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nting period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4초

Peri-estrus activity and mounting behavior and its application to estrus detection in Hanwoo (Korea Native Cattle)

  • Si Nae Cheon;Geun-Woo Park;Kyu-Hyun Park;Jung Hwan Je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4호
    • /
    • pp.748-758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activity and mounting behavior in Hanwoo (Korean Native Cattle) during the peri-estrus period and its application to estrus detection. A total of 20 Hanwoo cows were fitted with a neck-collar accelerometer device, which measured the location and acceleration of cow movements and recorded the number of instances of mounting behavior by the altitude data. The data were analyzed in three periods (24-, 6-, and 2-h period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or 5 days after the prostaglandin F2α (PGF2α) injection, and the concentrations of estradiol, progesterone, follicle-stimulating hormone, and luteinizing hormone were determin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Activity and mounting behavior recorded over 2-h periods significantly increased as estrus approached and were more efficient at detecting estrus than over 24- and 6-h periods (p < 0.05). Endocrine patterns did not differ with the variation of individual cows during the peri-estrus period (p > 0.05). Activity was selected as the best predictor through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However, activity alone is not enough to detect estrus. We suggest that a combination of activity and mounting behavior may improve estrus detection efficiency in Hanwoo.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validate the findings on a larger sample size.

근대 자수백수백복자도 병풍(百壽百福 字圖屛風)의 보존 - 미국 포틀랜드박물관 소장 《자수백수백복자》10폭 병풍을 중심으로 - (Conservation Treatment of a Modern-period Folding Screen with Embroidered Character Design)

  • 박미선;천주현;장연희;박지원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3권
    • /
    • pp.17-30
    • /
    • 2020
  • 본 연구는 2016년 한국실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미국 포틀랜드박물관 소장 자수백수백복자도병풍의 보존과 조사 결과이다. 자수백수백복자도병풍은 10폭으로 이전에 표구되어 원래의 장황은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보존처리 과정에서 이전 병풍 장황에 대해 추정할 수 있는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면 상·하단에 청색으로 상·하 회장을 두르고 각 폭에 사용한 보라색 띠를 사용하는 등 조선시대 병풍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배색을 사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원형의 장황이 많이 남지 않은 백수백복자도병풍의 장황에 대해 접근할 수 있었다. 다만 본 연구는 한 병풍에 관한 연구이므로 유사한 시기에 제작된 병풍의 장황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무선원격측정에 의한 소의 승가행위 검출 (Mounting Activity Detection of Cows by Radiotelemetry)

  • 홍원표;조한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6권5호
    • /
    • pp.481-486
    • /
    • 2001
  • To increase the production efficiency in dairy industry, proper artificial insemination is the most important operation. For the successful artificial insemination, accurate estrus detection is required. The Korean dairy farmers usually depended on visual observation for estrus detection of cows. Mounting behaviour is one of major inidications observed when cows are at an estrus. A mounting activity detection system for cows using radiotelemetry was developed. This system included a transmitter with a pressure switch, a receiver, a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a personal computer and a computer software. All components and a whole system were tested both in a laboratory and in a far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ll components including transmitter, receiver and serial interface were operated according to the design specification. 2. A whole system tested with simulated mounting activity of 400 times showed 100% of success rate. 3. In the farm test for 4 days with three cows expecting estrus, one cows experiencing mounting activities showed correct response with this system. However two cows did not show mounting activities because of weak estrus and cold weather during the testing period.

  • PDF

상족중 회전섶 포르말린훈증 소독효과 (Effect of Formalin Fumigation on Rotatory Cocooning Frame during Mounting Period)

  • 설광열;양성열;이상풍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7-99
    • /
    • 1991
  • 다회육시 회전섶을 소독할 여유없이 재사용하므로서 누에병발생의 가장 큰 오염원이 될 가능성이 크므로 이를 상족중에 포르말린으로 훈증처리하여 소독효과 및 사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 검토하였다. 소독후 회전섶 먼지를 채취하여 도말급상법으로 소독효과를 검토한 결과 훈증소독구에서 첨식 6일째까지 82%의 병잠이 발생하여 실용적 소독효과가 거의 없음을 보였고 또한 훈증처리한 구의 고치 실풀림새율이 41%로 극히 불량하여 사질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상족중 포르말린 훈증소독방법은 전혀 의미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인삼이 흰쥐의 성 행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anax Ginseng upon mating Behavior of Male Rats)

  • 김철;최현;김정진;김종규;김명석;안병태;박형진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8권1호
    • /
    • pp.15-22
    • /
    • 1974
  • The influence, upon male rat's mating behavior, of Korean Panax Ginseng administered for 3 and 5 days was investigated by direct behavioral observation and also by counting the number of copulation plugs the animals deposited. Four쇼-four male albino rats were used. Part of the animals received ginseng for 3 days (ginseng-3 day group, N= 12) or for 5 days(ginseng-5 day group, H=10), while the remaining animals received saline for 3 days (saline-3 day group, N=12) or for 5 days (saline-S day group, N=10). Each animal belonging to the 2 ginseng groups received subcutaneously 0.5 ml/100 g body weight of ginseng alcohol extract solution (4 mg of the ethyl alcohol extract in 1 ml of physiological saline), and each rat belonging to the 2 saline groups received the same amount of saline per day. During the dark period of the light-dark cycle on the next day following the last drug administration, a female rat in the artificial estrus was introduced to each male and the mating behavior was observed for 45 minutes. The observation session was divided into two parts and, in the early part which terminated with the first ejaculation and succeeding intromission, following behavioral measures were taken: mounting latency, intromission latency, inter-intromission period, ejaculatory latency(time from the first intromission until the first ejaculation), occurrence of mounting with intromission, occurrence of mounting without intromission, and postejaculatory interval. Behavioral measures taken in the later part of the session after the first ejaculation were: occurrence of mounting with intromission, occurrence of mounting without intromission, and occurrence of ejaculation. Immediately after the behavioral observation session the experiment turned to measure, for 10 days, the number of copulation plug which each pair of rats deposite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fter several mountings mounting with intromission, males of the 2 ginseng groups finished the first ejaculation significantly earlier than the corresponding 2 saline groups did. 2. The postejaculatory latency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ginseng-5 day group compare with the value of the saline-5 day group and also compared with the value of the ginseng-3 day group. 3. The 2 ginseng groups ejaculated significantly more often in 45 minutes' observation session than the corresponding 2 saline groups did. 4. The number of copulation plug deposited in 10 days by the animals of the 2 ginseng groups. significantly exceeded the number deposited by the corresponding 2 saline group animals. The animals of the ginseng-5 day group deposited copulation plugs significantly more than the animals of the ginseng-3 day group did. It is inferred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e ginseng facilitates mating behavior of male rats, and that the degree of facilitation may be influenced by the duration of drug administration.

  • PDF

궁중 의례용 일월오봉도 병풍의 장황에 관한 고찰 - 초록색 회장 비단과 금박 장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s of Mounting the Five Peaks Screen - With the focus on green bordering silk and gilt ornamentation)

  • 박윤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1호
    • /
    • pp.243-263
    • /
    • 2022
  • 조선 왕실에서는 영원불멸한 왕의 존재와 권위를 나타내고자 일월오봉도로 병풍을 만들어 왕의 공간마다 설치하였다. 일월오봉도는 궁궐의 가장 대표적인 의장물로 알려져 있지만, 다양한 형태로 제작했던 병풍의 실체에 대해서는 제대로 연구된 바가 없다. 이것은 현재 전하는 유물이 기록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본 글에서는 의궤를 중심으로, 왕실 의례에 사용했던 일월오봉도 병풍의 다양한 생김새와 장황 재료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동안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일월오봉도 병풍의 원형과 변형 과정까지 함께 고찰하였다. 의례용으로 제작한 왕실의 병풍들은 예식과 법도에 따라 엄격하게 제작되었고, 각각이 갖는 위상에 따라 장황에 사용하는 재료 또한 차등을 두었다. 궁궐의 정전(正殿)과 빈전(殯殿), 혼전(魂殿), 진전(眞殿)에 설치했던 오봉병과 궁중연향을 위해 제작했던 오봉병은 생김새와 크기는 모두 다르지만, 병풍을 꾸미는 비단 회장(回粧)은 일치하였다. 대체로 초록색 비단으로 가장자리를 두르고, 그 위에 꽃문양의 금박을 장식하였다. 쪽풀로 염색한 초록색 비단은 원료를 수입해야 하는 값비싼 붉은 색 비단을 대신하였으며, 영조22년 '문단(紋緞) 금지 조치' 이후에는 무늬없는 초록색 평직 비단을 사용했다. 그나마 비단에 올린 금박 첩금으로 인해 사대부가의 병풍과 차별되는 궁중 의례용 병풍의 장식미를 더하였다. 일제강점기 동안 방치되었던 조선왕실의 병풍들은 1960년대부터 유물을 관리하는 차원에서, 보존처리가 이루어졌다. 그 과정에서 장황이 개장(改粧)되었고, 원형의 모습을 많이 잃게 되었다. 이것은 전통의 장황 문화가 단절된 것이 가장 주된 원인이었다. 과거에는 고증의 부족으로 문화재를 온전하게 보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면, 지금부터는 각 분야에 축적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고증을 철저히 하고, 문화재의 수리 이력에 대한 정보까지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A New Material for Rapid and Easy Method of Plant Surface Imprinting

  • Bhat, R.B.;Etejere, E.O.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4호
    • /
    • pp.329-332
    • /
    • 1985
  • A simple new device for obtaining very clear epidermal imprints for light microscopic studies is discussed. This new device is developed from“Britfix”(polystyrene cement) which is non-toxic to the plant organs. It involves direct application of the material on the desired surface of the plant organ to obtain thin, transparent replica. From the present investigation“Britfix”is found to be useful for the study of epidermal anatomy, morphology and physiology. Epidermal imprints can be mounted on the microscope slide without a mounting medium. Permanent slide of these imprints can be kept for any desired period without any deterioration of the replica.

  • PDF

한우 발정기 행동변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behavioral change of estrus in Hanwoo (Korean native cattle))

  • 천시내;유금주;김찬호;정지연;김동훈;전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825-832
    • /
    • 2020
  • 소의 발정을 정확하게 탐지하는 것은 번식률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며, 현재 발정기 소의 행동 특성들을 활용한 다양한 발정탐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유품종인 한우의 발정기 행동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발정기 한우의 활동량, 승가행동 및 발성횟수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총 4두의 한우 경산우를 공시하였으며, 각 개체별로 목걸이형 생체정보 수집장치(Bio-telemetry device)를 설치하였다. 발정이 확인된 날을 포함하여 발정 2일 전부터 발정 후 3일까지 총 6일간 이동거리, 승가행동 및 발성음을 비교 분석한 결과, 발정 2일 전부터 발정 1일 전까지 이동거리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발정이 확인된 당일부터 급격히 증가하였으며(p<0.001), 발정 후 1일 후부터는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소의 활동량이 낮보다 밤 시간대에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승가행동은 발정 2일 전부터 발생빈도가 점점 증가하기 시작하여 발정 당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1), 전 시간대에 걸쳐서 불특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발성음의 경우 발정 당일에는 발성음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발정기 한우의 승가행동은 발정 2일전부터 시작해서 발정 당일에 가장 높게 나타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활동량보다 우선적으로 발정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이 두 가지 지표를 함께 활용한다면 한우의 발정탐지율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발정탐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우의 발정기 행동 특성과 관련하여 더욱 다양한 정보들이 필요할 것이다.

상족기 습도가 해서율, 견사장 및 생사량비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lative Humidity in the Mounting Time on the Reelability Ratio, Bave Length, and Percentage of Raw Silk)

  • 최진래;이광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4-78
    • /
    • 1986
  • 누에 동육에 있어 여러 가지 환경요인 중 상족기 실외평균 습도가 견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5년간 경남의 진양, 하동, 산청, 거창군과 경북의 선산, 상주, 영풍, 안동군에서 견검정 의뢰한 검정구 중 군, 연도, 춘추별, 각 50검정구씩 총 4,000건을 검사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족기의 습도가 다습할수록 고치의 해상률이 낮았는데 특히 상대습도가 80% 이상에서 그 현상이 뚜렷하였다. 2. 고치의 해상률이 높을수록 견사장이 길고 생사량비율도 높았다. 3. 추잠기가 춘잠기에 비해 고치의 평균해상률은 높았으나 견사장은 짧고 생사량비율도 떨어지는 경향 이였다. 4. 평야지에서 생산된 고치가 산간지보다 견사장이 길고 생사량비율도 높았으나 해상률은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 PDF

조선시대 재발급(再發給) 공신교서(功臣敎書) 양식 연구 (A Style Study for Reissued Gongsin-Gyoseo in Joseon Dynasty)

  • 심영환;이진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2호
    • /
    • pp.4-19
    • /
    • 2014
  • 조선시대 공신교서는 국가의 특정한 사건에 공을 세운 공신을 포상하기 위하여 발급하였다. 공신으로 녹훈(錄勳)된 가문에서는 이 공신교서를 가보(家寶)로서 후대에 전승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전란 등의 피치 못할 상황 속에서 소실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경우 국가에서 다시 교서를 발급해 준 사례가 남아있다. 현전하는 공신교서 중에서 확인되는 재발급 교서는 박동량 호성공신교서, 구굉 정사공신교서, 박정 정사공신교서 3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 3점에 대한 문서양식과 장황에 대해 검토하였다. 재발급 공신교서는 원본 공신교서와 동일한 양식, 곧 평출(平出)과 대두(擡頭) 등을 준수하여 작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원본 공신교서와는 달리 재발급된 시점에서 공신의 신분에 변화가 있을 때는 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사공신교서의 경우는 원본 공신교서는 '정원군 부(定遠君 ?)'가 재발급된 시점에는 인조의 아버지가 되었기 때문에 '원종대왕휘(元宗大王諱)'로 나타났다. 또 재발급 정사공신교서의 경우 '김자점(金自點), 김련(金鍊), 심기원(沈器遠), 심기성(沈器成)'과 같이 역모에 의해 삭훈된 경우는 원본 문서대로 작성을 하고 먹으로 검게 삭거(削去)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사자의 경우도 원본 공신교서는 국가에서 지정한 선서자가 작성하는 반면에, 재발급의 경우는 그 공신 가문의 선서자가 문서를 필사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신교서의 장황(粧?)은 물자를 조달해야 하는 조정의 경제적 상황, 배접장 등 실제 제작에 관여한 장인의 기호와 기술 등에 따라 시대적으로 변모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 3점의 경우 모두 병자호란으로 그 원형이 소실된 상황이었으므로, 재발급본과 최초 발급본의 장황이 달랐을 가능성이 크다. 이와 관련해서 교서 제작과정에 대한 의궤의 기록, 최초 발급본과 같은 시기에 제작된 공신교서와 비교해 본 결과, 재발급본은 최초 발급본에 비하여 장황의 형태나 비율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우선 변아(邊兒)의 폭은 2배 정도 넓어지고, 중앙좌우회장(中央左右回粧) 역시 평균 2cm이상 커진 형태이고, 하회장(下回粧)의 경우도 평균 10cm 넓어졌다. 상회장(上回粧)과 하회장(下回粧)의 비율은 최초 발급본의 경우 상회장이 하회장에 비해 1.5배 정도 넓고, 재발급본의 경우 거의 1:1의 비율을 갖추고 있었다. 상축(上軸)의 단면은 박동량 호성공신교서의 경우 현재의 반달형태가 아닌 부등변삼각형의 형태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구굉과 박정 정사공신교서 축(軸)은 단면의 모양은 같지만 크기가 작아진 형태일 것이다. 축수(軸首)는 크기에 큰 변화가 없고, 오색다회(五色多繪)는 최초 발급본이 재발급본에 비해 그 폭이 훨씬 좁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재발급본 3점은 제작시기가 같은 보사공신교서(保社功臣敎書)의 장황 형태를 고증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현전하는 보사공신교서 중에 제작당시의 장황을 갖추고 있는 것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