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danggut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무당굿 장단 활용의 보편성 (The Universality of Using Beats of Mudanggut)

  • 홍태한
    • 공연문화연구
    • /
    • 제34호
    • /
    • pp.215-240
    • /
    • 2017
  • 이글에서는 강신무굿인 서울굿과 황해도굿, 세습무굿인 경기도당굿과 남해안별신굿의 장단 활용 양상을 살핀 후 이를 바탕으로 무당굿 장단 활용의 보편성을 살폈다. 동해안굿이나 호남굿의 장단 활용 양상까지 살펴야 마땅하자 그렇지 못한 것은 이글의 한계이다. 다만 보편성을 살피면서 동해안굿의 사례 몇 가지를 언급은 했으나 동해안굿 장단 활용 양상도 살펴야 이 글의 논지가 더 충실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지역별로 연행 집단, 연행 양상 등이 달라 보이지만, 실상 보편적인 원리는 같을 수도 있다는 것을 제시하려 했다. 각 지역별 굿에 사용하는 장단은 분명한 나름의 체계를 가진다. 연행자와 연행방식에 따라 사용하는 장단이 다르다. 그런데 이렇게 사용하는 장단의 체계는, 장단의 명칭이나 구성 등에서는 독자성이 보이지만, 다른 지역의 굿과 비교하면 공통점이 많다. 여기서는 이를 일러 보편성이라고 했다. 이는 한국의 굿거리 짜임이나 연행방식, 장단의 활용 등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지만, 장단 체계만큼은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다음으로 연행자에 따라 장단의 활용양상이 다른 것도 지역적인 보편성이다. 서울굿에서는 장구재비가 앉은 굿을 하면서 직접 무가를 부르는 경우와, 무당이 선굿을 하는 경우에 따라 장단의 활용이 다르다. 연행자에 따른 장단의 활용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은 경기도당굿이 대표적이다. 미지와 산이가 연행하는가에 따라 장단이 달라진다. 아울러 장단의 활용을 통해 굿거리 연행의 의미를 전달하는 것도 공통된다. 청신과 오신의 의미를 장단을 통해 나타내는 것은 모든 지역굿에서 확인된다. 그리고 이는 몇몇 장단이 신령의 위상과 긴밀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데 보다 분명하게 드러난다. 서울굿에서는 상산장단과 별상장단이라는 이름처럼, 신령의 이름이 곧장 장단명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모든 지역의 굿에서 수비를 물리는 의미를 장단의 활용을 통해 드러낸다. 지역별로 굿의 연행 양상은 다르지만, 굿판의 주체인 신령을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비록 세습무들의 굿이 강신무의 굿보다는 신령에 대한 인식이 드러나지 않고, 신력(神力)을 드러내는 다양한 연행 요소는 없지만 신령에 대한 인식이 있음이 장단 활용을 통해 나타내는 것이다.

자인단오제 큰굿의 구조 정립 모색 (Seeking an Establishment of Structure in the Big-gut, Jaindanoje)

  • 홍태한
    • 공연문화연구
    • /
    • 제19호
    • /
    • pp.35-60
    • /
    • 2009
  • 이 글은 현재 연행되고 있는 자인단오제의 큰굿의 구조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면서 구조를 새롭게 정립해야 함을 주장한 글이다. 현재 자인단오제에는 큰굿이 연행되고 있으나, 굿거리와 공연물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어 굿거리의 성격이 모호하다. 그러다보니 한국 무속의 구조에 맞지 않은 이상한 굿거리들이 연행되고 있는데, 패왕별희, 어우동 거리 등이 그 예이다. 세부적인 절차도 어색하여 지역의 특색을 드러내기보다는 우리나라 각 지역의 무속 양상이 혼합되어 있다. 바라를 팔다가 고를 푸는 칠성거리가 그 예이다. 또한 개별 굿거리에 다수의 무당이 등장하여 춤을 추면서 굿을 연행하고 있어 굿이라기 보다는 무용극 내지는 춤공연으로 보이는 것도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이 극복되어야 큰굿은 우리의 소중한 문화 자산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한국굿의 구조를 고려할 때 초반부, 중반부, 종반부의 구성을 지키면서 굿거리의 층위를 신령의 체계와 맞출 필요가 있다. 굿거리가 아닌 것들은 과감하게 빼버려서 굿거리 중심의 연행물이 되어야 한다. 개별 굿거리를 담당하는 주무를 설정하고 주무 중심으로 굿을 진행해야 한다. 현재 담당하고 있는 이들이 문제가 있다면 경상도 내륙의 무속 사정을 잘 아는 새로운 연행담당층을 모색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된다. 자인단오제 큰굿은 이제 무형문화재의 일부이다. 과거처럼 사람들의 흥미에 부응하고 호기심의 대상이 되는 공연물이 아닌 우리의 전통 문화를 대표하는 전승물이 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연행된 굿거리를 재검토하여 획기적으로 다시 재편해야 할 시점에 와있다.

증산사상(甑山思想) 형성에 미친 지역적 영향원(影響源)으로서의 농악·당산제에 관한 사례적 고찰 -정읍지역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Nongak and Dangsanje as Regional Sources of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Jeungsan Thought: Focused on Jeongeup City, Jeonbuk-do Province)

  • 허정주
    • 대순사상논총
    • /
    • 제49집
    • /
    • pp.127-156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읍 출신 사상가 증산(甑山) 강일순(姜一淳, 1871~1909)의 사상 형성에 미친 정읍지역의 당산제 및 농악의 영향관계를 구체적인 자료들을 통해서 살펴보는 데에 있다. 그 결과, 본고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첫째, 어떤사상가의 사상은 그가 태어나 성장한 지역 문화의 영향을 받게 된다. 둘째, 강증산이 태어나 자라고 나중에 자신의 증산사상(甑山思想)을 이룩해 나아간 중심 지역은 정읍지역이다. 셋째, 정읍지역 마을굿 당산제에는 전통적으로 농악이 그 필수 요건으로 수반되고, 정읍의 농악은 마을굿으로서 당산제와 긴밀한 상호관계 속에서 공연되었다. 넷째, 증산이 본인의 생존 당시에 자신의 고향에서 볼 수 있었던 농악은, 바로 이와 같이 정읍지역의 마을굿인 당산제와 관련하여 공연되던 농악으로 파악된다. 다섯째, 증산은 어릴 때부터 마을굿 당산제와 농악과 무당굿의 긴밀한 상호관계를 체험적으로 파악하였을 것이라는 점을 관련 자료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여섯째, 이러한 영향 양상은 실제로 그가 남긴 언행록에 구체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일곱째, 증산의 정읍에서의 농악/풍물굿 체험은 그의 사상이 처음으로 종교화된 보천교의 종교악을 농악의 재창조 형태로 구성하게 하였다. 여덟째, 이러한 농악의 보천교 종교악화 과정은 이후에 정읍농악 및 호남농악 전반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