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or ability

검색결과 528건 처리시간 0.027초

만성 뇌졸중 환자들의 지역사회 보행 수준 구별을 위한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8자 모양 경로 보행 검사, 네 막대 스텝 검사, 스텝 검사의 변별력과 예측 타당도 (Discriminant and predictive validity of TUG, F8WT, FSST, ST for community walking levels in chronic stroke survivors)

  • 이동건;안승헌;이규창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5-35
    • /
    • 2020
  • Background: There are many situations where walking in an actual community needs to change direction along with walking on a straight path, and this situation needs to be reflected in assessing walking ability of the communi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determine whether the assessments can distinguish the level of walking in the community. Design: Retrospective cohort study. Methods: Fifty-two survivors with chronic stroke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of 10mWT, the subjects of 0.8m/s and above were classified as the group who could walk in the community (n=22), and the subjects of 0.4m/s~0.8m/s were classified into the group who could not walk in the community (n=30). Modified Rivermead Mobility Index,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Fugl-Meyer Assessment, Berg Balance Scale, 10-meter Walk Test (10mWT) were used to evaluate the motor skills. Furthermor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was used to evaluate psychological factors, and Timed Up & Go Test (TUG), Figure-of-Eight Walk Test (F8WT), Four Square Step Test (FSST), Step Test (ST) were applied to evaluate dynamic balance and mobility. Results: As a result for distinguishing walking levels in the community, TUG was 14.25 seconds, F8WT was 13.34 seconds, FST was 19.43 seconds, and ST of affected side and non-affected side were 6.5 points and 7.5 points, respectively. TUG (AUC=0.923), F8WT (AUC=0.905), and FST (AUC=0.941) were highly accurate, but the ST of affected side and non-affected side (AUC=0.806, 0.705) showed the accuracy of the median degree, respectively. Conclusion: To distinguish walking levels in the community of survivors with chronic stroke, TUG and FSST have been found to be the best assessment tool, and in particular, FSST could be very valuable in clinical use as the most important assessment tool to distinguish walking levels in the community.

음악의 인지기술과 학습 기술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usic Cognitive Skills and Academic Skills)

  • 정현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3권1호
    • /
    • pp.63-76
    • /
    • 2006
  • 1980년대 이후 음악과 학습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다양한 학습 기술에 필요한 인지기술의 영역에 대한 음악의 효과성을 계속해서 입증해 오고 있다. 음악과 학습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주로 음악의 인지기술과 학습의 세부적 기술들을 개별적으로 연관 지어 다루고 있으며, 음악이 비음악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지 학습기술과 음악적 인지기술과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고 있는 다양한 이론 및 연구들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음악이 비음악적 능력 중 학습 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음악적 능력과 공간 지각력과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두 가지 이론으로서, "신경적 연계성(neural theories)" 이론과 "근접적 전이(near transfer)"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음악적 기술과 공간적 기술을 담당하는 대뇌의 신경망 구조에서 음악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이 어떻게 공간적-시간적 정보처리 과정과 연계되는 지를 설명하였다. 또한 음악이 학습과정에 필요한 주의력, 관찰력, 독립적 사고,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 등을 강화시킨다고 제안하는 "동기이론"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이론들에 근거하여 음악과 학습기술과의 상관관계를 메타분석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많은 연구들이 음악기술과 학습기술의 상관관계는 물론 유의미한 인과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결과들은 음악적 훈련 과정에서 습득되는 음악의 공간적, 시간적 개념이 학습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지지한다. 다양한 학습기술에서도 공간 지각 능력을 주로 사용하는 수학과 읽기에 관한 연구가 많았는데, 특히 수학적 개념 중에서 분수나 집합 개념과 같은 추상적 개념들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읽기 능력에서는 시간적 개념에 근거한 단어 나열, 문자로 상징된 언어를 해석(decode)하는 기술이 강화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음악과 학습과의 관계를 설명한 많은 연구들은 음악의 지각인지 기술이 다른 학습 분야에 전이된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지지하며, 또한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세 가지 가설은 구조화된 음악활동이 학습 현장에 있는 아동들에게 효율적인 치료 교육적 개입이 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체력진단 평가를 통한 뇌성마비 아동과 정상아동의 운동능력 비교연구 (Comparison of Motor Fitness of Cerebral Palsy Chidren with normal throug Phyisical Fitness Diagnosis Evaluation)

  • 이강준;박래준;김종열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2권1호
    • /
    • pp.101-112
    • /
    • 200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d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normal children in the exercise and cardio vascular ability after this study as the fundamental data fer mating programs for the cerebral palsy children. The test of this study is about twenty girls, the control group of the normal children(n=10) and the experiment group of cerebral palsy children(n=10). They were studied in four aspects which were the anthropometry, the medical check in the rest, the physical fitness or exercise roads test and the change of the target heart rate during exercise. The result were as follows : 1. The characteristic of the physical type : The control group is higher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standing height and the body weight but their'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m (p<0.05). The control group is lower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body fat. 2. The characteristic of the medical check in the rest : The control group is higher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vital capacity and flood expiratoryvolume one second. The control group is higher that the experiment group in the blood pressure of systolic and Diastolic. There'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m(p<0.01). The control is lower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heart pulse rate. There'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m(p<0.005). 3. The characteristic of basic physical strength evaluation : The experiment group is the lowest dynamic muscular endurance, balance, agility and endurance which need to move the body with weight. The control group is much higher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flexibility and muscle strength(Back strength). There's no difference between them(p<0.05). 4.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ercise stress last : The control group is higher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the endurance, the maximum of oxygen intake, endurance level and the out take of calory. There'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m(p<0.01). 5. The characteristic of the change of the target heart rate during exercise : The control group is lower than the experiment group exchange of target heart rate, There's no difference them.

  • PDF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하지 패턴에 기초한 탄력밴드 훈련이 만성 편마비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lastic Theraband Exercise Based of PNF L/E Pattern on the Gait of the Chronic Hemiplegic Patients)

  • 김좌준;김광일;김도환;성용인;신승제
    • PNF and Movement
    • /
    • 제5권2호
    • /
    • pp.47-54
    • /
    • 200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Elastic Theraband Exercise Based of PNF L/E pattern on the gait of the chronic Hemiplegic Patients. Methods : We selected the 20 chronic Hemiplegic Patients not given treatment now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of both 10 Elastic Theraband group and 10 Self Exercise. The first group went through a Elastic Theraband Exercise Based of PNF L/E pattern 30 minutes a day, 5 times a week, for 6 weeks. Exercise used to blue elastic band which 2 patterns of PNF by 1) hip extension - abduction - internal rotation with knee extension. 2) hip flexion - adduction - external rotation with knee flexion. The latter group experienced Self Exercise, 30 minutes a day, 5 times a week, for 6 weeks. Firstly, we measured the absolute improvement of gait velocity(m/s), cadence(steps/min) among walking characters. Secondly, we measured the functional walking ability such as Functional Ambulatory Category(FAC, score out of 5), Modified Motor Assesment Scale(MMAS, score out of 6).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using SPSS 12.0 win program. The descriptive analysis was used to obtain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he independent t-test and the paired t-test were used to compare both the groups about pre and post training test. Treatment effects were established by pre and post assessment. Subjects tolerated the training well without side-effect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Results : 1. There was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of Gait velocity(0.12m/s) Elastic Theraband group(p<.05). 2. There was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of cadence(9.40steps/min) Elastic Theraband group(p<.05). Conclusion : As we can see from above, the findings suggest that Elastic Theraband may be more effective than the Self Exercise for improving some gait parameters such as Gait velocity and Cadency. This conclusion also suggest that Elstic Theraband is more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gait of chronic Hemiplegic Patients.

  • PDF

회전익 항공기의 와이퍼 암 형상변경을 통한 비행 안전성 향상 (Improvement of Flight Safety on Configuration Change of Rotorcraft Wiper Arm)

  • 김대한;이윤우;안정민;박재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736-741
    • /
    • 2017
  • 본 논문은 회전익 항공기의 와이퍼 시스템의 설계 개선에 관한 연구이다. 국내 회전익 항공기의 우천환경 운용 시, 와이퍼 닦임 성능 저하 및 떨림 현상이 발생하였다. 와이퍼 시스템은 크게 와이퍼 암 조립체, 전동기, 와이퍼 변환기 조립체, 플랙스 드라이브로 구성되며, 와이퍼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면 우천환경의 작전에 제한사항이 발생하여 작전능력이 감소한다. 이러한 와이퍼 시스템의 문제를 야기한 원인은 크게 2가지로 검토되었으며, 첫번째 사유는 항공기 기동조건에서 와이퍼 암에 작용하는 부상력 때문이며, 두번째는 구성품들의 과다한 유격 때문이다. 이 2가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본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4가지의 와이퍼 구성품 중 와이퍼 암을 개선하였다. 개선 내용으로는 와이퍼 암의 누름압(스프링 장력) 증가, 기어 공차 개선, 재질 및 형상 변경이 수행되었다. 개선형상의 검증은 구성품 단위 내구성 시험, 항공기 지상 시험, 비행 시험이 수행되었으며, 설계 개선된 와이퍼 암을 장착하였을 시 닦임 성능 및 유격문제가 해소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닦임성능은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유격문제는 와이퍼 작동거리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현재 국내 회전익 항공기는 개선 형상을 적용하여 문제없이 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설계 개선 과정은 향후 회전익 항공기 개발 시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일부지역에서 구급차운전자의 구급차 안전운전 운행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havioral Factors for the Safely of Ambulance Driving)

  • 조진만;이병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00-111
    • /
    • 1997
  • This is the first Korea study to evaluate the effects od the safety of ambulance driving and the occurrence of ambulance traffic accident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ion for the description of various factors to reduce the ambulance traffic accidents. The major insturment of this study were Krean Self-Analysis Driver Opinionnaire. Questionnaire contains 8 items which measure driver's opinions or attitudes : driving courtesy, emotion, traffic law, speed, vehicle conditions, the use of drugs, high-risk behaviors, and human factors. To take the analysis of data, the total of 350 divers were investigated ambulance divers and others in Taejon City and others (6 City) from 1996. 1. July to 1996. 31. July.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logistic regression - path analysis - with SPSS and SAS package program. The result are as follows : 1. There was desirable attitude group(16.2%) and undesirable attitude group(17.6%) on safety ambulance driving. 2. It have suggested that risk factors of ambulance traffic accidents much affected with emotion and speed control on safety ambulance driving < Y(Accdient) = -2.64 + 0.57 $X_1$ (Emotion Control) + 0.30 $X_2$(Seed control) + E > and motor traffic acident much affected with emotion control and high-risk behavior on safety driving < Y(Accident) = -1.11 + 0.33 $X_1$(Emotion Control) + 0.29 $X_2$(High-risk Behvior) + E > 4. The primary emphassis of ambulance drivers was make us realized that improthatnt factors on safety ambulance driving were 1)making way for emergent ambulance, 2)driver's career, 3)The ability of emergency medical technics, and the knowledge or under standing of ambulance way difficut(or easy) of accdess. 5. Almost 96.6% of respondents have agreed to necessity of emergency medical technics for ambulance drivers. 6. Almost 94.6% of respondents have consented to necessity of emergtency medical technicians for ambulance driving. 7. It have suggested that the proportion of traffic accident proportion by desitable attitude group(16.7%) was much less than that of undesirable attitude group(30.8%) on safety ambulance driving(P < 0.05)/Ps) Accidents are unplanned, unforesen incidents which can lead to harmful or unfortunate outcomes, Collisons are not accidents, since the basic cause of the majority of collisons invovles high-risk human behavior. Although there are many factors which contribute to accident causation, four basic factors seem to predominate in most traffic related situations. These four factors include: the human factor, the vehicle factor,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destination factor(Peto G. et al. 1995).

  • PDF

뇌졸중 환자의 균형, 인지, 일상생활 평가의 상관성 연구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the Balance, Cogni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 강보라;정은송;김재희;하유나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5-52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BBS, MoCA-K, MBI와의 상관관계를 제시하고 각 변수들과의 영향력을 분석하여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수행능력 평가에 기초연구가 되고자 한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고양시에 소재하는 Y재활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선정기준은 첫째,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6개월 이상 경과한 자, 둘째,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MMSE-K 20점 이상인 자, 셋째, 편측무시가 없는 자, 넷째, 하위운동신경 병변이 없고 양하지 및 척추에 정형외과적 질환이 없는 자, 다섯째, 시청각계 이상이 없고 운동기능에 영향을 주는 약물 또는 수술을 받지 않은 자, 여섯째, 환자본인이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로 하였다. 평가는 재원 중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에 의해 BBS, MoCA-K, MBI를 측정하였으며 균형능력 평가 시 안전을 위하여 한명의 보조자가 동반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BBS와 MoCA-K r=.459, BBS와 MBI r=.550, MoCA-K와 MBI r=.565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결론: 본 연구는 임상적인 평가도구로서 BBS, MoCA-K, MBI의 적극적인 활용과 그 유용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YOLO v4 기반 혼잡도로에서의 움직이는 물체 검출 및 식별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Moving Objects at Busy Traffic Road based on YOLO v4)

  • 이추담;정석용;왕욱비;진락;손진구;송정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41-148
    • /
    • 2021
  • 일부 네거리나 혼잡도로에서 특정 시간대에 행인이 많고 도로가 막혀서 발생하는 교통사고가 적지 않다. 특히 인근에 학교교차로가 있어 바쁜 시간에 학생들의 교통안전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과거에는 교통 신호등을 설 계 했을 때 행인의 안전성을 고려하지 않고 자동차 인식과 교통 최적화에 대하여 연구 했다. 행인, 특히 학생들의 안전을 확보하는 전제에서 가능한 한 도로의 소통을 유지하는 것이 본 연구의 중점적인 연구 방향이다. 본 연구는 사람, 오토바이, 자전거, 자동차, 버스의 식별문제를 중점적으로 연구할 것이다. 조사와 비교를 통해 본 연구는 YOLO v4 네트워크로 목표물의 위치와 수량을 식별하는 것을 제시한다. YOLO v4는 작은 목표물의 식별 능력이 강하고 정밀도가 높으며 처리속도가 빠르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 수집 대상을 설정하여 이미지 집합을 훈련하고 테스트 한다. 움직이는 영상에서 목표물의 정확도, 실수율과 누락율에 대한 통계를 사용하여, 본 연구에서 훈련된 네트워크는 움직이는 이미지 속의 사람, 오토바이, 자전거, 자동차와 버스를 정확하게 식별 할 수 있다.

Comparative study between an intensive small group teaching and a 1-year clinical practice on OSCE

  • Kim, Sinjae;Park, Minhwan;Seo, Ji-Hyun;Woo, Hyang-Ok;Youn, Hee-Shang;Park, Jung Je;Jeon, Sea-Yuoug;Hwa, Jung Seok;Mullan, Patricia;Gruppen, Larry D.
    •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 /
    • 제33권2호
    • /
    • pp.181-190
    • /
    • 2018
  • Objectives: Our school introduced a new curriculum based on faculty-directed, intensive, small-group teaching of clinical skills in the third-year medical students. To examine its effects, we compared the mean scores on an OSCE between the third- and fourth-year medical students. Methods: Third- and fourth-year students did rotations at the same five OSCE stations. They then completed a brief self-reporting questionnaire survey to examin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new curriculum in the third-year students and clinical practice in the fourth-year students, as well as their perception of confidence and preparedness. We analyzed the OSCE data obtained from 158 students, 133 of whom also completed the questionnaire. Results: Mean OSCE scores on the breast examination and wet smear st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hird-year group (P < 0.001). But mean OSCE scores of motor-sensory examination and lumbar punctur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ourth-year group (P < 0.05). The mean OSCE score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self-ratings of confidence had a high degree of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with new curriculum (r = 0.673) and clinical practice (r = 0.692). Furthermore, there was a moderat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preparedness in both groups (r = 0.403 and 0.449). Conclusion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n the degree of clinical performance and confidence between an intensive-small group teaching and a 1-year clinical practice. If combined, intensive small group teaching and clinical practice would be useful to improve the degree of ability and confidence in medical students.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 조사: 서울 경기 지역 소아 청소년 재활병원을 중심으로 (Survey About Current Status of Pediatric and Adolescent Physical Therapy: Focus on Pediatric and Adolescent Rehabilitation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김정수;민경철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4호
    • /
    • pp.67-80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장애 소아 청소년을 치료 중인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 만족도, 수가 체계, 대상, 시행, 평가 활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서울 경기 지역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사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 대상자, 만족도, 치료 시행 및 평가 활용 등을 조사하였다. 실태, 대상자, 만족도 등은 빈도 및 기초 통계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물리치료 참여도-난이도,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주요 요소의 중요도-본인의 능력, 주요 치료 목표-사용 빈도 차이는 대응 표본 T 검정을 통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과 :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는 대부분 독립된 공간(95.0%)에서 하루 11~15건(66.7%), 1대 1 치료(95.0%)로 진행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상자의 주요 연령은 학령기, 학령전기, 진단은 뇌병변, 발달지연이 많았으며 20대 이상까지 치료하였다.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만족도는 높았으나(70.0%) 업무강도 역시 높았다(71.7%). 주요 치료법으로는 신경발달치료, 보행치료, 목표지향적 재활이 있으며, 평가는 대동작기능검사 88과 66, 대동작기능분류검사 사용이 많았다. 현 수가 체계는 부적합하다고 하였으며(66.1%), 적정 수가 체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와 관련된 광범위한 내용과 요소를 확인하였다. 현 실태조사연구를 바탕으로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사의 전문성 및 지속성 향상, 최신 치료법 적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