가 초기제품과 비교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토대로 명란젓갈이 발효식품임을 감안해 볼 때 제품의 상업적 품질이 유지되는 유통기간은 제품의 관능평가에서 입자감과 종합적 기호도가 초기 제품과 유의적 차이(p<0.05)가 없는 상태로, 휘발성염기질소량은 $30mg\%$이하, 내염성미생물수는 $1.0\times10^8CFU/g$미만으로 각각 설정하였다.

저염 명란젓의 Shelf-Life 연장 방안 1. pH 조정에 의한 연장 효과 (The Shelf-Life Extension of Low-Salted Myungran-Jeot 1. The Effects of pH Control on the Shelf-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 김상무;이근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59-465
    • /
    • 1997
  • 저염 젓갈의 shelf-life를 연장하기 위하여 pH를 조정한 침지액으로 명란젓을 제조한 다음, 숙성과정중의 여러가지 화학적 및 미생물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숙성중 pH 변화는 어느정도 일정하였으나 젖산량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특히, pH 4.7로 조정한 명란젓은 숙성초기에 급격한 젖산생성량을 나타내었다. pH 4.7로 조정한 명란젓인 경우, 아미노태질소량은 숙성초기에 증가하였다가 그 후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VBN 량은 어느정도 증가하였으나 그 변화폭은 대조군 및 pH 7.0에서 제조한 명란젓보다 적었으며, TMA량도 대조군 및 pH 7.0으로 조정한 명란젓보다 작았으며 숙성이 진행되는 동안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TBA 값은 전 시료에 있어 숙성초기에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pH 4.7로 조정한 명란젓은 대조군 및 pH 7.0으로 조정한 명란젓에 비해 증가율이 낮았으며 특히, 현저한 미생물 성장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대조군 및 pH 4.7로 조정한 명란젓 사이에는 뚜렷한 미생물 변화 차이는 없었다. 대조군 및 pH 7.0으로 조정한 명란젓의 shelf-life는 각각 약 12일로 뚜렷한 차이 (p<0.1)는 없었으나 pH 4.7로 조정한 명란젓은 16일로 대조군 보다 약 4일 정도 shelf-life가 연장되었다.

  • PDF

식품첨가제에 의한 저염 명란젓의 보존 효과 (The Effects of Food Additives on the Shelf-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 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937-943
    • /
    • 1996
  • 저염 명란젓의 shelf-life를 연장하기 위하여 최근 식품 보존제로 주목을 받고있는 chitosan, glucono $\delta-lactone$ 및 sykeeper를 첨가하여 명란젓을 제조한 다음 여러가지 화학적 및 미생물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숙성 중 pH는 숙성 초기에 감소하였다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sykeeper 첨가는 pH 증가를 억제하였다. 젖산생성은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sykeeper 첨가는 젖산 생성을 저해하였다. 아미노태 질소는 숙성 5일에 일정수준유지 또는 약간 감소하였다가 그 후 증가하여 숙성 15일에 최고값을 나타낸 후 다시 감소하였으며 sykeeper첨가 명란젓이 가장 높은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VBN 및 TMA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Sykeeper 첨가 명란젓의 생성량이 제일 낮았으며 그 다음이 glucono $\delta-lactone이었다.$ Sykeeper 는 숙성 초기 단계의 TBA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또한 미생물의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Glucono $\delta-lactone$ 및 Sykeeper 첨가는 저염명란젓의 shelf-life를 각각 2일 및 5일 정도 연장하였다.

  • PDF

Cellulose casing에 충진한 명태 절란젓의 숙성중 품질변화 (Property Changes of the Salt-Seasoned and Fermented the Broken Roes of Alaska Pollock Stuffed into Cellulose Casing)

  • 박종혁;김상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20-224
    • /
    • 2002
  • 폐기물로 버려지는 명태 가공부산물인 절란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절란 젓을 제조하여 cellulose casing에 포장한 다음 숙성 중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화학적 및 미생물 변화를 측정하였다. 상온숙성$(25^{\circ}C)$에서는 냉장숙성$(5^{\circ}C)$보다 pH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젖산량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상온숙성에서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냉장숙성에서는 서서히 증가하였다. 아미노태 질소는 상온숙성시 숙성기간 1주일째 급격한 증가 후 서서히 증가하였고 냉장숙성$(5^{\circ}C)$시 3주째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 휘발성 염기성 질소는 상온숙성$(25^{\circ}C)$시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냉장숙성$(5^{\circ}C)$시 서서히 증가함을 보였다. 미생물의 변화는 상온숙성$(25^{\circ}C)$시 냉장숙성$(5^{\circ}C)$보다 미생물의 수치가 높았으며, 대장균군은 초기에 나타났다가 모두 제거되었다. 명태 절란젓의 최적 생산공정 및 유통기간 설정을 위해서는 관능검사 등을 통한 보충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전통발효식품에서 Cholesterol Oxidase를 생산하는 미생물의 분리 및 효소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solation of the Cholesterol Degrading Enzyme Producing Microorganism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and the Culture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the Enzyme)

  • 박상현;권익부;함영태;신동훈;전억한
    • KSBB Journal
    • /
    • 제13권4호
    • /
    • pp.343-351
    • /
    • 1998
  • About 75 strains which utilize cholesterol as sole carbon and energy source were isolated from 10 samples of Kimchi and 18 samples of fermented fish food (2 Ojingo-jeots, salt-fermented squid ; 5 Changran-jeots, salt-fermented pollack tripe ; 5 Myungran-jeots, salt-fermented Alaska pollack roe ; 3 Gajami-sikhae-jeots, fermented flat fish ; 2 Gul-jeots, salt-fermented oyster ; a Juneo-jeots, salt-fermented shad). Among them tested, the 3T6-5Mj strain isolated from Changran-jeot showed the highest activity on cholesterol degradation. The optimal composition of medium for the producing cholesterol degradation enzyme by 3T6-5Mj strain was 1.0 g/L NH4NO3, 1.0 g/L K2HPO4, 0.1 g/L MgSO4.7H2O, 1.0 g/L FeSO4.7H2O, 1 g/L NaCl, 5 g/L Trypton, 1 g/L Cholesterol, and 5 g/L Maltose at 30$^{\circ}C$, pH 7.5, and the enzyme production reached a maximum level at 140 hours of cultiv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