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se macrophage RAW264.7 cells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34초

Saururus chinenesis Extracts Scavenge Reactive Oxygen Species and Modulate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s

  • Oh, Jang-Hee;Shon, Hee-Kyoung;Oh, Moon-You;Chung, An-Sik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117-127
    • /
    • 2002
  • Saururus chinensis Baill has been used in Korean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such as edema, Jaundice, and furuncle. The components of this plant were extracted into four fraction. Among the four fraction, hexane and ethyl acetate fraction were highly toxic to 3T3 mouse embryo fibroblast and Raw 264.7 mouse macrophage, but n-butanol and residue fraction did not show any toxic effect to those cell lines. n-Butanol and residue fraction exhibited antioxidant effects on hydro-gen peroxide, hydroxyl radical, and superoxide anion directly in vitro and in the 3T3 fibroblasts. All the four fractions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measured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formation. In addition, n-butanol and residue fraction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and also down-regulate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mRNA transcription 6 h after LPS stimulation in Raw 204.7 cells. Only n-butanol fraction, which mainly consists of flavonoids, inhibited NF-kB activation by decreasing IkBa degradation 90 min after LPS stimulation. hor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is plant could be a good candidate material for drug development based on its antioxidant and/or anti-inflammatory constituents.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이 LPS가 유도된 RAW264.7 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lium hookeri Root Methanol Extract in LPS-induced RAW264.7 Cells)

  • 김창현;이미애;김태운;장자영;김현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645-164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에 LPS를 처리한 결과 세포 생존율은 다양한 농도의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은 다양한 농도에서 LPS만을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lpha}$와 IL-6의 생성양 역시 LPS만을 처리한 군과 비교했을 때, 각각의 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의 염증 억제 기작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의 수행과 활성물질의 동정에 관한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져야겠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은 NO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조절함으로써 대식세포 유래의 염증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염증성 매개질환에 탁월한 효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예방물질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ntimicrobial Peptide Periplanetasin-5 Derived from the Cockroach Periplaneta americana

  • Kim, In-Woo;Lee, Joon Ha;Seo, Minchul;Lee, Hwa Jeong;Baek, Minhee;Kim, Mi-Ae;Shin, Yong Pyo;Kim, Sung Hyun;Kim, Iksoo;Hwang, Jae Sa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9호
    • /
    • pp.1282-1289
    • /
    • 2020
  • Previously, we performed an in silico analysis of the Periplaneta americana transcriptome. Antimicrobial peptide candidates were selected using an in silico antimicrobial peptide prediction method. It was found that periplanetasin-5 ha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yeast and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In the present study, we demonstrat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periplanetasin-5 in mouse macrophage Raw264.7 cells. No cytotoxicity was observed at 60 ㎍/ml periplanetasin-5, and treatment decreas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264.7 cells exposed to lipopolysaccharide (LPS). In addition, quantitative RT-PCR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vealed that periplanetasin-5 reduced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α, interleukin-6) expression levels in the Raw264.7 cells. Periplanetasin-5 controlled inflammation by inhibiting phosphorylation of MAPKs, an inflammatory signaling element, and reducing the degradation of IκB. Through LAL assay, LPS toxicity was found to decrease in a periplanetasin-5 dose-dependent manner. Collectively, these data showed that periplanetasin-5 ha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exemplified in LPS-exposed Raw264.7 cells. Thus, we have provided a potentially useful antibacterial peptide candidate with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ntimicrobial Peptide Allomyrinasin Derived from the Dynastid Beetle, Allomyrina dichotoma

  • Lee, Joon Ha;Seo, Minchul;Lee, Hwa Jeong;Baek, Minhee;Kim, In-Woo;Kim, Sun Young;Kim, Mi-Ae;Kim, Seong Hyun;Hwang, Jae Sa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5호
    • /
    • pp.687-695
    • /
    • 2019
  • In a previous work, we performed de novo RNA sequencing of Allomyrina dichotoma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and identified several antimicrobial peptide candidates based on transcriptome analysis. Among them, a cationic antimicrobial peptide, allomyrinasin, was selected bioinformatically based on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Here, we assessed the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llomyrinasin against microorganisms and mouse macrophage Raw264.7 cells. Allomyrinasin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various microbes and decreased the nitric oxide production of the lipopolysaccharide-induced Raw264.7 cells. Furthermore, quantitative RT-PCR and ELISA revealed that allomyrinasin reduced cytokine expression levels in the Raw264.7 cells. We also identifie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expression, and $PGE_2$ production through western blot analysis and ELISA. We confirmed that allomyrinasin bound to bacterial cell membranes via a specific interaction with lipopolysaccharides. Taken together, these data indicate that allomyrinasin has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s exemplified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Raw264.7 cells. We have provided a potentially useful antimicrobial peptide candidate that has both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Effects of Inositol 1,4,5-triphosphate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RANKL-induced Osteoclastogenesis

  • Son, A-Ran;Kim, Min-Seuk;Jo, Hae;Byun, Hae-Mi;Shin, Dong-M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6권1호
    • /
    • pp.31-36
    • /
    • 2012
  • The receptor activator of NF-${\kappa}B$ ligand (RANKL) signal is an activator of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associated factor 6 (TRAF6), which leads to the activation of NF-${\kappa}B$ and other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essential for osteoclastogenesis, such as $Ca^{2+}$ signaling. However, the intracellular levels of inositol 1,4,5-trisphosphate ($IP_3$) and $IP_3$-mediated cellular function of RANKL during osteoclastogenesis are not known. In the present study, we determined the levels of $IP_3$ and evaluated $IP_3$-mediat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osteoclast activity by RANKL treatment of mouse leukemic macrophage cells (RAW 264.7) and mouse bone marrow-derived monocyte/macrophage precursor cells (BMMs). During osteoclastogenesis, the expression levels of $Ca^{2+}$ signaling proteins such as $IP_3$ receptors ($IP_3Rs$), plasma membrane $Ca^{2+}$ ATPase, and sarco/endoplasmic reticulum $Ca^{2+}$ ATPase type2 did not change by RANKL treatment for up to 6 days in both cell types. At 24 h after RANKL treatment, a higher steady-state level of $IP_3$ was observed in RAW264.7 cells transfected with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tagged pleckstrin homology (PH) domains of phospholipase C (PLC) ${\delta}$, a probe specifically detecting intracellular $IP_3$ levels. In BMMs, the inhibition of PLC with U73122 [a specific inhibitor of phospholipase C (PLC)[ and of $IP_3Rs$ with 2-aminoethoxydiphenyl borate (2APB; a non-specific inhibitor of $IP_3Rs$) inhibited the generation of RANKL-induced multinucleated cells and decreased the bone-resorption rate in dentin slice,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racellular $IP_3$ levels and the $IP_3$-mediated signaling pathway play an important role in RANKL-induced osteoclastogenesis.

RAW 264.7 대식세포와 궤양성 대장염 마우스 모델에서의 들깨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erilla frutescens Britton Seed in RAW 264.7 Macrophages and an Ulcerative Colitis Mouse Model)

  • 이유나;송보람;주지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1-6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생 들깨와 볶은 들깨의 염증매개물질 감소 효과를 RAW 264.7 대식 세포와 궤양성 대장염이 유도된 마우스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LPS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들깨의 에탄올 추출물은 볶음 여부와는 관계없이 NO, IL-6, TNF-${\alpha}$와 같은 염증매개물질 수준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대조군 대비 45-85% 수준)가 있었다. 반면 DSS 처리에 의해 궤양성 대장염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에서는, 볶은 들깨 식이(1%)만이 대장의 $PGE_2$, $LTB_4$와 같은 염증매개물질 수준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각각 대조군 대비 34%, 58% 수준)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볶은 들깨는 in vitro 항염성 뿐 아니라 in vivo 항염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들깨의 볶음 과정에서 생성된 항염 기능 성분들을 분리 동정하는 연구와 볶은 들깨의 항염성과 관련된 기전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볶은 들깨가 대장염을 포함한 여러 염증관련 질병 예방에 유용한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치마버섯균 유래의 베타글루칸에 대한 사료첨가제로서의 대식세포 기능 활성 및 유방암 세포주에서의 항암효능 효과 (Macrophag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Feed Additives on β-Glucan from Schizophyllum commune in Breast Cancer Cells)

  • 이진석;이성호;장용만;이종대;이병희;정지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949-955
    • /
    • 2011
  • 치마버섯에서 추출한 베타글루칸을 Raw 264.7 세포에 처치한 후 MTT assay로 측정한 결과 베타글루칸 400 ${\mu}g$/mL까지에 의한 세포독성은 없었다. 대식세포의 활성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Raw 264.7 세포에서 NO와 TNF-${\alpha}$의 생성을 측정하였다. 베타글루칸을 대식세포에 24시간 처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 시 NO와 TNF-${\alpha}$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 이 결과 베타글루칸이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 사용된 베타글루칸은 면역강화용 사료첨가제로서의 의미가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MDA-MB-231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시행하였다. 400 ${\mu}g$/mL 베타글루칸을 48시간 처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 시 유방암 세포의 성장이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리고 베타글루칸이 유방암 세포에서 성장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누드마우스에 MDA-MB-231 유방암 세포를 접종하였다. 베타글루칸의 용량은 대조군(0 ${\mu}g$/mouse), 저용량(200 ${\mu}g$/mouse), 고용량(400 ${\mu}g$/mouse)으로 설정하여 누드마우스에 경구투여 하였다. 이 결과 저용량군(200 ${\mu}g$/mouse)이 고용량군(400 ${\mu}g$/mouse)보다 항암효능이 더 많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MDA-MB-231 유방암 세포주에서 베타글루칸이 종양 성장이 감소하였지만, 그 결과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 본 연구에서 사용한 용량에서는 베타글루칸이 MDA-MB-231 유방암 세포주에서 종양 성장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독성이 무해한 것으로 판단되어 면역강화용 사료첨가제로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사료된다.

정상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콜히친의 Interleukin-1 수용체 길항제 생성자극 (IL-1Ra Elaboration by Colchicine Stimulation in Normal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 이재형;김상헌;김태형;손장원;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2호
    • /
    • pp.145-153
    • /
    • 2007
  • 연구배경: 천식은 기류장애, 기도과민성 및 기도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콜히친은 안전하고 저렴한 항염증 면역조절제로서 천식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IL-1Ra는 천식을 포함한 인체 내 염증질환에 있어 항염증효과를 매개하는 대표적인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도 내에서 콜히친에 의한 항염증작용이 IL-1Ra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실험적으로 증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와 RAW 264.7 세포, BALB/c 쥐에게 콜히친을 투여한 후 IL-1Ra의 생성을 ELISA, Western분석, RT-PCR 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정상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콜히친의 투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또한 투여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IL-1Ra의 생성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IL-1Ra의 증가는 대표적인 MAPK경로 억제제인 PD98059에 의해 억제되었다. 콜히친의 IL-1Ra 자극효과는 BALB/c 쥐의 기관지 폐포세척액과 폐조직에서도 관찰되었다. 결론: 기도에서 콜히친은 생체 내와 생체 외에서 IL-1Ra의 생성을 유도하고 IL-1Ra를 통한 항염증 작용을 할 것으로 보이며, 적어도 콜히친에 의한 IL-1Ra의 생성에는 MAPK경로가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우스 Collectin-Placenta 1 유전자의 발현 연구 (Expression Study of The Mouse Collectin-Placenta 1 Gene)

  • 김근호;김연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77-484
    • /
    • 2019
  • 포유류에 존재하는 Collectin-Placenta 1 (CL-P1)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scavenger 수용체는 주로 내피 세포, 대식 세포 및 평활근 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분자이다. 이들 분자는 산화 된 저밀도 지질 단백질 (oxLDL)에 결합하여 처리 할 수 있는 세포 표면 당 단백질이다. 이들 분자 중 케르세틴이 CL-P1 활성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였다. 케르세틴은 산화 반응을 담당하는 자유 라디칼의 제거제 역할을 하여 산화를 중지시키는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우스 CL-P1 유전자 promoter 부분의 전사 시작 점부터 -500 번째 염기까지의 단편을 DNA 중합효소를 이용하여 클로닝 하였다. 그 후에 대식세포 계열인 RAW264.7 및 섬유아세포계열의 NIH3T3 세포에 도입하여 케르세틴이 CL-P1 유전자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이 부위에는 세포주기 조절 인자인 E2F 결합부위를 비롯해서 여러 종류의 전사 인자가 결합하는 염기서열이 다수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500염기 단편을 pGL4.10 기본 벡터 및 프로모터에 연결시킨 후 세포에 도입시켰다. 그리고 배양 중에 케르세틴을 처리하여 유전자 발현양을 형광 색소 발현기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유전자 발현이 시작되는 앞쪽 부분의 -250에서 -350사이의 염기들이 CL-P1 단백질을 만드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중에서도 E2F결합 부위가 결정적인 것 이라는 것을 DNA 돌연변이 실험을 통해 확인 하였다. 또한 부착 세포인 RAW264.7 배양액에 케르세틴을 첨가 한 결과, 배양용기 표면에서 탈락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즉 발현된 CL-P1단백질이 케르세틴에 의해 세표 표면의 부착 분자에도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Hangambujeongsan or Kangai Fuzheng Powder shows the anti-cancer effect by enhancing macrophage activation

  • Yang, Wan-Quan;Han, Hyung Soo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6
    • /
    • 2014
  • Objectives : Many of currently used anti-cancer drugs were developed to target cell death mechanisms and had serious side effects by causing damage to normal cells. Hangambujeongsan or Kangai Fuzheng Powder was a mixture based on th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t had been used in the local Chinese hospitals to treat cancer patients for decades and had shown a certain level of beneficial effects without major toxic effects. But its mechanism of action had not been elucidated yet. Thu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angai Fuzheng Powder in an in vitro experiment. Methods : Cancer lines or RAW264.7 mouse macrophage cells were treated with Kangai Fuzheng Powder.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and morphological observation was also performed. Gene expression of cytokines in macrophages was determined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hagocytic function assay was also performed in macrophage cells. Results : Kangai Fuzheng Powder had no direct detrimental effect on cancer cells. When macrophages were co-cultured with cancer cells, Kangai Fuzheng Powder had toxic effect on cancer cells. After exposing macrophages to Kangai Fuzheng Powder, macrophages transformed into activated form and the mRNA level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1beta, interleukin-6, interleukin-10 and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was significantly enhanced. Phagocytic activity of macrophages was dramatically potentiated. Conclusions : We demonstrated that anti-cancer effect of Kangai Fuzheng Powder was related to activation of macrophages including enhanced cytokine production and phagocytic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