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ving line

검색결과 764건 처리시간 0.031초

효율적인 자바언어 학습을 위한 인터넷기반 자율학습시스템의 구현 (An Internet-based Self-Learning Educational System for Efficient Learning of Java Language)

  • 김동식;이동엽
    • 공학교육연구
    • /
    • 제8권1호
    • /
    • pp.71-8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자바 언어를 학습하는데 있어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인터넷 기반 자율학습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자율학습시스템은 JWP(Java Web Player)라고 불리며 Java Web Start 기술을 활용하여 웹상에서 실행이 가능한 자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언어를 학습하는데 있어 3가지 중요한 일련의 과정인 개념학습과정, 프로그래밍 실습과정, 그리고 학습 성취도 평가과정을 Java Web Start 기술을 이용하여 JWP에 통합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학습과정을 교육공학적인 측면에서 멀티미디어 요소를 강화하였기 때문에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자발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더욱이 JWP 에는 효율적인 자바 언어 학습을 위해 학습내용에 대한 설명이 음성으로 출력되며, 이때 이와 관련된 이미지와 텍스트들이 동기화되어 동시에 화면에 표시된다. 더욱이 소스파일의 코딩, 에디팅, 실행 그리고 디버깅 등을 쉽게 할 수 있는 컴파일러가 삽입되어 있어 편리한 자바 언어 실습환경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각 단원별 돌발퀴즈와 마무리 테스트를 통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상황을 체크하여 반복학습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DGPS와 Motion Sensor를 이용한 선박 동적 거동특성 (Dynamic Behavior Character of Vessel Using DGPS and Motion Sensor)

  • 최철웅;김연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43
    • /
    • 2004
  • 다중빔 음향탐사 시스템(Multibeam Echosounder system : MBES)은 넓은 지역을 소해측량(swath)하여 전자해도 제작, 고정밀 DEM 획득, 동영상 제작 등에 활용하는 최신 수로측량기술이다. MBES의 정확도향상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DGPS와 움직임측정센서(Motion senser)의 측정값을 비교 분석하여 선박의 동적 거동특성을 연구하였다. DGPS를 선체 전후, 좌우에 설치하여 측량한 GPS 위치 값의 수신정확도는 Roll은 ${\pm}0.0016^{\circ}$, Pitch는 ${\pm}0.0009^{\circ}$로 움직임측정센서 값의 정확도 평가가 가능한 양호한 정도를 얻었다. DGPS와 움직임측정센서의 Heading, Pitch, Roll 상관관계는 모두 정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각 변화량에 따른 편차량의 상관관계는 정상관 관계이나 탐사선의 급회전, 진동 등과 같은 요소에 의해 편차가 발생 될 것으로 사료된다. GPS에 의한 조위변화량, Heave값은 움직임측정센서 값과 유사하며, GPS속도는 설치장소에 따라 변화가 있어 영향이 가장 적은 선박의 중심선에 설치하는 것이 적당하다. MBES Processor 장치에 입력되는 자이로, 움직임측정센서 값이 DGPS 실시간 관측 값보다 자이로는 15초, Pitch, Roll, Heave는 13초 시간차가 있어 MBES 최종값의 정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M 신호 기반 PCL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 제거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Interference Cancellation Algorithms for an FM Based PCL System)

  • 박근호;김동규;김호재;박진오;이원진;고재헌;김형남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4호
    • /
    • pp.819-830
    • /
    • 2017
  • FM 신호 기반 PCL 시스템은 FM 송신탑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표적의 위치를 추적하는 수동형 레이더 기술로서, 송신탑에서 수신기에 LOS (line-of-sight)로 입사되는 직접경로 신호와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표적반사 신호의 상호 상관 함수를 유도하여 표적의 위치를 추적한다. 하지만, 직접경로 신호와 지형 및 지표면 등에서 반사되는 간섭 신호가 표적반사 신호 획득을 위한 감시 채널에 동시에 측정되며, 이에 따라 표적의 위치를 정확하게 탐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간섭 신호 제거에는 적응 필터가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상호 상관 함수나 적응 필터 입출력 신호의 전력 비율로부터 간섭 신호의 제거 성능을 유도하기 때문에, 정확한 성능 분석이 어려운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필터 계수의 각 성분이 특정한 간섭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유도된다는 특징을 활용하여, 각 간섭 신호 제거 성능을 적응 필터 계수에 대한 함수로 정리한다. 제안한 성능 분석 방법을 기반으로 적응 필터 기법의 성능을 비교 및 분석하여, 제안한 방법이 간섭 신호 제거 성능 분석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재정건전성 담론 해체하기: 미디어담론에 내포된 프레임 구조와 변화를 중심으로 (Interplays among Public Opinion, Public Policy and Discourse: Case Study about the Discursive Structure and Media Politics Surrounding the Fiscal Soundness Policy)

  • 강국진;김성해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3권
    • /
    • pp.5-25
    • /
    • 2013
  • '재정건전성'은 사회적 양극화와 복지강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도 불구하고 적극적 재정정책에 제동을 거는 강력한 반론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재정건전성이란 정부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가리키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지만 객관적인 지표로 확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해당 국가의 잠재력과 경제상황 및 사회적 합의 등에 따라 가변적이다. 어떤 맥락에서 사용하느냐에 따라 진단과 처방이 전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재정건전성이 갖는 정치적 편향성에 대한 문제의식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이를 둘러싼 담론정치를 본격적으로 분석한 연구도 없었다. 이 연구는 재정건전성이라는 정책을 하나의 담론으로 간주하고 이 담론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태도, 관점, 세계관을 파악하고자 했다. 담론을 통한 정치가 어떤 논리 및 감성구조로 진행되는지를 살펴본 연구다. 분석을 통해 정책담론으로서 재정건전성은 감세 긴축과 증세 복지라는 상반되는 두 가지 프레임이 상호 경쟁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감세 긴축 프레임'에선 복지정책 요구에 반대하며 감세 정책을 옹호한다. 이는 감세 긴축 프레임이 공급중시 경제학의 핵심논리인 '낙수효과'와 신자유주의를 내재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증세 복지 프레임'에선 '부자감세'를 비판하고 부자증세, 더 나아가 보편증세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여기에는 신자유주의 비판, 공공성회복과 '국가의 역할' 재고찰이라는 입장이 자리잡고 있다.

  • PDF

환경서비스업과 물류서비스업의 예측 및 인과성 검정 (Prediction and Causality Examination of the Environment Service Industry and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 선일석;이충효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6호
    • /
    • pp.49-57
    • /
    • 2014
  • Purpose - The world now recognizes environmental disruption as a serious issue when regarding growth-oriented strategies; therefore, environmental preservation issues become pertinent. Consequently, green distribution is continuously emphasized. However, studying the prediction and association of distribution and the environment is insufficient. Most existing studies about green distribution are about its necessity, detailed operation methods, and political suggestion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and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together, for green distribu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RIMA (auto-regressive moving average model) was used to predict the environmental service and distribution service industries, and the Granger Causality Test based on VAR (vector auto regressive) was use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This study used 48 quarters of time-series data, from the 4th quarter in 2001 to the 3rd quarter in 2013, about each business type's production index, and used an unchangeable index. The production index about the business type is classified into the current index and the unchangeable index. The unchangeable index divides the current index into deflators to remove fluctuation. Therefore, it is easy to analyze the actual production index. This study used the unchangeable index. Results - The production index of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and the production index of the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consider the auto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rtial autocorrelation coefficient; therefore, ARIMA(0,0,2)(0,1,1)4 and ARIMA(3,1,0)(0,1,1)4 were established as final prediction models, resulting in the gradual improvement in every production index of both types of business. Regarding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s production index, it is predicted that the 4th quarter in 2014 is 114.35, and the 4th quarter in 2015 is 123.48. Moreover, regarding the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s production index, it is predicted that the 4th quarter in 2014 is 110.95, and the 4th quarter in 2015 is 111.67. In a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the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impacts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but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does not impact the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Conclusions - This study predicted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and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with the ARIMA model, and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through the Granger causality test based on the VAR Model. Prediction reveals the seasonality and gradual increase in the two industries. Moreover, the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impacts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but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does not impact the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This study contributed academically by offering base line data needed in the establishment of a future style of management and policy directions for the two industries through the prediction of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and the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and teste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which is insufficient in existing studi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deeper considerations of advanced studies are deficient, and the effect of causality between the two types of industries on the actual industry was not established.

Development and utility evaluation of new Multi-Leaf Collimator for Diagnostic X-ray Equipment

  • Ji, Hoon;Han, Su Chul;Baek, Jong Hyeun;Lee, Dong Hoon;Park, Seungwoo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936-942
    • /
    • 2018
  • The diagnostic multi-leaf collimator preventing unnecessary dose from entering into patients during the diagnostic examination was made in this study. The movement of the entire 50 leaves was embodied with the group of 25 ones thereof configured in a pair facing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median line. Dimensions of the length, width, and height of each shielding leaf were $5{\times}0.5{\times}0.5cm^3$ resulting in the maximum boost field of $10{\times}10cm^2$. The material of multi-leaf collimator had the excellence on the machinability with the use of the SKD-11 alloy tool steel having the high wear resistance against frequent movement, and it was devised to control both-side's shielding leaves by moving 2 motors unlike existing remedial multi-leaf collimator that use as many motors as the number of 50 shielding leaves. Thereafter, the transmission dose of leaves, cross-leaf leakage dose, and inter-leaf leakage dose were measured by the developed multi-leaf collimator attached to X-ray equipment. An ionization chamber was used to detect doses there from,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means of the radiographic film that was easy to detect the dose leakage in between each leaf. Results obtained from the test conducted in comparative analysis yielded approximately 98%, 96%, and 94% of shielding efficiency realized at each level of energy of 80kV, 100kV, and 120kV it was confirmed there was no dose leakage resulted from the varied level of irradiation energy. Thus the multi-leaf collimator to be developed based on this study is thought that it could fully reduce the unnecessary dose to patients in the diagnostic test and the shielding efficiency thereof is expected to be increasing if it is made in a miniaturized form with a way of increasing the thickness of each leaf later for an extended application to general diagnostic purposes.

과거 위치 색인에서 입력/검색 비용 조정을 위한 가변 버퍼 노드 기법 설계 (Design of the Flexible Buffer Node Technique to Adjust the Insertion/Search Cost in Historical Index)

  • 정영진;안부영;이양구;이동규;류근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8D권4호
    • /
    • pp.225-236
    • /
    • 2011
  •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과 컴퓨터의 소형화에 힘입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 응용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대용량의 차량 위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차량 위치 감지 및 전송, 데이터의 삽입 및 검색과 사용자 질의 처리 기술이 요구된다. 이 논문에서는 대용량의 과거 차량 위치 정보를 빠르게 입력, 검색하는 과거 위치 색인을 설계하고 상황에 따라 입력과 검색 비용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버퍼 노드인 기법을 제안한다. 설계된 색인은 GIP+와 같이 효과적인 입력을 위해 버퍼 노드를 사용하고 빠른 검색을 위해 프로젝션 스토리지를 사용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버퍼 노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개수를 조절하여 입력과 검색 비용을 조절할 수 있다. 실험에서는 버퍼 노드 크기에 따라 비단말 노드 수가 달라지며, 이로 인해 입력과 검색 성능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제안된 가변 버퍼 노드 방식은 위치 기반 서비스 응용에 따라 과거 위치 색인의 성능을 조절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SBL방식을 이용한 무인잠수정의 수중초음파 위치측정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coustic Positioning System for ROV using SBL System)

  • 유선철;변승우;김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808-81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수중에서 이동하는 무인잠수정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중의 하나인 단기선 방식(SBL)에 의한 무인잠수정(ROV)의 위치측정 실험을 하이드로폰(Hydrophone)과 DAQ(Data Aquisition)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조에서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서 4개의 하이드로폰 센서를 $3{\times}3{\times}1.7m$의 크기의 수조 벽면에 고정하여 수신 장치로 사용하고, 1개의 하이드로폰 센서는 무인잠수정에 장착하여 송신장치(Pinger)로 사용하였다. 무인잠수정 및 수조 벽에 고정된 센서들이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상호간의 위치추적이 가능하게 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측정된 신호는 DAQ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취득하였고, Lab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무인잠수정의 위치를 계산하여 출력하였다. 위치추정에 사용된 알고리즘은 삼각측량법을 사용하였으며, X, Y방향에 대해서는 비교적 오차가 적은 추정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Z방향에 대하여서는 상대적으로 큰 오차를 보여 위치제어용 데이터로 사용할 수 가 없었다. 이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무인잠수정에 장착된 수심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설계된 위치측정 시스템은 추후 실해역 실험을 거쳐 성능시험을 수행하고자 한다.

지능형 알고리즘 기반 RGBW Dimming control LED 감성조명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GBW Dimming Control Sensitivity Lighting System based on the Intelligence Algorithm)

  • 오성권;임승준;마창민;김진율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59-364
    • /
    • 2011
  • 본 연구는 감성 공학과 인공 지능 알고리즘의 하나인 퍼지 추론을 이용하여 LED 색온도 제어시스템의 체계적인 제어를 위한 퍼지 추론 기반 LED 감성 조명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감성공학 영역에서 하나의 형용사 언어로 표현되는 감성과 색상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감성언어를 결정하고, 인간의 뇌에서 나오는 뇌파의 파장과 색온도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수업과목의 종류를 결정한다. 결정된 감성언어와 수업과목의 종류를 이용하여 RGB LED의 색온도를 조정한다. 더불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 위도와 경도의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태양의 고도를 산출하고, 온도 및 습도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불쾌지수를 산출한다. 결과로 나온 태양의 고도와 불쾌지수의 변화에 따라 LED 조명시스템의 White LED의 조도와 RGBLED의 색온도를 조정한다. 개발된 LED 감성조명 시스템은 상황에 알맞은 분위기를 연출함으로써 학습능력과 업무능력의 효율 향상 등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연속 촬영 이미지를 이용한 Mouse의 운동 능력 평가 시스템 (A New Locomotor Evaluation System for Mouses Based on Continuous Shooting Images)

  • 곽호영;허지순;이원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53-16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연속 촬영 이미지를 이용한 실험용 쥐의 운동 능력 평가 시스탬을 제안한다. 의학이나 수의학 분야에서는 인류의 양질의 삶을 위해 mouse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실험용 쥐(mouse)를 이용한 실험 중에는 인위적인 부상(injury)을 만들고, 다양한 처치를 통하여 그 부상에서 회복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많이 하고 있다. 이러한 실험에서 그 동안의 전통적인 운동량 측정 방법은 사람이 직접 관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제안한 시스템은 실험용 쥐에 대한 움직임을 정해진 단위 시간동안 연속 촬영을 실시하고, 이 연속 촬영된 이미지에서 mouse의 외곽선을 point cloud로 추출한다. 추출된 point cloud를 이용하여 mouse의 몸통에 대한 내부 외곽선(interior contour line)을 다시 추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그 중심점을 구하고, 이들 중심점들을 연결하여 거리를 계산하여 누적함으로써 mouse가 단위 시간동안 이동한 총 거리를 자동 계산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