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초

네덜란드 디자인 아카데미 아인트호벤의 통합적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lti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in Design Academy Eindhoven)

  • 강현대;곽철안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7-56
    • /
    • 2012
  • This study particularly looked at educational philosophy and content of Design Academy Eindhoven in Holland which provides multi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For it might be important data for examining the educational substance and directivity in design that help construct education system in design for a new era among the varying design paradigm. The biggest feature of DAE education system designed for students to optimize their ability with systematic education of 8 contexts with 4 approaches through innovative specialty system. Besides, their interaction helps students major in what is individual specialty. Most of all, the study on the contents of DAE's multidisciplinary education is expected to be significant data for our design education that lacks integrative perspective in the respect that students might be able to develop their identity as an individual designer in changing society beyond the mere technical and formative level of design.

  • PDF

다학제 교육의 근간으로서 '디자인 사고'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Design Thinking as Foundation of Multidisciplinary Education)

  • 박성미;김수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260-273
    • /
    • 2013
  • This study aims to reflect experts' opinions in analyzing a design thinking as foundation of multidisciplinary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20 experts in three sessions from May 1 to June 25, 2012.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implemented, and internal reliability test on the survey instrument was carried out for statistical processing.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delphi analysis on intuitive thinking of design thinking suggested 7 items(to pursue the possibility of outside, to pursu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new forms of technology, content planning, facing a complex real-world phenomena etc.). Second, the delphi analysis on logical thinking of design thinking suggested 7 items(executed repeatedly, reasoning and verifi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 decision support system etc.) Third, the delphi analysis on subjective thinking of design thinking suggested 9 items(user experience measuring, user satisfaction ratings, user requirements analysis, user interface design, behavioral responses of the human etc.). Fourth, the delphi analysis on objective information of design thinking suggested 8 items(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imulation, production process, information exchange and sharing etc.).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elphi analysis, design thinking can be seen as the foundation of multidisciplinary education. Suggestions were made for discussion about the main results and further researches.

한국다학제간 캡스톤디자인에 마이크로콘트롤러 보드의 적용 (The Application of Micro Controller Board to Engineering Education for Multidisciplinary Capstone Design)

  • 윤석범;장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531-537
    • /
    • 2014
  • 본 논문은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학생들에게 다학제간 캡스톤 디자인을 운영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한다. 여름방학 계절학기 기간 중에 공주대학교 공과대학에서 다학제간 캡스톤 디자인을 운영하였다. 다학제간 캡스톤 디자인에 참여한 학생들은 이전에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을 수강하지 않은 서로 연관이 없는 5개 전공 학생들이다.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에게 캡스톤 디자인작품을 완성하기 위해 센서 및 액츄에이터 등을 이용하는 아두이노 우노 마이크로 컨트롤러 제어보드를 사용하는 캡스톤 디자인 모델을 도입하였다. 만족도 평가를 통해 더 창의적이면서 현장감 있는 의미 있는 교육이 진행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를 통해 다학제간 캡스톤 디자인 부분에서 앞으로의 가능성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복합학제 설계 교과목 운영 사례와 학습효과 분석 (A Case Study of Multidisciplinary Design Course: Focused on Learning Effectiveness of Interdisciplinary Teams)

  • 이의수;조성구;이용한;이명천;염세경
    • 공학교육연구
    • /
    • 제9권4호
    • /
    • pp.10-18
    • /
    • 2006
  • 오늘날 공학도에게는 타 전공자들과 한 팀을 이루어 공동의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진행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학에서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복합학제 설계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국대학교에서 수행하였던 복합학제 설계교육의 사례를 통해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여 보았다. 단일전공자로 구성된 팀들과 복합전공자로 구성된 팀들간의 학업성취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복합팀의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은 팀의 의사소통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복합학제 설계교육이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사회에 나가기 전 수업을 통해 꾸준히 연습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공학과 디자인의 협업을 위한 공학 계열 종합설계의 수행절차와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procedure and method for engineering comprehensive design for collaboration between engineering and design)

  • 허원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25-130
    • /
    • 2020
  • 공학교육인증을 실시하고 있는 대학들은 설계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공학 분야의 종합설계 교과목은 설계의 기능적 요소과 제한요소를 반영하여 결과물을 제작하도록 하고 있다. 체계적인 설계 교육도 중요 하지만 종합설계 교과목이 창의적 교육프로그램이라는 측면에서 다학제적 융합 교육 적용의 필요성이 매우 높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강의한 2019년 공학 계열 종합설계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과 공학과 디자인의 융합 적용사례를 기술하였다. 공학과 디자인의 협업을 위해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실제 결과물에 적용하기까지의 과정을 기획 및 주제 선정, 콘텐츠 설계, 소프트웨어 설계, 발표 및 평가의 절차로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에게 작품을 제작하는 데 있어 사용자를 고려한 디자인을 적용하게 함으로써 공학계열의 종합설계 교과목에서 기술에만 치중하지 않고 공학과 디자인의 융합 프로세스의 방법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제품 및 금형 연계 창의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creative capstone design process by product and mold design)

  • 김경아;한성렬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13권4호
    • /
    • pp.45-50
    • /
    • 2019
  •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lls for an integrated talent by improving working-level skills within the big framework of creativity and convergence. Therefore, university education focuses on solving the problem of practical ability education by improving employment ability. Based on this improvement in practical skills, this study is based on the field-based design curriculum of Capstone. Currently, the Capstone Design Course is being implemented at most universities, extending its scope to the fields of engineering, humanities, social studies and art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core concept of Capstone design education and capacity education developed in line with the foreig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pplied directly to our nation's university education. In terms of overseas cases, the core focus is to develop practical, design, and prototype capabilities by forming a team among all grades and multidisciplinary institutions to support the capital and manpower of the industry. However, the nation's industrial linkage and curriculum have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multi-disciplinary education. In this study, students were asked to team up and solve the challenges that the industry needs based on the expertise acquired in the lower grade curriculum by applying majors and 3D print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 courses of the fourth grade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In addition, business skills for the process of creativity and leadership experience in our country through a suitable design capstone class to review the efficiency of education by applying a mode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Capstone design subject, the goal setting, class model composition, class model application, verification and evaluation, and final class model development procedures were carried out. Through this process, it will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educating design class capstone design.

Innov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via Global Automotive Development Project

  • 지해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3호
    • /
    • pp.41-49
    • /
    • 2009
  • 본 논문은 세계 여러나라의 대학들이 다학제간 자동차 개발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수행함으로써 혁신적 공학교육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기술하였다. 이 프로젝트의 주 목적은 학생들로 하여금 신속한 설계와 제조에 대한 실질적 경험을 갖도록 하는 동시에 국제적 규모의 협업을 통하여 다른 국가의 다른 전공의 학생들과 의사전달 경험을 쌓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산업디자인 전공학생과 공학전공 학생들간에 긴밀한 협조환경을 강조하였으며 이는 프로젝트에 있어서 설계와 제조간의 공조의 어려움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전공의 특히다른 국가의 대학들의 학생들끼리 스스로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고 분업하여 효율적으로 협업을 이루어 가야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교육적 시도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향후 각 대학에서는 지속적인 의사전달기술을 토대로 팀기반 협업환경에서의 설계교육을 강화하여 국제적 공학혁신 교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21세기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for Expansion of Learning Ability in the 21st Century)

  • 정재훈;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67-174
    • /
    • 2013
  • 본 연구는 21세기에 필요한 핵심적인 학습 능력을 연구하고 미래 사회 국가 발전에 필요한 핵심 인력을 양성하는데 있다. '21세기 학습 능력 프로젝트'는 학습자의 학습 능력과 개인 회적으로 가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기존 지식과 학문을 다학문적, 통합적으로 접근 하는 것이다. 국내에서도 학습 능력 배양을 위한 다양한 교과 간 통합 교육과정의 시도가 있었으나 각 교과의 내용과 특성의 차이를 충분히 이해하여 효과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교사가 부족하고 현장에서 쉽게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1세기에 필요한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해 학문의 지식을 통합하는 다학문적 맞춤형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위해 교육과정 실태를 분석 연구하고 그 결과로 초 중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다학문 맞춤형 학문 통합 모형을 제안한다.

교육용 도구로서의 저가 소형위성 연구 및 개발 (Low-Cost Small Satellite Research and Development as an Education Tool)

  • 문병영;장영근;이병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80-91
    • /
    • 2006
  • 위성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실질적이고 경험적인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HAUSAT-1과 HAUSAT-2 두 초소형 위성 개발 프로젝트 기반의 다학제간 우주비행체 설계 교육방법을 적용하였다. HAUSAT-1은 국내최초로 개발된 1 kg급의 초소형 피코 위성이다. HAUSAT-2는 25 kg급의 나노 위성으로 현재 준비행 모델(Proto-Flight Model)을 개발 중에 있다. 이들 설계 프로젝트는 연구와 설계 교육의 통합적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대학의 고유기능인 과학 및 기술 연구와 설계 교육을 통한 전문 인력양성의 목표를 동시에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복합시스템인 우주비행체 설계 교육을 통하여 참여 학생 전원이 우주비행체의 전 시스템 개발 과정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하고, 최근 들어 각광을 받고 있는 다학제간 시스템 교육의 활성화를 이룰 수 있다.

공학설계의 교수·학습적 개념 고찰 (An Investigation on the Concept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Engineering Design)

  • 이영태;정재원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3-1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heory behind creative engineering design instruct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literature review to derive engineering design instruction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three primary characteristics: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activities, collaborative communication interactions, and multidisciplinary convergence to promote creative thinking.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creative engineering design instructional characteristics based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engineering design and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instructional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