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thly maximum velocity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42초

기상청 자료를 이용한 도시의 바람자료 분석 연구 - 32개 도시의 30년간 바람자료 분석 - (The Analysis of Wind Data at the Cities in Korea with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Data -Wind Data Analysis in 32 Cities During 30 Years-)

  • 윤재옥
    • KIEAE Journal
    • /
    • 제3권1호
    • /
    • pp.5-12
    • /
    • 2003
  • Using the wind, we can get a thermal comfort in summer. In winter we must shut out the wind. To achieve sustainable environmental building design, especially wind data is very important. The wind direction and wind velocity of 32 cities were analyzed to suggest the wind map of Korea. The weather data which was used in this paper was from National Weather Service(19711.1~2000.12.3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The monthly wind velocity of Seoul is 1.1m/s-3.8m/s. 2) The maximum wind velocity could be estimated from the annual average wind velocity. The regression curve is Y(The maximum wind velocity)=6.369732 X(annual average wind velocity) + 6.391668 (P< 9.66E-12). 3) The wind velocity at the inland area which is far from 25km sea side is smaller than coastal area. The distance from the sea is major index of wind velocity. 4) The monthly wind direction was compared inland area with coastal area. 5) The uniform-velocity line on the Korean map was obtained.

황산알루미늄수화물에 의한 비산방지 효과 평가 (Assessment of Anti-Scattering Effect by Aluminium Sulfate)

  • 이병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0-474
    • /
    • 2010
  • Various anti-scattering agents for suppression of dust scattering at waste depository were compar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ice, easy of usage, and no toxicity, 1% of $Al_2(SO_4)_3$ was selected as surface hardening agents. Only lower than 2% of total weight were flied when wind speed was monthly maximum velocity during 1 hr. These results were quite good with comparison of S anti-scattering agents which was made by C company in Korea. When $Al_2(SO_4)_3$ was spread, the surface waste became hard therefore the effect of suppression of scattering dust was long lasting. It was recommend that 2% of $Al_2(SO_4)_3$ was spread to keep suppression of scattering dust when sudden gust of wind such as natural disaster was occurred.

AWS 데이터를 이용한 부산 해안의 바람분포 특성 해석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Wind Distribution in the Coast of Busan Using AWS Data)

  • 설동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549-554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10년간(1997-2006년)의 기상청 AWS(Automatic Weather System) 자료를 이용하여 선박의 안전과 항만구조물 등의 안정성에 매우 중요한 부산 해안의 바람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부산 해안의 바람분포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해륙풍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밀양의 바람분포 특성도 해석하여 비교하였다. 부산 해안의 평균풍속은 밀양보다 강하고, 부산 해안 중에서도 섬인 영도와 가덕도의 평균풍속은 일광, 해운대 및 대연의 그것보다 약 2.0배 강한 특성을 보인다. 상관분석에 의하여, 부산 해안의 월별 평균풍속은 서로 변화 경향이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부산 해안의 월별 평균풍속의 최대값은 9월에 나타나는데, 이는 태풍의 영향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최대 순간풍속도 섬인 영도와 가덕도에서 특히 강하고, 부산 해안의 최대순간풍속은 주로 8-9월에 그 최대값이 관측된다. 부산 해안의 풍향별 관측 횟수의 백분율을 살펴보면, 겨울은 남서풍-북북동풍이 우세하고 봄은 남서풍과 북동풍이 우세하다. 여름의 풍향 분포는 봄과 비슷하고, 가을의 풍향 분포는 겨울과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Pulmonic stenosis corrected by balloon valvuloplasty in a Maltese dog

  • Lee, Seung-Gon;Moon, Hyeong-Sun;Hyun, Changbai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33-336
    • /
    • 2007
  • A 6-month-old intact male Maltese dog (2.5 kg of body weight) was presented with the primary complaint of heart murmur and exercise intolerance. Diagnostic studies revealed severe pulmonic stenosis. Since the pressure gradient in stenotic pulmonic valve area was higher than 200 mmHg (maximum flow velocity = 7.1 m/s), the dog was underwent balloon valvuloplasty. With this procedure, the peak pulmonic velocity was reduced to 3.0 m/s (PG = 36 mmHg). Periodic re-evaluations performed in monthly interval revealed no further deterioration even after 4 month of procedure.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 of pulmonic stenosis fixed by non-surgical balloon valvuloplasty in Korea.

북강릉 지점의 연직바람관측장비 바람자료와 레윈존데 자료의 비교 (Comparison of Wind Profiler Wind Measurements with Rawinsonde Data at Bukgangneung)

  • 권주형;권태영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2_1호
    • /
    • pp.249-265
    • /
    • 2018
  • 기상청은 2007년 이후로 9개의 지점에서 연직바람관측장비를 운영해오고 있다. 그 중에서 북강릉은 레윈존데와 연직바람관측장비가 동시에 관측이 수행되는 유일한 지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북강릉 지점의 연직바람관측장비 자료와 레윈존데의 바람 자료를 비교하였다. 여름철 일시적으로 관측된 레윈존데 자료를 이용한 다른 대부분의 연구들과 다르게, 이 연구에서는 약 1년 동안의 자료를 이용하여 정확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북강릉의 월별 평균 최고관측고도는 여름에 높고(7월에 4,310 m), 겨울에 낮은(12월에 2,130 m) 뚜렷한 계절 변화가 나타났다. 월평균 최고관측고도 이상 고도에서의 연직 관측률은 약 50% 이하로 낮았다. 두 자료의 비교 결과를 살펴보면, 동서 성분 풍속과 남북 성분 풍속의 Bias 절대값과 RMSE는 대부분 각각 1 m/s 이하, 2 m/s 이하로 나타났다. 그에 비해 겨울철에서는 동서 및 남북 성분 풍속의 RMSE가 2~3 m/s로 다른 계절보다 조금 더 높았다. 그러나 특정 월과 고도에서는 큰 오차가 나타났다. 이러한 오차는 1월부터 5월에 3,500~4,000 m에서 연직바람관측장비에서 관측되는 약한 바람(1 m/s 이하)과 4월에 1,500~2,500 m에서 바람의 급격한 변화와 연관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강설 사례에서의 오차는 겨울철 전체의 오차보다 작았으며, 강한 강수 사례에 대한 오차는 4 km 이상의 고도에서 3~4 m/s로 증가하였다.

인천항의 조석, 조류 및 조량에 대하여 (On the Tides, Tidal Currents and Tidal Prisms at Inchon Harbor)

  • 이석우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6-97
    • /
    • 1972
  • The tides, tidal currents and tidal prisms at Inchon Harbor are studied with recent data. The tides at Inchon Harbor is of semi-diurnal type having a spring range of 798cm and a phase age of 2 days. The monthly mean sea level at Inchon has a maximum at August and a minimum at January with a annual range of about 40cm. the tidal currents at Inchon Outer Harbor are of semi-diurnal type same as tides and nearly reversing type. The flood and ebb currents set north and south with a velocity of about 90-175 cm/sec and 120-225 cm/sec at spring tide and begin 0.2 hours after L.W. and 0.7 hours after H. W., respectively. Non-tidal currents flow southward with 10-20 cm/sec at west side of the stream and northward with 15-20 cm/sec at east side of the stream at Inchon Outer Harbor. The flood volume through the Inchon Outer Harbor fluctuates fortnightly from 590 10$\^$6/㎥ spring tide to 260 $10^6/m^3$ at neap tide and ebb volume changes from 470 $10^6/m^3$ at spring tide to 200 $10^6/m^3$ at neap tide, respectively. The flow area along the channel to the Estuary of Yeomha is controlled by the tidal prism as expressed by $A=1.14{\times}10^{-4}P^{0.966}$

  • PDF

위성영상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식생정보 예측 기법 제안 (Proposal of Prediction Technique for Future Vegetation Information by Climate Change using Satellite Image)

  • 하림;신형진;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8-69
    • /
    • 2007
  • 지구상에서 육지 표면의 76%를 차지하고 있는 식생은 기후 변화와 관련하여 지역 부존 수자원과 환경 및 생태학적 시스템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 영상을 통해 추출된 NDVI를 통해 미래 식생정보를 예측하고자 넓은 지역에 대한 식생 피복의 파악이 용이한 NOAA 위성의 AVHRR 센서(1994년~2004년)와 Terra 위성의 MODIS 센서(2000년~2004년)로부터 얻을 수 있는 월별 정규화 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를 통하여 현 식생정보를 정량화하였다. 5년 동안의 NDVI 값은 NOAA보다 MODIS가 전체적으로 20% 정도 높게 추출되었다. 이로부터 국내 5대강 유역의 토지피복별 NDVI와 월평균 기상인자(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강수량, 일조시간, 풍속, 습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NDVI는 평균기온과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관분석 결과 얻어진 NDVI-기온 선형 회귀식을 이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CCCma CGCM2 모의 결과 값으로부터 토지피복에 따른 미래 NDVI를 추정 하였다. NOAA NDVI에 의해 추정 된 미래 식생정보는 현재의 NDVI 최대치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현재 7월에서 8월 사이 최고에 이르렀다가 9월부터 감소하는 NDVI값이 미래에는 10월까지도 높게 지속되는 경향을 보였다. MODIS NDVI에 의해 추정 된 미래 식생정보는 7월에서 8월 사이에 현재보다 약 5% 정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제주도 지방의 해륙풍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Land and Sea Breeze on Cheju island , Korea)

  • 김유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7권1호
    • /
    • pp.41-55
    • /
    • 1991
  • 최근 10년간(1977년~1986년)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지상기상자료를 분석하여 제주도지방의 해륙풍의 기후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륙풍의 발생빈도는 월별로는 8월(약 15.5%)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9월, 10월, 5월, 11월의 순이다. 춘계보다는 추계가 더 발생빈도가 높으며 동계 매월 평균(약 5%)가 가장 낮다. 2. 해풍은 제주도의 북부해안이 남부해안보다 연평균 약 30분 정도 더 일찍 발생하고 약 1시간정도 늦게 소멸한다. 반대로 육풍은 남부해안이 북부보다 연평균 1시간 정도 일찍 발생하나 연평균 소멸시각은 남북해안이 비슷하다. 제주도지방의 해풍의 발생시각은 연평균 9~10시로 남해안 지방(13~14시)보다 약 4시간 이르며, 소멸시각은 연평균 17~19시로 역시 남해안지방(19~21시)보다 약 2시간 정도 이르다. 3. 해풍의 연평균 지속시간은 북부해안이 남부해안보다 약 1시간 정도 길고, 육풍의 그것은 반대로 약 1시간 정도 짧게 나타난다. 계절별로는 해풍의 경우 하계가 동계보다 길고 육풍의 경우는 또 그 반대이다. 해풍에서 육풍으로의 전이시간은 하계가 길고 동계가 짧은 경향을 보이며, 육풍에서 해풍으로의 전이시간은 계절적인 특징이 나타나지 않는다. 4. 해풍의 최대풍속의 출현시각은 연 평균적으로 북부해안(14.0시)보다 남부(13.4)가 다소 일찍 나타나나, 육풍은 비슷한 양상(약 2.5시)을 보여주며, 해풍이나 육풍 모두 월평균 출현시각의 계절적 특징은 뚜렷하지 않다. 그리고 해풍과 육풍의 월평균 최대풍속은 각각 남북해안 모두 비슷하고 연평균으로는 해풍(약 4.1m/s)이 육풍(약 3.3m/s)보다 다소 강하다.

  • PDF

2005년 도시지역의 건성침적량 산정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Dry Deposition in Urban Area, 2005)

  • 신선아;한진석;이상덕;최진수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77-486
    • /
    • 2006
  • Dry deposition fluxes for $SO_2$, particulate sulfate, nitrate, ammonium and $HNO_3$ were estimated in urban area for the time period January$\sim$ October 2005. Fluxes were generated using atmospheric concentration data collected both in Acid Deposition and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and deposition velocities computed by combining land-use data with meteorological information. The resulting annually averaged $SO_2$, $NO_3$, and aerosol deposition velocities were found to be 0.4 cm/s, 4.3 cm/s and 0.1 cm/s, respectively, and thus deposition rates were 4.4 mg/$m^2$. day for $SO_2$, and 5.4 mg/$m^2$ . day for $NHO_3$, and particulate sulfate, ammonium and nitrate recorded 1.0 mg/$m^2$ . day, 0.4 mg/$m^2$ . day and 0.4 mg/$m^2$ day, respectively. Maximum for in seasonal variation of monthly averaged deposition velocities occurred in summer in contrast to $HNO_3$ showing peak in spring.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tion for aerosol. The dry to total (wet and dry) deposition contributed about 40% for sulfur and 28% for nitrogen species in this study.

기상인자가 농업용 저수지 저수량에 미치는 영향연구 (The Effect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the Temporal Vari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 Storage)

  • 안소라;박민지;박근애;김성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9권4호
    • /
    • pp.3-1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agricultural reservoir storage, and predict the reservoir storage by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selected by high correlated meteorological factors. Two agricultural reservoirs (Geumgwang and Gosam) located in the upsteam of Gongdo water level gauging station of Anseong-cheon watershed were selected. Monthly reservoir storage data and meteorological data in Suwon weather station of 21 years (1985-2005) were collected. Three cases of correlation (case 1: yearly mean, case 2: seasonal mean dividing a year into 3 periods, and case 3: lagging the reservoir storage from 1 month to 3 months under the condition of case 2) were examined using 8 meteorological factors (precipitation, mean/maximum/minimum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sunshine hour, wind velocity and evaporation).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4 high correlated meteorological factors were selected, and multiple regression was executed for each case.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R^{2}$) of predicted reservoir storage for case 1 showed 0.45 and 0.49 for Geumgwang and Gosam reservoir respectively. The predicted reservoir storage for case 2 showed the highest $R^{2}$ of 0.46 and 0.56 respectively in the period of April to June. The predicted reservoir storage for 1 month lag of case 3 showed the $R^{2}$ of 0.68 and 0.85 respectively for the period of April to Jun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atus of agricultural reservoir storage could be expressed with couple of meteorological factors. The prediction enhanced when the storage data are divided into periods rather than yearly mean and especially from the beginning time of paddy irrigation (April) to high decrease of reservoir storage (June) before Jang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