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ort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17초

Clinical Outcomes of Reduced-Port Laparoscopic Surgery for Patients With Sigmoid Colon Cancer: Surgery With 1 Surgeon and 1 Camera Operator

  • Oh, Jung Ryul;Park, Sung Chan;Park, Sung Sil;Sohn, Beonghoon;Oh, Hyoung Min;Kim, Bun;Kim, Min Jung;Hong, Chang Won;Han, Kyung Su;Sohn, Dae Kyung;Oh, Jae Hwan
    • Annals of Coloproctology
    • /
    • 제34권6호
    • /
    • pp.292-298
    • /
    • 2018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perioperative clinical outcomes of reduced-port laparoscopic surgery (RPLS) with those of conventional multiport laparoscopic surgery (MPLS) for patients with sigmoid colon cancer and investigated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RPLS performed by 1 surgeon and 1 camera operator. Methods: From the beginning of 2010 until the end of 2014, 605 patients underwent a colectomy for sigmoid colon cancer.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postoperative outcomes, and pathologic results for the patients who underwent RPLS and for the patients who underwent MPLS. We also compared the clinical outcomes of single-incision laparoscopic surgery (SILS) and 3-port laparoscopic surgery. Results: Of the 115 patients in the RPLS group, 59 underwent SILS and 56 underwent 3-port laparoscopic surgery. The MPLS group included 490 patients. The RPLS group had shorter operating time ($137.4{\pm}43.2minutes$ vs. $155.5{\pm}47.9minutes$, P < 0.001) and shorter incision length ($5.3{\pm}2.2cm$ vs. $7.8{\pm}1.2cm$, P < 0.001) than the MPLS group. In analyses of SILS and 3-port laparoscopic surgery, the SILS group showed younger age, longer operating time, and shorter incision length than the 3-port surgery group and exhibited a more advanced T stage, more lymphatic invasion, and larger tumor size. Conclusion: RPLS performed by 1 surgeon and 1 camera operator appears to be a feasible and safe surgical option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sigmoid colon cancer, showing comparable clinical outcomes with shorter operation time and shorter incision length than MPLS. SILS can be applied to patients with favorable tumor characteristics.

해양 배출구에서 해류와 장파에 의한 플룸 상승과 초기 희석도 결정 (Current and Long Wave Influenced Plume Rise and Initial Dilution Determination for Ocean Outfall)

  • 권석재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31-240
    • /
    • 1997
  • 미국에서는 오랜 전부터 1차 처리된 폐수를 해양배출구를 통하여 심해저로 흘러보내어 보다 효율적인 폐수처리에 기여하고 있다. 해저의 경사 때문에 연안의 폐수처리장에서 긴 관을 통해 심해저로 다공배출구를 연결시키고 있다. 그러나, 심해저확산배출구를 통해 흘러 나와 형성된 플롬이 근접한 연안에 간접적으로는 인간의 건강에 해를 줄 수 있다는 보고 때문에 바다의 물리적인 조건을 세심하게 고려한 심해저 확산배출구의 적절한 수심에서의 배치가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연안역에서도 보다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폐수처리를 위해 해양배출에 대한 고려를 하여야 할 것이다. 플롬의 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일련의 플롬 동역학에 대한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모델이 사용되어 왔으나 대부분의 경우 플롬거동의 계산치가 현실과는 동떨어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배출특성과 해양의 조건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한 플롬모델의 적용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플롬모델에서 파랑과 흐름과 같은 실질적인 해상조건을 반영한 입력 파라메타를 도입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의 마말라 만 연구에서 선택한 특정 모델의 입력 변수 중에 장파는 고려하지 않고 해류만을 고려한데서 오는 단점을 보완하여 선행파이론에 기초한 장파와 흐름이 공존함으로써 야기되는 해저로부터의 플룸 상승과 초기 희석 계산을 수행하였다. 실제적으로 해저에서 플룸의 형상이 해수뿐만 아니라 장파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염료를 넣어 플룸을 사진촬영함으로써 증명하였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장파와 같은 현실적인 인자를 세심하게 고려함으로써 계산 결과를 더욱 현실 값에 접근시킬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장파와 같은 인자를 도입함으로써 야기되는 물리학적인 한계점은 관련된 가정을 통해 어느 정도 보완이 되었지만 그러한 한계점은 향후 3차원적인 플룸 역학을 다룸으로써 보강차원의 실증적 연구자 더 필요하다고 하겠다. 미국환경보전국에서 승인한 개량플룸모델 중에서 RSB 및 UM모델을 플룸거동을 계시하는데 사용하였으며, 장주기파의 조건하에서 계산된 값을 플룸의 상승 및 초기회석의 관점에서 비교하였다.

  • PDF

사각형제트와 2차원제트의 거동해석의 비교 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Behavior Analysis of Rectangular Jet and Two-dimensional Jet)

  • 권석재;조홍연;서일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6B호
    • /
    • pp.641-64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PIV를 이용하여 측정한 평균유속장의 실험결과에 근거하여 10의 종횡비를 갖는 3차원 순수사각형제트의 거동을 고찰하였다. 장축상의 횡분포에서 안장형 분포가 관찰되었다. 점원개념으로부터 유도된 이론적인 중심선유속의 식은 측정된 중심선유속과 잘 일치하였으며 원류핵영역, 2차원영역, 그리고 축대칭영역의 분할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인 중심선유속의 감소에 의해 분할된 2차원영역의 범위가 천이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관찰되었다. 작은 종횡비를 갖는 사각형제트의 거동이나 실제 해양의 깊은 수심에서 다공확산관을 통해 방류되는 하 폐수의 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2차원모형의 적용은 2차원영역을 지난 천이영역과 축대칭영역에서 중대한 오차를 야기할 수 있다. 2차원영역에서 가우스 상수가 보존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2차원영역의 끝 지점에서 확장률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중심선유속으로 무차원화 된 중심선 난류 강도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높은 레이놀즈수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난류강도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