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ss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3초

Optimal Resource Planning with Interference Coordination for Relay-Based Cellular Networks

  • Kim, Taejoon;An, Kwanghoon;Yu, Heeju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11호
    • /
    • pp.5264-5281
    • /
    • 2017
  • Multihop relay-based cellular networks are attracting much interest because of their throughput enhancement, coverage extension, and low infrastructure cost. In these networks, relay stations (RSs) between a base station (BS) and mobile stations (MSs) drastically increase the overall spectral efficiency, with improved channel quality for MSs located at the cell edge or in shadow areas, and enhanced throughput of MSs in hot spots. These relay-based networks require an advanced radio resource management scheme because the optimal amount of radio resource for a BS-to-RS link should be allocated according to the MS channel quality and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interference among RSs and neighbor BSs. In this paper, we propose optimal resource planning algorithms that maximize the overall utility of relay-based networks under a proportional fair scheduling policy. In the first phase, we determine an optimal scheduling policy for distributing BS-to-RS link resources to RSs. In the second phase, we determine the optimal amount of the BS-to-RS link resources using the results of the first phase. The proposed algorithms efficiently calculate the optimal amount of resource without exhaustive searches, and their accuracy is verified by comparison with simulation results, in which the algorithms show a perfect match with simulations.

Modulated Sputtering System (MSS)의 특성 분석 및 박막 증착

  • 김대철;김태환;김용현;한승희;김영우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88-488
    • /
    • 2013
  • 일반적으로 sputtering 방식을 이용한 박막 증착 방법은 장치가 간단하고 고품질의 박막이나 균일한 박막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sputtering 방식에 Modulation technology를 적용하고자 한다. Modulation technology를 이용하여 전원의 pulse on 시에는 일반적인 sputter 방식으로 기판에 박막을 증착하고 pulse off 시에는 양의 전압을 인가하여 이온빔을 발생시킨 후 기판에 입사시키는 방식을 적용하여 박막 형성의 특성을 향상시키고자한다. 이는 고온의 heater 및 이온빔이나 레이저, 플라즈마 소스 등의 추가적인 에너지원의 장치가 필요 없이 고품질의 박막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대 효과가 있다. Modulated Sputtering System (MSS)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의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MSS에 인가하는 전압과 frequency, 그리고 duty cycle 변화에 따른 이온 에너지 분포를 에너지 분석기를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Langmuir probe를 이용한 afterglow plasma 상태에서의 이온전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MSS 이용하여 Ti 박막을 증착하였으며 박막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a-step, SEM, XRD, AFM을 이용하여 두께, 결정성장면,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기판에 입사되는 양이온의 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002) 결정면 방향에서 (100) 결정면 방향으로 증착되고 표면 거칠기가 낮아짐을 측정하였다. 또한 Graphite 타겟을 이용한 carbon 박막을 증착하였으며 박막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Raman을 이용한 분석 결과 양이온의 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박막내의 sp3 함유량이 변화함을 측정하였다.

  • PDF

Maternal Social Separation of Adolescent Rats Induces Hyperactivity and Anxiolytic Behavior

  • Kwak, Hyong-Ryol;Lee, Jae-Won;Kwon, Kwang-Jun;Kang, Chang-Don;Cheong, Il-Young;Chun, Wan-Joo;Kim, Sung-Soo;Lee, Hee-Jae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3권2호
    • /
    • pp.79-83
    • /
    • 2009
  • Exposure to early stressful adverse life events such as maternal and social separation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nervous system. Adolescent Sprague-Dawley rats that were separated on postnatal day 14 from their dam and litters (maternal social separation, MSS) showed hyperactivity and anxiolytic behavior in the open field test, elevated plus-maze test, and forced-swim test. Biologically, the number of astrocyt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refrontal cortex of MSS adolescent rats. The hyperactive and anxiolytic phenotype and biological alteration produced by this MSS protocol may provide a useful animal model for investigating the neurobiology of psychiatric disorders of childhood-onset diseases, such as attention deficient hyperactive disorder.

Efficacy of 694-nm Fractional Toning Ruby Laser in the Treatment of Malar Melasma

  • Kim, Jun Hyun;Park, Eun Soo;Nam, Seung Min;Cha, Han Gyu
    • Medical Lasers
    • /
    • 제10권1호
    • /
    • pp.45-48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Among the numerous available therapies, the usefulness of laser treatment has been proven in melasma, especially for refractory to topical agents or chemical peel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694-nm wavelength fractional toning ruby laser in melasma presenting on the malar area. Materials and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of 40 melasma patients treated with 694-nm wavelength ruby fractional toning laser for a total of 8 cycles at intervals of 2 to 3 weeks. Two independent investigators assessed the photographic findings and evaluated the severity of melasma by applying the Melasma Severity Scale (MSS). Subject satisfaction score was also surveyed at every visit. Results After the 4th treatment, subjects were continuously satisfied with their results. At the 8th visit and 1-month after the last treatment, MSS was determined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as compared to the first visit. One case of minor hypopigmentation was reported, but was resolved after one month. Conclusion Application of 694-nm wavelength fractional toning ruby laser for treating melasma on the malar area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MSS. Moreover, the treatment could be repeatedly applied, with low complication rate and significant patient satisfaction.

임업(林業)에 있어서 원격탐사술(遠隔探査術)의 적용방법(適用方法)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Technique to Forestry)

  • 김갑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1호
    • /
    • pp.41-50
    • /
    • 1987
  • 항공사진(航空寫眞)의 촬영시(撮影時) 사용(使用)되는 필름과 필터의 결합(結合), 그리고 촬영시기(撮影時期)에 따른 색조(色調)의 변화(變化)가 임업목적(林業目的)에 어떻게 이용(利用)될 수 있는가를 조사(調査)하였다. 적외색사진(赤外色寫眞)에서는 색조차이(色調差異)에 의해 수종구분(樹種區分)을 할 수 있었으며, 이때는 5월(月)에 촬영(撮影)한 사진(寫眞)이 4월(月)에 촬영(撮影)한 사진(寫眞)보다 잎의 반사특성(反射特性)이 두렷하게 나타나 효과적(効果的)이었다. 위색사진(僞色寫眞)은 천연색사진(天然色寫眞)에 비(比)해 전체적으로 어둡게 나타나 대상물(對象物)의 식별(識別)이나 식생구분(植生區分)에 이용(利用)하기에는 부적당하였다. 흑백적외선사진(黑白赤外線寫眞)은 적색(赤色)필터와 결합(結合)하여 혼효림(混淆林)에서 활엽수(闊葉樹)를 구분(區分)하는데 용이하게 이용(利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MSS 합성사진(合成寫眞)을 만들었을 때 적절하게 밴드가 조합(組合)된 합성사진상(合成寫眞像)에서 토지이용형태구분(土地利用形態區分) 가능하였다. 그러나 임상구분(林相區分)이나 수종판독(樹種判讀) 등(等)보다 세부적인 구분조사(區分調査)는 MSS 사진(寫眞)의 지상분해능(地上分解能)이 낮아 효과적(効果的)이지 못하였다. MSS 사진(寫眞)을 임업(林業)에 활용(活用)하는 문제(問題)는 앞으로 새로운 센서가 개발 이용(利用)되고 위성자료(衛星資料)를 분석(分析)하고 해독(解讀)하는 정밀한 기재가 확보되면 큰 진전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이프리플라본을 함유한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와 특성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Ipriflavone-Loaded PLGA Microspheres)

  • 이진수;강길선;이종문;신준현;정제교;이해방
    • 폴리머
    • /
    • 제27권1호
    • /
    • pp.9-16
    • /
    • 2003
  • 골다공증 치료제 이프리플라본 (IP)은 조골세포의 분화와 증식을 자극하고 에스트로겐의 존재로 칼시토닌 분비를 강화한다. 조절 가능한 생분해성과 생체적합성으로 인하여 락타이드-글라이콜라이드 공중합체 (PLGA)는 약물방출조절을 연구하는데 가장 적합한 고분자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 IP가 함유된 PLGA 미립구는 일반적인 O/W 용매 증발법으로 제조하였으며, 미립구의 크기는 5~200 $mu extrm{m}$의 범위에 있었다. 미립구의 형태는 SEM으로 관찰하였고, 생체외 방출실험에서 IP 방출량은 HPLC로 분석 하였다. 젤라틴 및 PVA등의 유화제 사용으로 가장 높은 약물 포접율을 얻을 수 있었다. 미립구의 형태, 크기 및 약물 방출 패턴은 PLGA의 분자량 (8, 20, 33 및 90 kg/mol), 고분자용액의 농도 (2.5, 5, 10 및 20%), 유화제의 종류 (PVA, gelatin 및 Tween 80), 초기 약물 함유량 (5, 10, 20 및 30%) 및 교반속도 (250, 500 및 1000 rpm) 등과 같은 여러 제조 변수들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체외 방출실험에서 IP 방출은 제조조건을 조절함으로써 거의 영차방출 형태로 30일 이상으로 지속적이었다 또한, XRD와 DSC로 IP 함유 PLGA 미립구의 물리화학적인 성질을 조사하여 방출메카니즘을 고찰하였다.

Detection of Thermal Effluent Discharged from Nuclear Power Plant Using Airborne MSS and Landsat ETM+

  • Han, Joung-Gyu;Chi, Kwang-Hoon;Yeon, Young-Kwa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323-329
    • /
    • 2002
  • The thermal effluent discharged from nuclear power plants can affect the offshore ecosystem change. The ability of measuring sea surface temperature in high resolution with Airborne MSS thermal spectral band(8.5 $\mu$m ~ 12.5 $\mu$m) and Landsat ETM+(10.4$\mu$m ~ 12.5 $\mu$m) gives us an information of spread range of thermal effluent.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as one of major factors fur analyzing the impact of the fish farm damage around the nuclear power plants. Every season from November 1999,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xtent of diffusion of thermal effluent discharged from KoRi, UlJin and WolSung Nuclear Power Plant located at the coastline of the East Sea of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