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od disorder

검색결과 385건 처리시간 0.019초

소방공무원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Firefighter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류지아;하은희;정최경희;김지은;박신원;김현주
    • 생물정신의학
    • /
    • 제24권1호
    • /
    • pp.10-18
    • /
    • 2017
  • Occupational hazards of firefighting and rescue works include frequent exposure to emergencies and life-threatening situations. These stressful work conditions of being constantly under pressure and exposed to potentially traumatic events put them at higher risk of develop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compared to the general population. PTSD is a potentially debilitating mental disorder, due to persistent intrusive thoughts, negative alterations of mood and cognition, hypervigilance, avoidance of similar situations and reminders, and re-experiences of the traumatic event. Previous studies have shown a relatively high prevalence of PTSD among firefighters, indicating the need for a systematic approach of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Therefore, a critical review of the current literature on PTSD in firefighters would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developing effectiv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Literature indicated that there are risk factors of PTSD in firefighters, such as pre-existing depression, anxiety, sleep disorders, occupational stress, physical symptoms, and binge drinking, whereas social support and adequate rewards are protective factor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PTSD across studies, partly due to various assessment tools utilized, different sample sizes, and sample characteristics, over one tenth of the firefighters were estimated to have PTSD. The current review warrants further investigations to precisely assess PTSD and co-morbid mental disorders, functional outcomes, and associated factors, and to develop evidence-based preventive and interventional programs to help firefighters with PTSD.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과거력이 없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에서 나이와 손상 심각도가 중증 불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Injury Severity and Age on Severe Anxiety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atients with no Previous History of Psychiatric Disorders)

  • 박운영;박상학;김상훈;김승곤;박정인;추일한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4-60
    • /
    • 2013
  • Objectives :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s classified as an anxiety disorder. PTSD occurrence is known to be increased in middle-aged and older people, female, and individuals with a previous history of psychiatric disorders, lower education levels, low socioeconomic status, and severely injured patients. Anxiety symptoms are also related to later development of PTS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injury severity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on severe anxiety in PTSD patients with no previous history of psychiatric disorders. Methods : Forty-one PTSD patients without previous history of psychiatric disorders were recruited from the psychiatric clinic at Chosun University Hospital. Subjects underwent psychiatric and physical examinations including the Injury Severity Score (ISS), Beck Anxiety Inventory (BAI), and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K-WAIS). We defined severe anxiety as a BAI scores of 30 or mor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nd multi-step model selection were applied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for severe anxiety. Results : In univariate analysis, age, ISS, and socioeconomic statu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Through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nd a stepwise model selection, we found the combination of age and ISS to be the best-fitted model for affecting severe anxiety in PTSD patients without a previous history of psychiatric disorders. Conclusion :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age and ISS could develop severe anxiety in PTSD patients with no previous history of psychiatric disorders.

노인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증상과 혈압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Blood Pressure in the Elderly)

  • 방유진;강석훈;김태용;최진희;정혜경;소형석;고창민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1-127
    • /
    • 2013
  • Objective :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e association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hypertension (HT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act of PTSD symptoms on blood pressure. Methods : Korean veterans of the Vietnam War with (n=62) or without PTSD (n=87)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linician administered PTSD scale (CAPS) and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 were applied. Blood pressure, pulse rate, risk factors of HTN and demographic data of the subjects were collected. Effects of potential explanatory variables on HTN were analyzed with logistic regression. Results :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TSD group (p=0.015). However, PTSD subjec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ulse rate than non-PTSD subjects (p=0.004).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voidance symptom might be a predictor for hypertension (OR=1.065, p=0.030).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PTSD, especially avoidance symptom, might be a risk factor on HTN in the elderly with PTS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change of blood pressure according to the clinical improvement of PTSD.

글루타메이트 수용체(GRIN2B) 유전자와 강박장애 발병 연령과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the GRIN2B Gene and Age of Onset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황성식;노대영;김찬형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4-39
    • /
    • 2011
  • Objectives : An early age at onset of obsessive compulsive symptoms in family studies has been strongly associated with a more familial form of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OCD). Further, many reports have suggested that early- and late- onset OCD represent separate subtypes of the disord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glutamate receptor, the ionotropic, n-methyl-d-aspartate (NMDA) subunit 2B gene (GRIN2B) polymorphisms, and onset of OCD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 We recruited 109 OCD patients and classified them into early- (age of onset <18 years) and late-onset groups (age of onset${\geq}$18).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their blood after which the genotypes and allelic frequencies of the two GRIN2B polymorphisms (5072T/G and 5988T/C) were compared in the two groups. We also compared genetic data between child- (age of onset${\leq}$15) and adult-onset groups (age of onset${\geq}$19) using the same protocol.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arly- and late-onset groups with respect to genotype. Moreover, we could not find any differences in genotype frequencies between child and adult-onset groups. Conclusions : Our study suggested that GRIN2B polymorphisms (5072T/G and 5988T/C) do not affect the onset of OCD in Koreans. However, this finding has resulted from a preliminary study and thus, further study is required.

양극성 장애 환자의 개인적·사회적 기능 상태에 대한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Personal and Social Performance Status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 김민정;이전호;윤현철;정현강;김승현
    • 수면정신생리
    • /
    • 제26권1호
    • /
    • pp.33-43
    • /
    • 2019
  • 목 적 : 양극성 장애 환자의 기능은 증상의 심각도, 약물 순응도, 수면의 질, 사회적 지지와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사회적 요인들과 인구학적 요인들이 양극성 장애 환자의 기능 상태와 갖는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에서는 양극성 장애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다음과 같은 임상적 척도들이 수행되었다: 한국판 personal and social performance scale (K-PSP), 한국판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K-HDRS), 한국판 young mania rating scale (K-YMRS), 한국판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K), 한국판 drug attitude inventory (K-DAI), mood disorders insight scale (MDIS),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연구 대상의 기능 상태와 임상적 변수들 간의 관계는 상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이어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전체 K-PSP 점수의 평균은 $57.92{\pm}13.76$이었다. 전체 K-PSP 점수는 K-HDRS 점수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 = -0.387, p = 0.005). 반면, K-YMRS 점수와 전체 K-PSP 점수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관계가 도출되지 않았다(r = -0.205, p = 0.145). 전체 K-PSP 점수는 PSQI-K 총점(r = -0.378, p = 0.005) 및 전반적인 수면의 질(r = -0.353, p = 0.010)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전체 K-PSP 점수는 KDAI 점수(r = 0.409, p = 0.003) 및 총 MSPSS 점수(r = 0.334, p = 0.015)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전체 K-PSP에 대하여 설명 가능한 변수들은 PSQI-K 중 전반적인 수면의 질과 MSPSS 중 가족에 의한 지지였다(adjusted $R^2=28.3%$).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우울 증상이 심할수록, 전반적인 수면의 질이 낮을수록, 약물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사회적 지지가 적을수록 양극성 장애 환자의 기능 수준이 저하된다는 결과를 제시해주었다. 양극성 장애 환자의 기능 상태는 환자가 보고하는 전반적인 수면의 질과 가족에 의한 사회적 지지를 통해 예측 가능하므로, 환자의 수면 만족도를 증진시키고 가족에 의하여 적절한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양극성 장애 환자의 기능 회복과 사회적 복귀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라고 시사된다.

강박장애 및 아임상형 강박장애의 평생 유병률과 병발성 (Lifetime Prevalence and Comorbidity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Subclinical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in Korea)

  • 홍진표;이동은;함봉진;이준영;서동우;조성진;박종익;이동우;배재남;박수빈;조맹제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9-35
    • /
    • 2009
  • Background : In spite of the worldwide relevance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Ed-highlight : Unclear. Perhaps consider changing word choice. (OCD),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prevalence, sex ratio, comorbidity patterns, and sociodemographic correlates. Data on subclinical OCD have been sparse to date. Methods : Data stemmed from the Korea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KECA) study which had been carried out from April to December 2001. Korean versions of DSM-IV adapted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were administered to a representative sample of 6275 persons aged 18-64 living in the community. DSM-IV based criteria for subclinical OCD were applied. Results : The lifetime prevalence rates for OCD and subclinical OCD were 0.8% and 6.6%, respectively. In both OCD and subclinical OCD, the rates for males and female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OCD was demonstrated to be associated with depressive disorder, bipolar disorder, social phobia,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alcohol and nicotine dependence. Additionally, subclinical OCD was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and somatoform disorders. Comorbidity rates in subclinical OCD were lower than those in OCD. Conclusions : The lifetime prevalence rate for OCD was less than 1%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Age distribution and comorbidity patterns suggest that subclinical OCD represents a broad and heterogeneous syndrome and not simply a milder form of OCD.

  • PDF

일 병원 정신건강의학과로 자문의뢰 된 HIV 감염/후천성면역결핍증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향정신약물 사용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Use of Psychotropic Agents among HIV-Infected/AIDS Patients Referred for Psychiatric Consultation)

  • 신상호;김현정;유소영;신형식;원성두;이소희
    • 정신신체의학
    • /
    • 제22권1호
    • /
    • pp.31-39
    • /
    • 2014
  • 연구목적 이 연구는 2년 6개월 동안 일 병원에 입원 중인 HIV감염/AIDS환자에 대한 정신건강의학과 자문 의뢰를 분석하였다. 방법 일 병원에서 2011년 1월 1일부터 2013년 6월 30일까지 자문 의뢰된 97명의 HIV감염/AIDS 환자와 282개의 자문 의뢰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97명의 HIV감염/AIDS 환자 중 91명(93.8%)이 남자였으며, 평균연령은 48세, 연구 기간 동안 평균 1인당 자문건수는 2.8건이었다. 주로 호소한 증상으로는 우울 102건(55.3%), 불면 60건(14.0%), 불안감 31건(7.2%) 등이었으며, 최초 자문의뢰 시 진단된 정신과적 질환은 우울장애 37명(37.0%), 인지장애 11명(11.0%), 섬망 9명(9.0%) 등 이었고 투약 권고된 향정신병 약물은 Lorazepam 99건(17.2%), Escitalopram 90건(15.7%), Quetiapine 84건(14.6%) 순이었다. 결론 HIV감염/AIDS 입원 환자들은 '우울감', '불면', '자살사고/시도' 등을 주문제로 정신건강의학과로 자문의뢰 되었고, 자문의뢰 환자의 85명(93.3%)에서 정신장애로 진단을 받았다 그러나 자문의뢰 환자의 16.9%만 퇴원 후 본원 정신건강의학과로 외래 추적 진료가 이루어져, 향후, 정신건강문제가 HIV감염 및 AIDS의 치료 순응도, 예후, 전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장기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정신분열병과 기분장애에서의 수면마비 (Sleep Paralysis in Schizophrenia and Mood Disorder)

  • 박재홍;양창국
    • 수면정신생리
    • /
    • 제9권2호
    • /
    • pp.115-121
    • /
    • 2002
  • 목 적 : 한국인들에게 가위눌림이라고 알려진 수면마비는 일반인들이 흔히 경험하는 현상이지만, 주요 정신질환에서의 발생율과 특성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열병 및 기분장애 환자와 일반인에서의 수면마비 발생율을 비교하고 그들이 경험하는 수면마비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는데 있다. 방 법 : 2002년 4월부터 9월까지 부산 소재 일 대학병원 정신과 입원 및 외래 환자 중 정신분열병, 양극성 정동장애, 또는 주요 우울증으로 진단 받은 환자들과 부산시내 거주하는 건강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가위눌림 경험 설문지, 수면-각성 일정 설문지, 불면증 척도, 졸음 척도 등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단독성 수면마비 발생율은 환자군이 41.9%, 대조군이 38.7%이었다.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중증과 중등도 수면마비의 비율이 높은 반면, 대조군은 환자군에 비해 경도 수면마비의 비율이 높았다(p<0.05). 수면마비의 첫 삽화를 경험한 나이는 두 군 모두 주로 $16{\sim}25$세에 분포하였다. 수면마비의 발생시간은 환자군과 대조군 모두 입면시와 각성시에 비해 수면 중간의 경험(환자군 52.3%, 대조군 63.6%)이 많았다(p<0.001). 환자군의 38.5%와 대조군의 38.2%는 수면마비를 경험하기 전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가 선행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환각은 수면마비에서 흔히 동반되는 증상이었으며(환자군 90.8%, 대조군 85.5%),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면마비시 경험하는 감정으로는 공포(환자군 72.3%, 대조군 80.0%)가 가장 많았다. 결 론 : 정신분열병과 기분장애 환자들의 수면마비 발생율은 일반인들의 그것과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환자들은 일반인보다 수면마비를 경험하는 횟수가 더 많았다. 수면마비에는 흔히 다양한 환각과 공포가 동반되었다.

  • PDF

한국의 고등학생에서 기분과 행동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Mood and Behavior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이문수;정유숙;홍성도;고영훈;김승현;조숙행;정인과;김린;이헌정
    • 수면정신생리
    • /
    • 제12권2호
    • /
    • pp.111-116
    • /
    • 2005
  • 목 적:기분과 행동에서의 계절적 변동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었으며 한국에서도 의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있었지만 아직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결과는 보고되지 않았었다.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의 고등학생들에서 기분과 행동의 계절적 변동의 빈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서울의 남동쪽 지역에 거주하는 656명의 남녀공학 고등학교 학생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계절성 양상 평가 설문지(SPAQ)의 한국어 번역판을 통하여 응답하였다. 이들에게서 계절성 정동장애(SAD)와 아임상성 계절성 정동장애(S-SAD)의 유무를 평가하기 위하여서는 Kasper가 제시한 기준에 따랐다. 결 과:결측치가 발생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전체 565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이들의 평균 연령은 16.73(SD=0.65)세였다. 이들에서의 전반적 계절성 점수의 평균은 5.88(SD=4.72)이었다. 응답자의 73.1%는 자신들이 계절성의 변화가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전체 SAD의 유병률은 13.6%, S-SAD의 유병률은 10.8%로 나타났다. 이 중 여름철 SAD는 5.1%, 여름철 S-SAD는 3.2%였으며, 겨울철 SAD는 0.5%, 겨울철 S-SAD는 1.1%로 조사되었다. 결 론:여름철 SAD 및 S-SAD의 유병률이 겨울철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다른 아시아 국가인 중국이나 일본의 결과와 유사한 것이다. 여름 동안의 고온 다습한 날씨에서 오는 불쾌감이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는 SPAQ의 적용에 있어서 동아시아 국가의 기후 특성에 맞는 계절성 정동장애를 위한 새로운 기준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PDF

오감을 이용한 다각적 치료의 불안, 우울 증상 치료 효과 (The Effect of Multidimensional Five Senses Treatment on Patients with Depression or Anxiety)

  • 이재은;허은정;이정민;김남열;황민영;유종호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3-270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five senses treatment on patients with depression or anxiety.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five senses treatment for patients with depression or anxiety who visited the neuropsychiatric clinic of Korean medicine. STAI-X1,X2, BDI, BAI, PAS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mood (depression or anxiety) of patients was improved. Results: Our results showed that multidimensional five senses treatment improved the depressive symptoms or anxiety symptoms. In addition, after the multidimensional five senses treatment, PAS score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as improved. Conclusions: The multidimensional five senses treatment wa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patients with depression or anx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