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modal data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31초

한·중 간 Sea & Air 물동량 전망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Forecasting and Suggesting the Activation Strategies for Sea & Air Transport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 정현재;전준우;여기태;양창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905-910
    • /
    • 2012
  • 90년대 초반 한 중 간 교역확대와 이에 따른 물동량 증대에 힘입어 중국발 Sea & Air 운송 화물은 연평균 50% 이상의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하지만 9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증가폭이 둔화되었으며, 최근에는 정체 및 감소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중간 교역의 지속적인 성장패턴과는 다소 상이한 형태를 나타내는 Sea & Air 운송의 향후 물동량을 전망하고, 이에 대한 활성화방안을 제시하는 것은 시급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Sea & Air 운송의 물동량을 예측하며, Sea & Air 운송의 활성화 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의 중요도를 파악하여 시행을 위한 우선순위를 확정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론은 ARIMA와 Fuzzy-AHP(퍼지계층분석법)를 사용하였다. ARIMA 분석을 위해 2007년부터 2012년 4월까지의 실적치를 사용하였으며 2015년까지 물동량을 예측하였다. ARIMA 예측결과, Sea & Air 물동량은 2012년 약 4만 톤에서 2015년 약 3만 3천 톤으로 감소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활성화 요인의 가중치를 도출하기 위해 Fuzzy-AHP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분류 활성화 요인 중 'Sea & Air 운송 관련 정보시스템 구축 정책'이 가장 중요한 활성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세부분류 활성화 요인 중 '혼재가능 물류센터 건설'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선정되었다.

AVI/AEI 국제표준 동향과 국내표준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VI/AEI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Korea standard)

  • 김웅이;강경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13
    • /
    • 2003
  • AVI/AEI는 무선주파수 기술에 기초하여 ITS의 응용시스템 개발을 위해 고안된 것이다. 특히, 이 기술은 국제운송과 관련한 CVO 및 정보시스템과 같은 복합운송에 사용되는 차량과 장비에 관한 인식정보를 주고받는 것이 최근 주요 표준 과제가 되고 있다. AVI/AEI 국제표준에서는 설계, 시스템 매개변수, 데이터 구조 및 통신과 관련하여 일반적인 상호 운영이 가능하도록 그 형태를 제공하고 운영환경 및 성능을 결정하기 위한 국제표준을 설정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 표준에서는 AVI/AEI 응용시스템 내에서 명확한 인식을 위해 일반적인 표준형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상호 운영성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구조 등을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AVI/AEI 표준은 ISO TC204의 WG4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8개의 표준항목을 가지고 있다. 최근 새로은 작업항목인 ERI가 추가되어 적극적으로 표준화 활동이 전개되고 있다. WG4에서는 3개의 일반교통환경에서 사용하는 항목과 4개의 복합운송 표준작업항목이 개발되고 있다. 모든 작업항목들은 CEN TC278과 ISO TC204가 비엔나 협약에 따라 동등하게 표준활동을 하고 있으나 WG4의 경우 CEN이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표준항목들은 16개국의 30여명의 표준화 전문가들이 지정되어 표준화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표준에 대한 동향과 국내의 개발현황에 대하여 고찰해본 것이다.

  • PDF

Retinoid Receptors in Gastric Cancer: Expression and Influence on Prognosis

  • Hu, Kong-Wang;Chen, Fei-Hu;Ge, Jin-Fang;Cao, Li-Yu;Li, Ha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1809-1817
    • /
    • 2012
  • Background: Gastric cancer is frequently lethal despite aggressive multimodal therapies, and new treatment approaches are therefore needed. Retinoids are potential candidate drugs: they prevent cell differentiation, proliferation and malignant transformation in gastric cancer cell lines. They interact with nuclear retinoid receptors (the retinoic acid receptors [RARs] and retinoid X receptors [RXRs]), which function as transcription factors, each with three subclasses, ${\alpha}$, ${\beta}$ and ${\gamma}$. At present, little is known about retinoid expression and influence on prognosis in gastric cancers. Patient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expression of the subtypes RARa, $RAR{\beta}$, $RAR{\gamma}$, RXRa, $RXR{\beta}$, $RXR{\gamma}$ by immunohistochemistry in 147 gastric cancers and 51 normal gastric epithelium tissues for whom clinical follow-up data were available and correlated the results with clin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we quantified the expression of retinoid receptor mRNA using real-time PCR (RT-PCR) in another 6 gastric adenocarcinoma and 3 normal gastric tissues. From 2008 to 2010, 80 patients with gastric cancers were enrolled onto therapy with all-trans-retinoic acid (ATRA). Results: RARa, $RAR{\beta}$, $RAR{\gamma}$ and $RXR{\gamma}$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p < 0.001) and demonstrat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in the carcinoma tissue sections (p < 0.01), with lower $RAR{\beta}$, $RAR{\gamma}$ and RXRa expression significantly related to advanced stages (p < =0.01). Tumors with poor histopathologic grade had lower levels of RARa and $RAR{\beta}$ in different histological types of gastric carcinoma (p < 0.01). Patients whose tumors exhibited low levels of RARa expression had significantly lower overall survival compared with patients who had higher expression levels of this receptor (p < 0.001, HR=0.42, 95.0% CI 0.24-0.73), and patients undergoing ATRA treatment had significantly longer median survival times (p = 0.007, HR=0.41, 95.0% CI 0.21-0.80). Conclusions: Retinoic acid receptors are frequently expressed in epithelial gastric cancer with a decreased tendency of expression and RARa may be an indicator of a positive prognosis. This study provides a molecular basis for the therapeutic use of retinoids against gastric cancer.

Bayesian 기법을 이용한 혼합 Gumbel 분포 매개변수 추정 및 강우빈도해석 기법 개발 (A Bayesian Approach to Gumbel Mixture Distribution for the Estimation of Parameter and its use to the Rainfall Frequency Analysis)

  • 최홍근;오랑치맥솜야;김용탁;권현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2호
    • /
    • pp.249-259
    • /
    • 2018
  • 우리나라의 기후 지형적 특성에 따라 연강수량의 50% 이상이 여름철에 내린다. 이러한 짧은 기간에 집중적으로 내리는 강수량 조건하에 수공구조물을 설계할 경우 대부분 극치빈도분석을 활용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Gumbel 분포를 활용한 극치빈도분석을 많이 이용한다. 하지만, 최근 이상기후로 인하여 전세계적으로 강수량의 특징이 급격히 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연강수량 특징도 바뀌고 있다. 즉, 기존의 단일 분포형으로 재현이 가능했던 수문기상 자료들이 혼합분포형의 특징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극치빈도분석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개 이상의 첨두를 가지는 형태의 극치강수량 자료에 대해서 기존의 단일 Gumbel 분포형 기반 극치빈도분석과 혼합 Gumbel 분포형 기반의 극치빈도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확률분포의 매개변수 산정시 우도함수를 Bayesian 기법을 통해 산정하여 각 분포형의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BIC) 값을 비교하였다. 분석한 결과, 앞서 제안된 혼합 Gumbel 분포형은 하나의 첨두를 가지는 단일 Gumbel 분포형에서 반영되지 못한 꼬리(tail)부분의 이중첨두 부분의 거동을 효과적으로 모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설계강수량을 추정할 때 보다 신뢰성있는 접근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나라 극치강우자료 분석시 기존 단일분포기반의 빈도해석기법에 대안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모바일 테크놀로지 활용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의 설계와 적용: 경주 양동마을을 사례로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an Inquiry-based Fieldwork Program using Wireless Mobile Device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Tourism on Yangdong Village)

  • 이종원;오선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893-91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주 양동마을의 지속가능발전을 주제로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적용 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것이다. 효과적인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의 설계를 위해서는 탐구질문, 조사대상 지역, 모바일 테크놀로지의 역할, 학습활동 및 산출물 설계,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양동마을은 2010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이후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으며, 학생들은 양동마을에서 가옥의 변화를 조사하고, 주민들을 인터뷰하고, 마을에서 변해야 하는 것과 변하지 말아야 하는 것을 조사한다. 학생들의 야외 데이터 수집을 지원하기 위해 모바일 테크놀로지(예, Collector for ArcGIS)가 활용되었다. 프로그램은 2016년 2월 고등학교 답사동아리 학생들(N=21)이 참여해 현장적용 연구가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사전-사후활동, 야외에서의 데이터 수집활동이 관찰되었으며, 학생들이 수집한 데이터와 제작한 산출물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학생들은 양동마을에 대한 지식과 가치가 높아졌을 뿐 아니라 과정에 대해서도 만족과 즐거움을 표시했다. 모바일 테크놀로지의 활용은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에서 학습활동의 실제성을 높여주고, 학생들 간 협력을 원활하게 하며, 공유가 가능한 디지털 형태의 산출물 생산을 지원한다.

  • PDF

감정 분류를 이용한 표정 연습 보조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for Assistance of Facial Expression Practice Using Emotion Classification)

  • 김동규;이소화;봉재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137-114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표정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인공지능은 서술형 문장과 표정 이미지로 구성된 멀티모달 입력을 심층신경망에 사용하고 서술형 문장에서 예측되는 감정과 표정 이미지에서 예측되는 감정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출력하였다. 사용자는 서술형 문장으로 주어진 상황에 맞게 표정을 연습하고 인공지능은 서술형 문장과 사용자의 표정 사이의 유사도를 수치로 출력하여 피드백한다. 표정 이미지에서 감정을 예측하기 위해 ResNet34 구조를 사용하였으며 FER2013 공공데이터를 이용해 훈련하였다. 자연어인 서술형 문장에서 감정을 예측하기 위해 KoBERT 모델을 전이학습 하였으며 AIHub의 감정 분류를 위한 대화 음성 데이터 세트를 사용해 훈련하였다. 표정 이미지에서 감정을 예측하는 심층신경망은 65% 정확도를 달성하여 사람 수준의 감정 분류 능력을 보여주었다. 서술형 문장에서 감정을 예측하는 심층신경망은 90%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감정표현에 문제가 없는 일반인이 개발한 인공지능을 이용해 표정 연습 실험을 수행하여 개발한 인공지능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Diffuse-Type Histology Is Prognostic for All Siewert Types of Gastroesophageal Adenocarcinoma

  • Kelly M Mahuron;Kevin M Sullivan;Matthew C Hernandez;Yi-Jen Chen;Joseph Chao;Laleh G Melstrom;I. Benjamin Paz;Jae Yul Kim;Rifat Mannan;James L. Lin;Yuman Fong;Yanghee Wo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4권3호
    • /
    • pp.267-279
    • /
    • 2024
  • Purpose: The optimal treatment for gastroesophageal junction adenocarcinoma (GEJA) remains controversial. We evaluated the treatment patterns and outcomes of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GEJA according to the histological type.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single-institution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GEJA who underwent curative-intent surgical resection between 2010 and 2020. Perioperative therapies as well as clinicopathologic, surgical, and survival data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endoscopy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were assessed for Siewert and Lauren classifications. Results: Among the 58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44 (76%) were clinical stage III, and all received neoadjuvant therapy (72% chemoradiation, 41% chemotherapy, 14% both chemoradiation and chemotherapy). Tumor locations were evenly distributed by Siewert Classification (33% Siewert-I, 40% Siewert-II, and 28% Siewert-III). Esophagogastrectomy (EG) was performed for 47 (81%) patients and total gastrectomy (TG) for 11 (19%) patients. All TG patients received D2 lymphadenectomy compared to 10 (21%) EG patients.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showed the presence of 64% intestinal-type and 36% diffuse-type histology. The frequencies of diffuse-type histology were similar among Siewert groups (37% Siewert-I, 36% Siewert-II, and 33% Siewert-III). Regardless of Siewert type and compared to intestinal-type, diffuse histology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intraabdominal recurrence rates (P=0.03) and decreased overall survival (hazard ratio, 2.33; P=0.02). With a median follow-up of 31.2 months, 29 (50%) patients had a recurrence, and the median overall survival was 50.5 months. Conclusions: Present in equal proportions among Siewert types of esophageal and gastric cancer, a diffuse-type histology was associated with high intraabdominal recurrence rates and poor survival.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anatomic location in the determination of multimodal GEJA treatment strategies.

모바일 환경에서의 생성형 AI 서비스 성공 전략 연구: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사용자 경험 분석 (A Study on Success Strategies for Generative AI Services in Mobile Environments: Analyzing User Experience Using LDA Topic Modeling Approach)

  • 김소연;조지연;박상열;이봉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109-119
    • /
    • 2024
  • 본 연구는 모바일 등 온디바이스(on-device)에 탑재된 생성형 AI 기반 서비스가 증가하는 환경 속에서 온디바이스 AI 관련 초기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모바일 환경에서 생성형 AI 기반 챗봇 서비스의 성공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수집한 20만 건 이상의 실제 사용자 경험 리뷰 데이터를 LDA 토픽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정보시스템 성공 모델(ISSM)에 기반하여 도출된 주제를 해석한 결과 정보 품질에는 튜터링, 대답의 제한, 신뢰할 수 없는 정보와 같은 토픽이, 시스템 품질에는 멀티모달서비스, 대화의 품질, 디바이스 상호운용성의 토픽이, 서비스 품질에는 디바이스 간 호환성, 서비스의 사용 용이성, 유료 서비스의 품질, 계정 호환성의 토픽이, 마지막으로 순 효익에는 창의적 협업 토픽이 연결되었다. 생성형 AI의 의인화는 기존 모델로 설명되지 않는 새로운 경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용자 측면에서의 구체적인 긍정 및 부정 경험 차원을 이론에 기반하여 설명함으로써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위한 개선점과 보완점을 찾아 기업에게 서비스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전략적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