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se liver

검색결과 745건 처리시간 0.032초

Gentiopicroside Ameliorates the Progression from Hepatic Steatosis to Fibrosis Induced by Chronic Alcohol Intake

  • Yang, Hong-Xu;Shang, Yue;Jin, Quan;Wu, Yan-Ling;Liu, Jian;Qiao, Chun-Ying;Zhan, Zi-Ying;Ye, Huan;Nan, Ji-Xing;Lian, Li-Hua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8권4호
    • /
    • pp.320-327
    • /
    • 2020
  • In current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gentiopicroside (GPS) derived from Gentiana manshurica Kitagawa could block the progression of alcoholic hepatic steatosis to fibrosis induced by chronic ethanol intake. C57BL/6 mice were fed an ethanol-containing Lieber-DeCarli diet for 4 weeks. LX-2 human hepatic stellate cells were treated with GPS 1 h prior to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stimulation, and murine hepatocyte AML12 cells were pretreated by GPS 1 h prior to ethanol treatment. GPS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ype I collagen (collagen I), α-smooth muscle actin (α-SMA)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 protease 1 in ethanol-fed mouse livers with mild fibrosis. In addition, the imbalanced lipid metabolism induced by chronic ethanol-feeding was ameliorated by GPS pretreatment, characterized by the modulation of lipid accumulation. Consistently, GPS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ollagen I and α-SMA in LX-2 cells stimulated by TGF-β. Inhibition of lipid synthesis and promotion of oxidation by GPS were also confirmed in ethanol-treated AML12 cells. GPS could prevent hepatic steatosis advancing to the inception of a mild fibrosis caused by chronic alcohol exposure, suggesting GPS might be a promising therapy for targeting the early stage of alcoholic liver disease.

뽕잎 당단백질의 혈중지질 저하 효과 및 항산화 효과 (Glycoprotein Isolated from Morus indica Linne Enhances Detoxicant Enzyme Activities and Lowers Plasma Cholesterol in ICR Mice)

  • 심재웅;임계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91-695
    • /
    • 2008
  • 본 연구는 콜레스테롤 억제효과가 밝혀진 뽕잎에서 당단백질을 추출하여 과산화지질 라디칼 억제능력 및 생쥐의 혈장 콜레스테롤 수준과 간 해독효소 활성의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In vivo에서 생쥐에게 뽕잎 당단백질을 20 mg/kg의 농도로 섭취시킨 후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알아보고, 한편, Triton WR-1339를 투여한 생쥐 그룹에서 혈액 및 간 조직을 적출하여 혈장 콜레스테롤의 수준 변화 및 해독효소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20 mg/kg의 농도로 뽕잎 당단백질을 섭취시킨 생쥐그룹에서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의 수준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HDL의 경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riton WR-1339를 투여한 고지혈증을 유도한 생쥐 그룹에서도 뽕잎 당단백질의 농도에 따른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의 유의적인 저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간의 해독효소 중 항산화 기능을 가지고 있는 SOD, CAT 그리고 GPx의 활성은 뽕잎 당단백질의 섭취에 의해 모두 증가하였으나 특히 SOD, CAT의 활성이 크게 나타났고, 그에 비하여 GPx는 그 유의적 차를 느끼기 어려울 정도의 변화 뿐이었다. 일반적으로,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당단백질은 항산화 능력을 가지고 있고, 또한 이런 항산화제는 동맥 혈관조직이나 백혈구를 손상시키는 체내에서 발생된 ROS를 제거하고 체내 혈장지단백질 수준에 있어서 반비례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혈장 콜레스테롤 수준을 억제할 수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4,25,26). 따라서 이러한 결과에 미루어볼 때, 뽕잎 당단백질 역시 간 내해독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체내의 ROS 수준을 감소시키고, 콜레스테롤의 수준을 낮추었으므로 뽕잎 당단백질의 역할이 다른 천연물 유래의 당단백질과 마찬가지로 지단백질과 반비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항산화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앞으로 HMG-CoA reductase에 의한 콜레스테롤 생성과 그게 관련된 유전자 발현 및 그 기전을 분자생화학적인 수준에서 보충적인 연구가 더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초오약침의 단회 및 4주 반복 투여 독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ingle-dose and 4 Weeks Repeated-dose Toxicity of Aconitum ciliare Decaisne Pharmacopuncture)

  • 이현수;이윤규;이봉효;김재수;임성철;이현종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4권4호
    • /
    • pp.241-250
    • /
    • 2017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toxicity of Aconitum ciliare Decaisne pharmacopuncture(ADP). Methods : The toxicity was evaluated for lethal dose for 50 percent kill(LD50), single dose and repeated dose for 4 weeks. Toxic symptoms, weight measurement, hematological test, blood biochemical test, visual examination and weight measurement of major organs and histopathological test were observed for 4 weeks. Dose of 300, 600, 1,200, 2,400, 3,600, 4,800, 6,000, 7,200 mg/kg in the LD50 experiment, 300, 600, 1,200 mg/kg/day in the single experiment, 150, 300, 600 mg/kg/day in 4 weeks experiments were injected into BALB/c mice. The ADP was injected into ST36 of the right leg. Normal saline solution of same volume was used for control group. In 24 hours after the last treatment, blood samples were taken after anesthesia by inhalation of ethyl ether. After that, the BALB/c mice were euthanized. Their heart, lungs, kidneys, liver and reproductive organs were removed and weighed.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was also performed. Results : ADP's LD50 was measured at 6,000 mg/kg. In both single and repeated dose toxicity test, no BALB/c mouse died during the experiments. ADP treatment for 4 week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in toxic symptoms, weight measurement, hematological test, blood biochemical test, visual examination and weight measurement of major organs and histopathological test. Conclusions : As a result, ADP's LD50 was 6,000 mg/kg and repeated dose at a concentration of 600 mg/kg or less is considered to be not harmful for clinical treatment.

뽕나무(Morus alba)와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의 수용성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by Water-Soluble Extract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 김현정;차재영;최명락;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148-152
    • /
    • 2000
  • 뽕나무(Morus alba) 및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의 잎과 줄기 껍질의 수용성 추출물에 대하여 in vitro 실험계에서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성장기 마우스의 간장 microsome을 이용한 생체막 지질 과산화 억제정도는 꾸지뽕나무 줄기 껍질(53%)>뽕나무 줄기 껍질(43%)>꾸지뽕나무 잎(38%)>뽕나무 및(34%) 순으로 나타났다. Linoleic acid산화 실험계에서는 꾸지뽕나무 줄기 껍질과 뽕나무 잎의 추출물이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꾸지뽕나무 줄기 껍질의 추출물은 반응 8일째까지 강한 활성을 보였다. TBA method에서는 뽕나무 줄기 껍질이 다른 것에 비해 약간 강한 활성을 보였으며, 또한 DPPH에 의한 수소공여능은 각 시료첨가 0.05%에서 뽕나무 잎>꾸지뽕나무 잎>통나무 줄기 껍질>꾸지뽕나무 줄기 껍질 순으로 나타나 및 추출물에서 비교적 수소공여 작용이 강하였다. 이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뽕나무 잎(1.32%), 뽕나무 줄기 껍질(1.28%), 꾸지뽕나무 잎(1.34%), 꾸지뽕나무 줄기 껍질(1.30%)로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생쥐 태아 및 성체 조직에서의 N-Methylpurine-DNA Glycosylase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N-Methylpurine-DNA Glycosylase Gene during Fetal Development and Adult in Mice)

  • 손태종;김남근;이숙환;한세열;고정재;박찬;이우식;이찬;이용희;차광열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3권1호
    • /
    • pp.101-105
    • /
    • 1999
  • N-Methylpurine-DNA glycosylase (MPG)는 DNA에서 N-methylpurine과 다른 손상된 purine기를 제거하는 DNA 회복 효소이다. 생쥐의 임신 8일 후의 태아조직부터 생후 400일까지의 조직들로부터 RT-PCR 방법으로 MPG mRNA 발현을 조사하였다. MPG mRNA는 태아 형성기동안 많은 양이 발현되었으며, 특히 15일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었다. 태반에서의 MPG mRNA는 8 p.c. (post coitum)부터 18 p.c. 까지 계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태아 형성기의 뇌와 간 조직에서 높은 mRNA 발현을 보였으나, 400일 되는 성체에서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부정소, 정낭, 정소, 정관, 난소, 난관 그리고 자궁 등의 생식기관에서의 MPG mRNA는 비교적 높게 발현되었고, 그들 중 부정소에서의 발현 정도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MPG 유전자는 태아 발생단계 및 조직 특이적으로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산수유 산약 지각 상엽으로 구성된 복합처방투여가 고지방, 고탄수화물 식이로 유발된 비만형 당뇨병 동물모델의 대사인자 및 지방세포 염증반응 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in Metabolism and Adipocyte Inflammation Induced by the Complex Herbal Medicine composed of Cornus officinalis, Dioscorea rhizoma, Aurantii fructus, Mori folium in Obese Type 2 Diabetes Mouse Model)

  • 한수련;백선호;권오준;안영민;이병철;안세영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84-199
    • /
    • 2012
  • Objectives: There is a steady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obesity worldwide and obesity is often accompanied by inflammation. Although much emphasis has been placed on the adipose tissue inflammation in obesity, a study with herbal medicine is few.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a complex herbal medicine (CHM) composed of Cornus officinalis, Dioscorea rhizoma, Aurantii fructus, and Mori Foliumon on obese type 2 diabetes mice. Methods: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obesity were induced by Surwit's high fat, high sucrose diet for 8 weeks. Mice were divided into ND (normal diet, n=10), HFD (high fat and high sucrose diet, n=10), CHM (high fat and high sucrose diet with complex herbal medicine, n=10) and Met (high fat and high sucrose diet with metformin, n=10) groups. The body weight, fructosamine and OGTT (oral glucose tolerance test) were measured. After 8 weeks the blood samples of all mice were taken from the heart, and lipid profiles were measured. Epididymal fat pad, histological size of the adipocyte tissue and liver weights were measured. Inflammatory markers such as leptin and adipocyte tissue macrophage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HM on adipocyte tissue inflammation. Results: Compared with the HFD group, there was an improvement in OGTT and epididymal fat decreased in the CHM group. White adipocyte size and adipocyte tissue macrophage decreased in CHM group.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M has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in high fat, high sucrose diet induced obese mice.

부자사심탕(附子瀉心湯)이 산화적 손상, 염증 및 골관절염 병태모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jasasim-tang Ethanol Extract on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Osteoarthritic Rat Model)

  • 우창훈;오민석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35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ujasasim-tang ethanol extract (BST) on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osteoarthritic rat model. Methods To ensure safety of BST, heavy metal levels were measured and cytotoxicity test was done. In vitro, To evaluate antioxidative effects of BST, total phenolic content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scavenging activit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were measured. Also, to evaluat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ST treated group, total nitric oxide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L-$1{\beta}$, IL-6, TNF-${\alpha}$) levels were measured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In vivo, We injected MIA $50{\mu}l$ (60 mg/ml) into knee joints of rats to induce osteoarthritis. Rats were divided into total 3 groups (normal, control, BST treated group, each n=7). Normal group was not treated at all without inducing osteoarthritis and taken normal diet. Control group was induced osteoarthritis by MIA and taken with 2 ml of distilled water once a day for 4 weeks. BST treated group was induced osteoarthritis by MIA and taken BST 2 ml (200 mg/kg/mouse) once a day for 4 weeks. We evaluated dynamic weight bearing with the Incapacitance Test Meter. At the end of experiment, the rats were sacrificed to observe the functions of liver and kidney, changes of WBC, neutrophil, lymphocyte, monocyte levels in blood, to evaluate the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eteinases-1 (TIMP-1),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prostaglandin $E_2$ ($PGE_2$), leukotriene $B_4$ ($LTB_4$) within serum. We observed change of articular structures by Hematoxylin & Eosin (H&E), safranin-O staining method and measured amount of cartilage by micro CT-arthrography.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unpaired student's t-test with significance level at p<0.05 in SPSS 11.0 for windows. Results 1. Safety of the BST was identified. 2. AST, ALT, BUN, creatinine levels of BST treated group were within normal limit. In vitro, 1.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BST showed dose-dependent increase. 2. ROS produc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3. Total nitric oxide (NO) and IL-$1{\beta}$ production were decreased. 4. IL-6 and TNF-${\alpha}$ produc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vivo, 1. Weight bearing a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2. WBC, neutrophil, lymphocyte, monocyte levels in blood were decreased. 3. IL-$1{\beta}$ and TNF-${\alpha}$ levels in serum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IL-6 level was decreased. 4. TIMP-1, MMP-9, $LTB_4$, $PGE_2$ levels in serum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5. Cartilage volume of BST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lso changes of cartilage, synovial membrane, fibrous tissue were suppressed. Conclusion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Bujasasim-tang have effects of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relieve pain and protection of cartilage. Therefore we expect that Bujasasim-tang is effective treatment for osteoarthritis.

방사성(放射性) 스트론듐의 체내오염(體內汚染)에 대한 응급처치제(應急處置劑)의 효과(效果) (Effect of First-Aid Drugs on Internal Contamination of Radiostrontium)

  • 정인용;김태환;진수일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4권1호
    • /
    • pp.16-23
    • /
    • 1989
  • 방사성 물질 체내 오염에 대한 진단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85}SrCl_2\;1{\mu}Ci$를 NIH(GP) 마우스의 복강내 투여로 체내 오염시키고, $CaNa_3DTPA$ 8.4 mg, sodium alginate 5 mg 및 saline 5 ml등을 병행 투여로 응급 처치한 후 경과 시간에 따라 도살 부검하여 중요 장기 및 배설물의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방사성 스트론튬에 대한 단기간의 유효 반감기는 33 시간으로 나타났으며 각 처치제의 배설효과는 $CaNa_3DTPA$가 4.7배, sodium alginate가 1.7배, 그리고 saline이 2.4배 이었다. 스트론튬 단독 투여군의 체내 축적은 척추(脊椎), 대퇴골(大腿骨), 흉골(胸骨), 간장(肝臟)의 순이었으며, 배설 경로는 요(尿) 35.4%, 변(便) 64.4% 및 기타 0.2%이었고, $CaNa_3DTPA$ 및 saline 투여군은 주로 뇨, 그리고 sodium alginate 투여군은 변(便)을 통하여 배설하였다. 이로부터 방사성 스트론튬 체내 오염에 대한 응급 처치는 $CaNa_3DTPA$, sodium alginate 및 saline등을 병행 투여함으로써 방사선 피폭을 경감시킬 것으로 사료 되었다.

  • PDF

녹차종자 메탄올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Green Tea Seed)

  • 양희선;김재용;김홍출;노일섭;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69-773
    • /
    • 2006
  • 녹차종자를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녹차 종자메탄올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녹차 메탄올추출물의 생리활성과 비교하였다. 녹차 메탄올추출물기 수소공여능은 $100{\mu}g/mL$ 농도 이상에서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녹차종자 메탄올추출물은 $1000{\mu}g/mL$ 농도에서 21.86%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녹차종자 및 녹차 메탄올추출물이 $1000{\mu}g/mL$ 농도로 처리된 흰쥐의 간 균질물에서 MDA의 생성량이 대조구의 86 Mol/g에 비하여 각각 60 및 50 Mol/g로 낮게 나타내어 이들 추출물은 항산화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녹차종자 및 녹차 메탄올추출물은 $1000{\mu}g/mL$ 농도에서 A549 및 SW480 세포에 대하여 각각 20%, 50% 이상의 성장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녹차종자 메탄을 추출물이 $500{\mu}g/mL$의 농도 처리된 암세포는 대조구에 비하여 상대적인 세포 수의 감소되었으며, 심한 형태학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대식세포 RAW264.7에 녹차 및 녹차종자 메탄을 추출물이 1, 10, 100및 $1000{\mu}g/mL$의 농도로 처리 하였을 때, 이들 추출물은 $100 {\mu}g/mL$ 농도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NO(nitric oxide)의 생성을 유도하였으며, $100{\mu}g/mL$의 농도에서 그 농도는 각각 0.77와 2.04 uM로서 녹차종자 메탄을 추출물이 녹차 메탄을 추출물보다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지방변성증에서 홍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against Alcohol-induced Hepatosteatosis)

  • 김선주;기성환;이상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17-322
    • /
    • 2015
  • 알코올에 의한 지방간(지방변성증)은 에탄올 대사에 의해 감소되는 당량의 과도한 발생에 의해 유발된다. 일반적으로 만성적인 에탄올 투여는 간 지질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c (SREBP-1c)를 조절함으로써 지방변성증을 유발시킨다. SPEBP-1c에서 에탄올의 영향은 간에서의 지방대사를 조절하는 NAD+ 의존적 단백질 탈아세틸화효소인 mammalian sirtuin-1 (SIRT-1)에 의해 조정된다. 홍삼은 항당뇨와 항비만 효과를 위해 아시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한약재이다. 홍삼의 약리학적 치료학적인 효과는 진세노사이드와 같은 생물활성 성분에 의해 주로 일어난다. 따라서 우리는 마우스 간세포주인 AML-12 세포에서 SREBP-1과 SIRT-1에대한 한국홍삼 추출물의 조절효과를 평가하였다. 알코올과 홍삼추출물(0-1,000 μg/ml)을 AML-12 세포주에 처리하고, 지방소립을 Oil red O 염색법으로 확인하고, western blots을 사용해 SIRT-1과 SREBP-1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에탄올을 처리한 세포에서 홍삼추출물은 SIRT-1과 SREBP-1c의 발현을 회복시켰다. 또한 에탄올이 처리된 세포에서 홍삼추출물과 진세노사이드 Rb2와 Rd가 SREBP-1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결과적으로 홍삼과 활성 진세노사이드 성분인 Rb2와 Rd가 SIRT-1과 간 지질대사를 변화시키는 SREBP-1c의 아세틸화의 조절을 통해 알코올에 의한 간지방변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