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gwort extract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1초

쑥 및 엉겅퀴가 식이성 고지혈증 흰쥐의 간기능, 체지질 및 담즙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Circium Japonicum var Ussuriense on Liver Function, Body Lipid , and Bile Acid of Hyperlipidemic Rat)

  • 임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7호
    • /
    • pp.797-802
    • /
    • 1997
  • The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mugwort) and Circium japonicum var ussuriense (Unggungqui) on lipid metabolism was examined . Thirty rats of 5 experimental groups were fed with a diet containing 1% cholesterol and 0.25% sodium cholate(control diet) and 5% plant powder or its water soluble extract(experimental diet) for 4 weeks. The activity of enzymes related to liver function, lipid components of liver and principle organs, and fecal steroids were assayed. The activity of enzym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unggungqui and mugwort powder diet group than in control. Liver total cholesterol , free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Unggungqui powder diet groups that in the control.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 in heart and kidney were comparatively low in the Unggungqui powder diet groups. In each plant powder diet group, the values of serum bile acid were significantly lowe ran the fecal steroid excretion was higher than in the control and the extract diet groups.

  • PDF

애엽 추출물 섭취가 ICR 마우스의 피부조직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Mugwort (Artemisia vulgaris L.) Extracts Diet on ICR Mouse Skin)

  • 박시향;조득문;최경림;최영준;최진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523-1528
    • /
    • 2007
  • 애엽 추출물에 대한 ICR 마우스의 피부 조직에 대한 항산화작용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애엽 추출물(mugwort extract: ME)을 섭취한 식이군의 경우,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피부조직의 단백질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3.1%{\sim}11.1%$ 증가하였다. 활성산소 중 히드록시 라디칼 함량은 애엽 추출물 식이군에서 $10.4%{\sim}17.4%$의 유의적인 감소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그리고 산화적 스트레스로써 산화단백질의 함량도 애엽 추출물 식이군(ME-100, ME- 200)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15.2%와 17.1%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과산화지질함량은 애엽 추출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 활성은 ME-100 군과 ME-200 군에서 각각 15.0%와 23.3%의 유의적인 증가가 있었고, 또한 애엽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카탈라아제 활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엽 추출물의 섭취가 피부의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며,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피부의 노화현상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력한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브산과 비교하여도 손색이 없는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피부 건강기능 식품과 음료 소재로서 애엽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청국장제조시 대두원료의 동결과 쑥추출물의 첨가가 품질 및 이화학적 성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gwort extract on the quality and the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Chung-kookjang prepared with frozen soybean)

  • 최병달;이시경;윤세억;주현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7호
    • /
    • pp.510-515
    • /
    • 1998
  • 청국장제조시 대두원료의 동결과 쑥추출물의 첨가가 청국장의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청국장 숙성과정중의 아미노태 질소, ${\alpha}-amylase$ activity, protease activity, 향기성분의 변화와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청국장 숙성과정중 protease activity는 동결처리한 대두를 사용한 청국장에서 약간 높았던 반면 ${\alpha}-amylase$ activity는 차이가 없었다. 아미노태 질소량은 전체적으로 동결처리한 청국장이 다소 높은 값을 보였으며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증가하다가 숙성 21일후 감소하였다. 쑥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효소활성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쑥추출물의 첨가에 의해 불쾌취원인의 하나로 알려진 cis-3-hexenol의 생성량이 감소되었고, 동결에 의해 항기물질인 2,6-dimethyl pyrazine의 생성이 촉진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14일 숙성된 청국장이 전체적으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쑥추출물이 첨가된 경우에는 대두의 동결여부에 관계없이 쑥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보다 flavor가 유의적으로 우수하였으나 대두원료의 동결에 따른 차이는 감지되지 않았다.

  • PDF

쑥(Artemisia princeps Pampan) 추출 성분의 암세포증식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Pampan.. Extract on Growth of Cancer Cell Lines)

  • 황윤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4호
    • /
    • pp.799-808
    • /
    • 1998
  • To investigate the antitumor activity of mugwort (Artemisia princeps Pampan), petroleum ether extract of mugwork was partially purified by a silica gel chromatography. Among several fractions, the fraction which was obtained under the elution with acetone, showed potent cytotoxicity against mouse leukemia cell line(Ll210),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HCT-48) and human hepatoma cell line (Hep G2) , but was less effective with normal cell line(mouse embryo cell). Acetone fraction appeared to be glycolipid by Benedict test and the major fatty acids of the lipid were C16 ; 0 , C 18: 3by GC/MS analysis.

  • PDF

깻잎, 쑥, 참취의 건분 및 에탄올 추출물이 흰쥐의 지방대사와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형 (Effect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Aster Scaber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 김주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5호
    • /
    • pp.540-551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perilla lea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mugwort) and Aster scaber(chamchui)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Forty-nine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05.9$\pm$1.7g were blocked into seven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th and raised for four weeks with diets containing 5% dried powders of perilla leaf, mugwort and chamchui, or ethanol extracts from the same amount of each dried leaf powder. Food intake was higher in the control and chamchui powder groups than the other remaining groups. Weight ga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Food efficiency ratio was highest in the perilla leaf powder group. Plasma total lipid and cholesterol, liver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highest in the perilla leaf powder group. In contrast, dried powders of mugwort and chamchui showed hypolipidemic effects in plasma and liver. Plasma and liver TBARS levels in both dried powder and ethanol extract groups of the three plants were lower than control.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rresponding dried powder and ethanol extract groups. Catalas and GSH-Px activities in erythrocyte and liver were not different among all the experimental groups. However, SOD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esperimental groups. In erythrocyte. SOD activiteis of all dried powder and ethanol extract groups except the perilla leaf powder group were higher than control, and the chamchui power group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mong them. In liver, all the plant groups showed higher SOD activities than contro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rresponding dried powder and ethanol extract groups. In conclusion, the dried chamchui powder and liver. All the dried plant powder and ethanol extract were effective in decreasing the TBARS levels of liver and particularly plasma. Among the antiocidative enzymes, SOD activity was most responsive to the experimental diets. All the plant groups showed increases in liver SOD activities and there were more increments in dried powder groups. Since the effects of dried powder groups on lipid metabolism were better than those of extract groups, it is plausible that the high dietary fiber level in dried powders was effective. Antioxidativ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rresponding dried power and extract groups, and it was thought that ethanol extracts from three plants also had similar antioxidative effects as dried powderers.

  • PDF

고초균 발효에 의한 홍삼박 발효물에 쑥 분말 첨가에 따른 물리화학적 및 항산화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Red Ginseng Marc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HA with Mugwort Powder Addition)

  • 정혜원;김지은;서지현;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391-1398
    • /
    • 2010
  • 홍삼 추출액 제조 후 생산되는 부산물인 홍삼박의 식품 소재화를 위해서 열풍 건조시킨 후 초미세 분말화 하였으며, 쑥 분말 첨가에 따른 고초균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홍삼박 분말에 탈지대두분말 3%와 monosodium glutamate(MSG) 2%, 쑥을 농도별(0~3%)로 첨가하여 발효하여 분석하였다. 홍삼박 발효물의 tyrosine 함량은 쑥 3% 첨가 시 581.3 mg% 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 protease 활성은 쑥을 첨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쑥을 첨가하지 않은 구에서 277.5 unit/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점조도 측정 결과 쑥 3% 첨가 시 $8.8\;Pa{\cdot}s^n$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점질물 함량은 쑥을 첨가하지 않은 구에서 11.5%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고분자 점질물인 PGA함량을 GP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쑥을 첨가하지 않은 구에서 15.9 g/kg 이었으며 분자량은 1,100 kDa으로 나타났다. 첨가된 MSG 전환율을 약 80% 정도로 나타냈으며, 쑥 첨가에 따른 전환율에 효과는 볼 수 없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쑥 3% 첨가된 발효물에서 물과 70% 주정 추출물 각각 $IC_{50}$값이 0.62 mg/mL, 0.57 mg/mL로 나타났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쑥 3% 첨가 시 물 과 70% 주정 추출물에서 각각 $IC_{50}$값은 1.24 mg/mL, 1.34 mg/mL로 나타났다.

천연색소의 색 특성에 미치는 추출용매의 영향 (Effect of Extractant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Natural Colorant Extracts)

  • 이영희;박영광;백영미;김정수;이동진;김한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3
    • /
    • 2016
  • Natural colorant extracts were obtained by extraction from tumeric root, gardenia seeds, mugwort and green tea using water, methanol, ethanol and acetone as extractants at room temperature for 3 hours under shaking condition(180rpm) with liquor ratio(solid:solvent; 1:100). The main pigment components of tumeric root, gardenia seeds, mugwort and green tea are known to be curcumin, crocin, chlorophyll b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respectively. The effects of the kind of extractant and pH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natural colorant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solubility parameters of pigment components were determined to find adequate extractant. The solubility parameters of curcumin, crocin, chlorophyll b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were found to be 27.85, 29.40, 19.48 and $37.97(J/cm^3)^{1/2}$. As expected, solvents that have a solubility parameter similar to that of pigment component were generally found to be effective to obtain pigment extracts having high visible absorbance(A). The extract(pigment/solvent) with high visible absorbance was generally found to have low $L^*$(lightness) and high Chroma($C^*$, purity).

열처리한 채소류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between Raw and Heat-Treated Vegetables)

  • 김소영;이영민;김정봉;박동식;고정숙;김행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18
    • /
    • 2014
  •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ix types of vegetables (carrots, crown daisy, mugwort, cabbages, onions, and garlic) based on heat-treated cooking. According to the results, proximate contents (crude protein, fat, and ash) were lower in blanched samples than in untreated samples. Untreated cabbage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otal dietary fiber content, which decreased by blanching and increased by high-temperature/high-pressure (HTHP) treatment. Noteworthy is that, in the case of soluble dietary fiber, blanched crown daisy and mugwort showed significantly high levels of 12.0 g and 7.3 g per 100 g(dry basi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ocopherol content in heat-treated samples. The highest levels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ere 6.73 g and 5.51 g per 100 g, respectively, in the mugwort sample with HTHP treatment at $130^{\circ}C$ for 2 h. The water extract of mugwort with HTHP treatment had the strongest antioxidant effect based on three bioassays (SOD, DPPH, and ABTS). These results indicate the rel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physiologically active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and suggest new insights into ingredients for developing functional foods.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흰쥐의 지질농도에 미치는 식물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Some Plant Extracts on Lipids Contents of Rats Treated with Carbon Tetrachloride)

  • 최용순;김성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71-178
    • /
    • 2000
  • 본 실험은 간장기능보호를 위한 식품소재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인진쑥, 콩나물, 솔잎추출물은 in vitro 간장 fatty acid synthase 활성을 억제하였다. 한편, 솔잎, 콩나물추출물은 사염화탄소를 처리한 횐쥐의 혈청 GPT및 GOT효소활성의 상승을 억제하였다. 인진쑥, 콩나물추출물은 사염화탄소처리에 의한 흰쥐의 간장 microsome의 과산화지질함량의 상승을 억제하였다. 나아가 콩나물추출물은 사염화탄소에 의해 증가한 흰쥐의 간장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함량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인진쑥, 솔잎, 콩나물추출물의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장손상의 보호기능을 보여 준다.

  • PDF

청국장 및 녹차, 쑥이 첨가된 청국장의 항혈전 활성 (Antithrombotic Activities of Cheongkookjang and Cheongkookjang Fermented with Green Tea or Mugwort)

  • 이경애;장정옥;윤혜경;김무성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98-303
    • /
    • 2007
  • 청국장 및 기능성분이 첨가된 청국장 추출물이 가지는 항혈전 관련 활성을 검정하였다. 흰 콩(Golycine max)과 검은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청국장과 여기에 각각 녹차, 쑥이 첨가되어 제조된 청국장에 대해 in vitro에서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 활성, 혈소판응집 억제 및 fibrin 분해활성을 측정하였고, 가장 우수한 시료에 대해 in vitro에서 혈전억제능을 시험하였다. 항산화 활성에 있어서 흰콩이나 검은콩 청국장 모두 녹차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활성이 급격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쑥을 첨가한 경우에는 활성 증가율이 녹차에 비해 다소 적었다. 아질산염 소거 작용은 모든 시료에서 90% 이상 매우 높았으나 기능성분 첨가에 의한 영향은 크지 않았다. 혈소판응집 억제 활성을 조사한 결과, 녹차나 쑥을 첨가함에 따라 그 활성이 상당히 증가되었다. 특히 흰콩이나 검은콩 청국장 모두 $0.3{\sim}1.0%$의 낮은 농도에서도 녹차나 쑥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활성 이 크게 증가하였다. 청국장 추출물의 fibrin 분해활성을 plasmin unit으로 환산한 결과, 흰콩보다는 검은콩 청국장의 혈전용해 활성이 약간 좋았으나, 기능성분 첨가에 따른 활성증가는 크지 않았으며 특히 쑥을 첨가한 경우는 저농도에서 활성이 상당히 감소하다가 농도상승에 따라 활성이 약간 회복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시험군중 in vitro 혈전억제 작용이 가장 우수한 녹차 첨가검은콩 청국장에 대해 마우스를 이용한 in vitro 혈전유발 억제능을 조사하여, 녹차를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1.5배 정도 억제능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청국장은 혈전용해뿐 아니라 혈소판응집 억제 및 항산화 기능 등에 의해서 혈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녹차나 쑥 등 기능 성분 첨가시 소량 첨가에도 매우 향상된 혈전억제 활성을 가진 청국장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구순 봉합수술 후에 구개부 (palatal segment) 의 면적은 계속 증가하였다. 치조골 면적과 거리 항목의 증가는 후방부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NAM치료에 의한 치조골 정형효과는 주로 전방부에서 발생하며, 치조골의 성장은 구순 봉합수술 후에 후방부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물실험을 통해 증명이 되었으나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역학적 연구는 아직 기대만큼 명료한 결과들을 제시해주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IARC나 EPA모두 인체발암물질로 분류하였고 다양한 건강영향에 대한 증거들이 있는 것은 분명한 만큼 다이옥신 노출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EX>-RA투여로 인해 위내에 발생한 무위산증(achlorhydria)이 위암 발생의 위험을 높일 것이라는 기존의 가설을 뒷받침하는 결론이라고 할 수 있었다. Mies van der Rohe의 제자들이나 그로부터 영향을 받은 수많은 건축가들은 이러한 저항과 비판에 직면하게 되며 새로운 사고의 시대적 요구 앞에 고뇌하게 된다. 한국에서는 1978년 Mies van der Rohe의 제자인 김종성이 미국에서 서울로 돌아와 '서울건축컨설탄트'를 설립하며 본격적으로 Miesianism의 규범적 건축론을 설파하기 시작하였다. 이른바 시카고 국제주의학파의 건축전수라고 할 수 있는데 '서울건축컨설탄트'를 통하여 배출된 김종성의 제자들은 명쾌하고도 간결한 건축해법의 경험을 토대름대로의 정체성을 갖고자 노력하였으나 결국 다원적 가치를 요구하는 시대적 흐름 속에 혼란을 겪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본 연구는 Miesianism의 기원을 밝히고 그것의 실수와 오류를 밝힘과 동시에 현대의 여러 가지 건축유형들과 비교하여 봄으로써 Post-Miesianism의 실체와 그 미래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미스의 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Miesianism의 요체는 첫째, Schinkel로부터 이어받은 시대정신의 사명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