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ycelial production

Search Result 38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자외선(UV-C) 조사에 의한 딸기병원균의 균사생장억제 (In vitro Test of Mycelial Growth Inhibition of 5 Fungi Pathogenic to Strawberries by Ultraviolet-C (UV-C) Irradiation)

  • 김선애;안순영;오욱;윤해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34-637
    • /
    • 2012
  • 딸기병해는 생육기 동안 과실의 생산량감소 및 품질저하를 가져오고 있으며, 약제방제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친환경적인 병해 방제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실내에서 자외선(UV-C, 264 nm)조사에 의한 딸기병원균의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5종의 딸기병원균을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25^{\circ}C$ 항온실에서 배양한 후 균총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5종의 딸기병원균을 PDA 상에서 배양하면서 자외선을 조사하면, 하루 1시간 조사에 의해서도 생장이 억제되었고 9-12시간을 조사한 균의 생육은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며 역병균은 생육이 완전하게 억제되었다. 자외선광원과 병원균의 거리에서는 40-50 cm의 거리에서 자외선을 조사한 배양기에서 병원균생장의 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배지에 접종한 후 바로 자외선을 처리한 병원균은 모두 2일간 배양한 후 자외선을 접종한 배양기에서보다 생육이 억제되었다. 딸기 탄저병균(C. gloeosprioides)과 시들음병균(F. oxysporum)은 V8A에서 자외선에 의한 균의 생장억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Streptomyces chromofuscus SMF28을 이용한 Cathepsin B 저해물질의 발효생산 및 특성분석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thepsin B Inhibitor from Streptomyces chromofuscus SMF28)

  • 이현숙;김인섭;윤성준;이계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02-608
    • /
    • 1995
  • The aim of the present research program was to construct an optimum fermentation system and to characterize the properties of cathepsin B inhibitor from Streptomyces chromofuscus SMF28. Glucose and casitone were proved to be good carbon source and nitrogen source, respectively. The production of inhibitor was high at lower concentration than 10 mM of inorganic phosphate.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the production of inhibitor were 30$\circ$C and pH 7, respectively. The production of inhibitor was related to mycelial growth and was affected by medium composition. The inhibitor in culture filtrate of S. chromofuscus SMF28 was purified by butanol extraction, silica gel chromatography, Amberlite IRC-50 (H$^{+}$ form) chromatography, preparative TLC, and preparative HPLC. From amino acid analysis and UV, IR, $^{1}$H-NMR spectroscopic analysis, the inhibitor was identified as a peptide containing valine and phenylalanine derivative.

  • PDF

Aspergllus oryza와 그 변이주의 연적배양에 의한 amylase 생성에 관한 연구 (Amylase Production by Continuous Cultures of Aspergillus oryzae and its Mutants)

  • Han, Hong-Eui
    • 미생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3-76
    • /
    • 1977
  • Irradiation with high doses of gamma rays induced the reduction of mycelial weight and anaylase activity, and increased relative amylase activity in surface cultures. Biphase in growth curves was shown in aeration-agitation cultures but the behavior of the first phase of growth could be eliminated by replacing the amylasehydrolysed starch substrates, so that enzyme production was shortened ca. 40 hours and relative amylase activity was increased about 3 times higher before onset of autolysis. In the effect of gibberellin on amylase production, the positive stimulation was appeared to only surface culturs of the liquid medium and the negative effect to shake-cultures in a mutant. Trials of various continuous culture were resulted not only the approalch to the value of amylase activity in surface cultures of liquid medium, but also higher productivity than in batch cultures. The culture-degeneration was observed in two-stage continuous culture, but did not appear in continuous elevation culture.

  • PDF

영지버섯 다당체의 Nitric Oxide 생성능 및 생성기전 연구 (Nitric Oxide Production Ability and its Formation Mechanisms in Macrophage TIB 71 Cell Line by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Ganoderma lucidum)

  • 김성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33-337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infomation on the nitric oxide production ability and its formation mechanisms of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Ganoderma lucidum(PSG) by using murine macrophage cell line. The cultured mycelial cells of Ganoderma lucidum were extracted by alkali, and than neutralized by acid. The extract were passed through the column of DEAE cellulose for more purification. The neutral fraction was concentrated and precipitated with 95% ethanol. The precipitate was lyophilized and PSG was obtained.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PSG on macrophage were performed by using murine macrophage cell line ATCC TIB 71 cells with PSG 0.5mg. PSG alone could not induce the production of nitrite, but it had a significant potential effect on nitrite secretion when the cells were primed and triggered with BCG and Interferon(IFN)-${\gamma}$. Also it was prominent by using calcium channel blocker(verapamil) and adenylate cyclase activator(forskolin).

  • PDF

교배육종에 의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도원홍초'의 품종특성 (Varietal characteristics of cross-bred Cordyceps militaris 'Dowonhongcho')

  • 이병주;이미애;김용균;이광원;최영상;이병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1-156
    • /
    • 2015
  •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는 다양한 생리적 및 약리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약용버섯으로 인정받으며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교배를 위해 자낭포자를 분리한 후 균사생장, 균사밀도, 자실체 및 자낭각 형성 여부 등에 대한 검토를 하였고, 그 중에서 우수한 특성의 균주를 이용하여 교배와 선발과정을 거쳐 신품종 '도원홍초'를 육성하였다. 신품종 '도원홍초'는 SDAY배지 및 $10{\sim}25^{\circ}C$ 온도조건에서 균사 생장이 양호하였다. 신품종의 자실체는 곤봉형이고 밝은 주황색을 띠었으며 코디세핀 함량은 0.34% 였고 자좌의 평균길이는 6.1 cm였다. '예당 3호'와 비교할 때, 새로운 품종 '도원홍초'의 수량은 9% 증수되었고 자실체의 경도가 높은 특징을 보였다. 균사생장 적온은 $22{\sim}25^{\circ}C$였고, 버섯 발생 적온은 $18{\sim}22^{\circ}C$였으며 접종에서부터 자실체 발생까지의 기간은 45일이 소요되었다. 신품종 '도원홍초'는 동충하초 인공재배 및 산업적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지버섯 균주별 균사체 추출물의 항염,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능 비교 분석 (Comparison of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allergic effects of Ganoderma species mycelial extracts)

  • 박영진;남재영;윤대은;권오철;김홍일;유영복;공원식;이창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1-115
    • /
    • 2013
  • 본 연구는 다양한 영지버섯 균주의 균사체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G. species ASI-7150 (흑영지), G. lucidum ATCC46755 (Canada), G. species ASI-7151 (흑룡), G. lucidum ATCC64251(Taiwan), G. neo-japonicum ASI-7032, 및 G. lucidum ASI-7071 (영지2호)의 균사체 추출물 항산화 효과를 분석한 결과 G. species ASI-7150 (흑영지) 의 균사체추출물에서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가장 높았다. 항염활성 분석에서는 G. lucidum ATCC64251 (Taiwan)의 균사체 추출물을 처리하였때 NO 생성 저해능이 가장 좋았다. 또한 G. lucidum ATCC64251 (Taiwan)의 균사체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beta}$-hexosaminidase 생성억제율이 가장 좋았다. MTT assay를 통하여 각 영지버섯 균사체 추출물은 세포 생존율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러한 선행 연구결과는 추후에 국내 및 국외 품종 등 다양한 영지버섯 균사체의 약리효과 분석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Lovastatin을 생산하는 식용버섯 선발과 HMG-CoA reductase 저해 효과 (Screening of Edible Mushrooms for the Production of Lovastatin and its HMG-Co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 이재원;이수민;곽기섭;이지윤;최인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83-88
    • /
    • 2006
  • 국내에서 식용버섯으로 이용되고 있는 8종 균주의 자실체와 균사체로부터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하는 lovastatin 생산과 고지혈증 억제활성을 탐색하였다. TLC 분석으로 lovastatin생산 유무를 검색한 결과 자실체와 균사체의 추출물에 대해 Rf값이 표준물질콰 같은 약 0.46에서 뚜렷한 밴드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자실체로부터 lovastatin 추출을 위한 용매로는 water/acetonitrile/methanol (5:2.5:2.5)을 사용하였을 매 가장 효과적인 lovastatin 생산량을 보였다. Lovastatin 생산량은 자실체 중에서는 Pleurotus ostreatus가 0.98 mg/g (dry biomass)으로 가장 높은 생산량을 나타냈고 균사체 배양액 추출물에 대해서도 P. ostreatus가 21.90 mg/L로 높은 생산량을 나타냈다. 3-Hydroxy-3-methylglutaryl-CoA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에서는 자실체에서 P ostreatus가 67.8%, 균사체에서 P. ostreatus와Laetiporus sulphureus가 각각 37.2%, 29.1%의 저해활성을 보였다. L. sulphureus는 lovastatin 생산량에 비해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서 lovastatin 이외의 다른 고지혈증 억제물질을 GC/MS로 분석한 결과 대사산물로 분비되는 식물성 sterol 물질인 campesterol과 gamma-sitosterol이 검출되었다.

Phellinus sp.의 분리 및 균사체의 액체배양 (Isolation and Mycelial Cultivation Submerged of Phellinus sp.)

  • 강태수;이동기;이신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4호통권83호
    • /
    • pp.257-267
    • /
    • 1997
  • 강원도 양양군 일원 야산의 뽕나무에서 자생하고 있는 상황버섯 형태의 자실체를 채집하고, 그 자실체로부터 Phellnus속의 한 균주를 분리동정하였으며, 액체배양에 의하여 분리 균사체의 대량생산을 위한 배양조건, 배지조성 및 배양장치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실체는 표면이 검으며 거칠고, 갓의 안쪽은 황갈색으로 평평하였으며, 자실층이 두터웠고(5-7 cm), 말굽형으로 조직이 매우 단단하여 전형적인 상황버섯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또, 조직 일부를 water agar에 이식하여 순수분리한 결과, 분리된 균사체는 황갈색으로, PDA 평판배지에서 자갈색의 색소를 분비하였으며, 균사는 clamp connection을 형성하지 않았고, 많은 branch가 있었다. 또 laccase, tyrosinase 및 peroxidase activity를 가지고 있어, 본 균주는 Phellinus속의 한 균주로 확인되었다. 플라스크 배양에서 균사체 생성을 위한 최적배양조건은 접종비 5%(v/v), 배지액량 70 mL, 교반속도 150rpm, 초기 pH 6, 배양온도 $30^{\circ}C$ 및 배양기간은 8일이었다. 또,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최적 배지조성은 glucose 12.12 g/L, sucrose 12.12 g/L, yeast extract 11.15 g/L, malt extract 11.15 g/L, $KH_2PO_4$ 0.855 g/L 및 $CaCl_2$ 0.855 g/L 이었으며, 배양 4일 및 8일 후 균사체량은 각각 1.95 및 9.89 g/L 이었고, 최대 비생육속도 $0.020\;hr^{-1}$, 생산성은 1.25 g/L/day이었다. 그러나 서로 다른 3종의 배양장치를 사용한 결과, 3 L air-lift fermentor에서 통기량 2.5 vvm으로 4일간 배양하였을 때, 약 7.5g/L의 균사체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때, 최대 비증식속도는 $0.033\;hr^{-1}$, 생산성은 1.9g/L/day로, 같은 기간내 플라스크 배양시 보다 각각 1.7 및 4.2배가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담자균(擔子菌)을 이용(利用)한 발효(醱酵) 사료(飼料)에 관한 연구(硏究) (Conversion of Fermented Feed by Basidiomycetes)

  • 홍재식;김중만;정진철;이태규;김동한;김명곤;이극로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7-168
    • /
    • 1985
  • 담자균(擔子菌)을 이용한 발효사료(醱酵飼料)를 제조(製造)할 목적(目的)으로 분리(分離)한 균주(菌株)의 균생육(菌生育) 속도(速度)와 섬유소분해능(纖維素分解能)((여과지(濾過紙) 붕괴법(崩壞法)과 CMC 액화법(液化法))을 비교(比較)하여 1차 5균주(菌株)를 선별(選別)하였고 1차 선별(選別)된 균주(菌株)를 볏짚배지(培地)에서 생육(生育) 속도(速度)와 CMCase, xylanase, protease 활성(活性)을 비교(比較)하여 Lyophyllum decastes를 선정(選定)하였다. Lyophyllum decastes의 균생육(菌生育)과 효소생산(酵素生産)을 위한 배양(培養) 최적(最適) 조건(條件)은 $25{\sim}30^{\circ}C,\;pH\;6.0{\sim}7.0$, 수분(水分) $70{\sim}75\;%$ 범위였으며 효소생산(酵素生産)은 15일 배양시(培養時) 좋았다. 부원료(副原料)로 미곡(米穀) $30{\sim}40\;%$, 들깨묵 $10{\sim}20\;%$의 첨가(添加)로 효소생산(酵素生産)은 증가(增加)되나 균생육(菌生育)은 늦었으며 무기염(無機鹽)으로 $0.36{\sim}0.72\;%$$(NH_4)_2HPO_4$ 첨가(添加)가 효과적(效果的)이었다. 볏짚을 40 mesh 이하로 분비(粉碑)하거나 $0.5\;kg/cm^2$의 증기압(蒸氣壓)으로 처리(處理)하면 균생육(菌生育)은 조금 늦으나 효소생산(酵素生産)에는 효과적(效果的)이었다. 알칼리 처리중(處理中) $Ca(OH)_2$ 처리(處理)가 균생육(菌生育)이나 효소생산(酵素生産)에 좋았고 NaOH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하면 균생육(菌生育)이나 효소생산(酵素生産)은 낮았다. 볏짚발효시(醱酵時) 발효(醱酵)가 진행됨에 따라 회분(灰分), 환원당(還元糖), 총실소(總室素)는 증가(增加)하였고 섬유소(纖維素), lignin, pentosan은 감소(減少)하였다. 알칼리 처리시(處理時) 회분(灰分), 총실소(總室素), lignin은 감소(減少)하였고 환원당(還元糖)과 섬유소(纖維素)는 증가(增加)하였으며 NaOH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변화(變化)는 심하였다. 발효(醱酵)가 진행됨에 따라 in vitro dry matter 소화율(消化率)은 증가(增加)하여 발효초기(醱酵初期) 55.03 %에서 45일 발효후(醱酵後)는 62.72 %로 증가(增加)하였다. 알칼리 처리시(處理時)는 KOH, NaOH의 처리(處理)가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NaOH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하면 소화율(消化率)은 증가(增加)하였고 알칼리 전처리(前處理) 볏짚의 발효사료(醱酵飼料) 제조시(製造時)도 소화율(消化率)의 향상을 가져 왔다.

  • PDF

Effect of oil and aqueous extract of Neem (Azadirachta indica) seeds on growth of Aspergillus species and biosynthesis of aflatoxin

  • Rashid, Faraz;Naaz, Farah;Abdin, MZ;Zafar, Shadab;Javed, Saleem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5권4호
    • /
    • pp.308-315
    • /
    • 2005
  • Aflatoxin contamination is a major problem in several food crops. Aflatoxin, a mycotoxin, produced by Aspergillus flavus has gained immense concern in the scientific world because of its tremendous harmful effects. The study was focused to see the effect of oil and aqueous extract of neem (Azadirachta indica) seeds on the growth of Aspergillus and production of aflatoxin by the mold. Various amounts of neem oil $(5\;-\;50\;{\mu}l/ml)$ and aqueous extract of neem (5 - 50 mg/ml) were used both in the broth as well as the solid medium. Fungistatic (MIC) and minimal fungicidal concentrations (MFC) were found to be $10\;{\mu}l/ml$ and $50\;{\mu}l/ml$ respectively for neem seed oil. At the concentration of $5\;{\mu}l/ml$ neem oil and 5 mg/ml of aqueous extract,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aflatoxin content was found in broth medium. Aflatoxin production was totally inhibited at $50\;{\mu}l/ml$ and 50 mg/ml for neem oil and aqueous extract of neem respectively, in both treatments. There was significant inhibition of mycelium dry weight by the neem seed oil. Mycelial growth was totally inhibited at $20\;{\mu}l/ml$ of neem seed oil concentration in broth, whereas it was not affected at all by aqueous extract. It can therefore be inferred that the oil and extract from the neem seed leads to inhibition of aflatoxin production while neem seed oil also significantly inhibits the mycelial growth. Neem seed oil thus can be used as potent, natural and easily available anti-aflatoxigenic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