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ntain ridge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2초

능선부 산지보전 관련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화성시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s for the Legal Systems Related to the Coneservation of Mountain Ridge Areas - In Case of Hwasung -)

  • 최형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133-144
    • /
    • 2009
  •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he improvements for the legal systems related to the conservation of mountain ridge areas. The 4 legal systems directly related to the conservation of mountain ridge areas are reviewed and the current conditions of adaptive reuse of mountain areas and destroy cases in Hwasung are examined. For solving the problem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ree proposals for the improvement on legal systems are suggested. First, the integration of present dual legal systems related to adaptive reuse of mountain areas on the assumption that the related criteria and provisions should be amended, second, activation of the legal systems such as natural landscape district and natural landscape review to make up for the laws related to adaptive reuse of mountain areas, third, the enactment and application of the ordinances related with the 'mountain area management law'.

A Study of Landscape Management Techniques based on Viewing Characteristics of Mountain Landscape - Focused on the Surrounding Areas of Bukhansan Mountain -

  • Park, Moon-Ho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_2호
    • /
    • pp.163-175
    • /
    • 2010
  • This study is based on the viewing characteristics of mountain landscapes. It investigates whether the current landscape management-related regulations are efficient in terms of the viewing characteristics of the mountain landscape against Bukhansan Mountain in which the conventional landscape management techniques were used. In addition, some viewing characteristics of mountain landscapes, such as distance from the view point to the target mountain, angle of elevation, altitude, gradient, have been analyzed and 3 cases of viewing condition have been simulat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 Mountain landscapes can be managed up to 7~8 times of the mountain height with a $5{\sim}9^{\circ}$ of elevation angle. ii) In the Natural Landscape District which is situated on the hillside, it is reasonable to include altitude, gradient as criteria for regulation. iii) According to a simulation of the construction permit height by viewing distance, it was confirmed that buildings can be constructed up to 111.55m when viewing the 20% ridge, 150.75m when viewing the 50% ridge and 189.05m when viewing the 70% ridge. iv) The construction permit height varies depending on the landscape analysis method that is used and the application conditions. It is therefore unfair to apply height limit regulations to all buildings without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features or viewing characteristics. v) It is unreasonable to apply 2~3 management techniques to the same area for landscape management. Therefore, we recommend the Focused Landscape Management Area based on the landscape master plan as a integrating mountain landscape management techniques.

백두대간 정령치-복성이재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Jeongryeongchi to Bokseongijae in the Baekdudaegan.)

  • 최송현;오구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21-432
    • /
    • 2003
  • 백두대간상의 정령치~복성이재 구간 능선부에 대해 34개 조사지(면적 500$m^2$)를 설정하여 식생구조를 파악하였다. TWINSPAN 및 DCA분석에 의해 조사지는 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I), 소나무군락(II), 소나무-일본잎갈나무군락(III), 신갈나무군락(IV)으로 분리되었다. 백두대간 정령치-복성이재 구간은 대부분 소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종다양성은 비산비야적인 특징으로 산악형 지역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백두대간 수령-소사고개 구간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Suryeong to Sosagogae in Baekdudaegan, Korea)

  • 추갑철;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0-157
    • /
    • 2004
  • 백두대간 능선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백두대간 수령-소사고개구간 능선부에 10개의 방형구(500$m^2$)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10개 조사구는 떡갈나무-물푸레나무군집, 신갈나무-물푸레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백두대간 수령-소사고개 구간의 능선부는 대부분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에서 해발고가 낮은 지역에서 떡갈나무와 물푸레나무 등이 혼효하고 있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1.7295∼2.6525 범위로 백두대간에 위치한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구조와 비슷하였다. 산림청에서 희귀식물로 등록한 흰참꽃나무가 삼봉산 주변 바위틀에서 여러 개체가 자라고 있었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함으로써 훼손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백두대간 피재-도래기재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Pijae to Doraegijae in the Baekdudaegan, Korea)

  • 오구균;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30-343
    • /
    • 2002
  • 백두대간상의 피재-도래기재구간 능선부에서 43개소 조사지(면적 500$m^2$)를 설정하여 식생구조를 파악하였다. TWINSPAN분석에 의하여 조사지의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아고산대 혼효림, 신갈나무-당단풍군집, 신갈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일본잎갈나무림으로 분리되었다. 백두대간 피재-도래기재구간의 능선부는 대부분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국지적으로 분비나무, 주목 등의 한대 기후대 침엽수와 낙엽수종들이 혼효하고 있었다. 조사지의 산림군집의 종다양성지수(면적 1,000$m^2$)는 2.0149~3.0139로서 백두대간에 위치한 국립 공원들의 능선부 식생구조와 유사하였다.

백두대간 부봉-포암산 구간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Bubong to Poamsan in Baekdudaegan, Korea)

  • 추갑철;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5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21-32
    • /
    • 2005
  • 백두대간 능선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국립공원 월악산에 속하는 백두대간 부봉-포암산 구간 능선부에 방형구$(400m^2)$ 16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16개 조사구는 신갈나무-소나무군집, 굴참나무-소나무-신갈나무군집의 2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백두대간 부봉-포암산 구간의 능선부는 대부분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에서 해발고가 낮은 지역에서 굴참나무, 소나무 등의 침엽수와 낙엽수종들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판관계에서는 조록싸리와 잣나무, 쇠물푸레나무와 진달래, 고로쇠 나무와 병꽃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노린재나무와 쇠물푸레, 진달래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0.9066\~l.0821$ 범위로 백두대간에 위치한 다른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에 비하여 다소 낮게 나타났다.

  • PDF

백두대간 부봉-포암산 구간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Bubong to Poamsan in Baekdudaegan, Korea)

  • 추갑철;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3-89
    • /
    • 2005
  • 백두대간 능선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월악산국립공원에 속하는 백두대간 부봉-포암산 구간 능선부에 방형구$(400m^2)$ 16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16개 조사구는 신갈나무-소나무군집 , 굴참나무-소나무-신갈나무군집 의 2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백두대간 부봉-포암산 구간의 능선부는 대부분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 해발고가 낮은 지역에서 굴참나무, 소나무 등의 침엽수와 낙엽수종들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조록싸리와 잣나무, 쇠 물푸레나무와 진달래 , 고로쇠나무와 병 꽃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노린재나무와 쇠물푸레, 진달래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0.9066\~1.0821$ 범위로 백두대간에 위치한 다른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에 비하여 다소 낮게 나타났다.

백두대간 노고단-고리봉 구간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Nogodan to Goribong in Baekdudaegan, Korea)

  • 김갑태;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41-448
    • /
    • 2003
  • 백두대간 능선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백두대간 노고단-고리용구간 능선부에 22개의 방형구(500$m^2$)를 선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2개 조사구는 신갈나무-물푸레나무군집, 신갈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백두대간 노고단-고리봉 구간의 능선부는 대부분 신갈 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에서 해발고가 낮은 지역에서 소나무 등의 침엽수와 낙엽수종들이 혼효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는 우리나라 특산종인 구상나무가 드물게 분포하고 있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2..1354~2.9576 범위로 백두대간에 위치한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구조와 비슷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