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ecular bands

검색결과 498건 처리시간 0.027초

노랑털깔따구(Chironomus flaviplumus) 성충의 알레르기 항원단백 분석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lergens of Chironomus fkavuoynys adults (Chironomidae, Diptera) in mice)

  • 이한일;이상화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1호
    • /
    • pp.35-48
    • /
    • 1996
  • 국내 우점종인 노랑털깔따구(Chironomus flaviplumus) 성충의 조항원을 제조하여 IgE 항체에 관여하는 주 항원 단백질을 찾아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노랑털깔따구 성충의 조항원을 마우스에 $1{\;}\mu\textrm{g}$$10{\;}\mu\textrm{g}$으로 각각 3회씩 면역시킨 결과 ELISA와 PCA 반응시험에서 모두 $1{\;}\mu\textrm{g}$ 면 역군 중 9주째 얻은 혈청에서 가장 높은 깔따구-특이-IgE 항체를 얻을 수 있었다. 노랑털깔따구 성충의 조항원을 SDS-PAGE로 전기영동하여 16-18개의 단백질 구획을 얻었고 이를 chemiluminescent substrate를 이용하여 면역이적법을 시행한 결과 65 kDa에서 강한 단백질 구획이 52 35 및 25 kDa에서 약한 단백질 구획이 관찰되었다. 깔따구 조항원을 전기영동한 겔을 30개 절편으로 절단하여 추출한 각각의 단백질 분획을 P-K 피부반응검사한 결과, 65, 52 및 35 kDa 부위에서 강한 양성반응을 보여 항원성이 확인되었고, 25 kDa 부위에서는 약한 반응을 보였다. 면역이적법에서 관찰하지 못한 15 kDa 부위의 단백질에서도 높은 P-Ktiter값을 보여 15 kDa 단백질도 항원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국내 우점종인 노랑털깔따구 성충이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 항원으로 작용하며 주항원 단백질은 15, 35, 52 및 65 kDa의 4개이고 이중 65 kDa 단백질이 가장 강한 allergen으로 관찰되었다.

  • PDF

뱀장어 근육내 Ryanodine Receptor의 기능 및 면역학적 성질 (Functional and Immunological Properties of Ryanodine Receptor in the Eel Skeletal Muscle)

  • 석정호;이연수;남장현;최숙정;홍장희;이재흔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7-217
    • /
    • 1995
  •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and immunological properties of the Ca-release channel in the sarcoplasmic reticulum(SR) of the eel skeletal muscle, $[^3H]ryanodine$ binding, SDS gel electrophoresis, $^{45}Ca\;release$ studies, and immunoblot assay were carried out in the SR of the eel skeletal muscle. Maximal binding sites(Bmax) and $K_D$ values of $[^3H]ryanodine$ for Ca-release channel of the SR of the eel skeletal muscle were $19.44{\pm}1.40\;pmole/mg$ protein and $15.55{\pm}1.69\;nM$, respectively. $[^3H]Ryanodine$ binding to RyR was increased by calcium and AMP. The SR of the eel skeletal muscle has two high molecular weight bands on the SDS PAGE. The mobility of upper band was more slower than the single band of the rabbit skeletal muscle, and that of the lower band was similar with the single band of canine cardiac muscle. Vesicular $^{45}Ca-release$ was activated by calcium. Ca-induced $^{45}Ca-release$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MgCl_2(2\;mM)$, ruthenium red$(10\;{/mu}M)$ or tetracaine(1 mM), but not by high concentration of calcium itself. AMP-induced $^{45}Ca-release$ was slightly occurred only in the absence of calcium, it was not inhibited by $MgCl_2$ or ruthenium red. Caffeine also increased $^{45}Ca-release$ from the SR vesicles, but it was not affected by $MgCl_2$ or ruthenium red. Polyclonal Ab against rat skeletal muscle RyR is reacted with that of rabbit, but not reacted with that of the eel skeletal muscl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yanodine receptor of the SR of the eel skeletal muscle is showing some similar properties with that of mammalian skeletal muscle, but might be an another isotype channel having two bands which is less sensitive to AMP, not cross-reacted with antisera against rat RyR, and not inhibited by high concentration of calcium.

  • PDF

RAPD마커를 이용한 국내골프장의 잔디 13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in Thirteen Turfgrass Cultivars Cultivated at Golf Courses Using RAPD Markers)

  • 김민정;김태수;심창기;김용기;지형진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1권4호
    • /
    • pp.57-63
    • /
    • 2012
  • 본 연구는 무작위 분자마커(RAPD)를 이용한 우리나라 골프장에서 이용되고 있는 잔디 13개 잔디품종의 유전적 다형성을 조사하여 보다 효과적인 골프장 관리를 위한 유전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54개의 random hexamer primer를 이용하여 RAPD분석을 실시한 결과 13~54개의 다형성 밴드를 형성하였으며 primer당 평균 30.7개의 다형성 밴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RAPD분석 결과 13개의 잔디품종은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Group I은 Shadow II, Aurora Gold, Little Big Horn Blue, PennA-1, PennA-4, Group II는 Midnight II, Prosperity, Moonlight SLT, Bright Star SLT, Silver Dollar, Group III은 Olympic Gold Turf-Type, Silver Star Turf-Type, Tar Heel II Turf-Type을 포함하였다. 13개 잔디 품종의 유전적 근연 정도는 0.039~1.0으로 나타났으며, Group III이 유전적 근연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향후, 잔디 종 또는 이종간의 유전적 다양성의 상호관계나 차이점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형태적인 특성과 SCARs 마커와 같은 특이적인 분자마커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분자표지자에 의한 지황 유전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Rehmannia glutinosa Genotypes Assessed by Molecular Markers)

  • 방경환;정종욱;김영창;이제완;김홍식;김동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5-440
    • /
    • 2008
  • RAPD 분석을 이용하여 지황 육성 계통과 지역 수집종 들을 구분할 수 있는 분자표지자를 선발하고, 집단 간, 집단 내 유전적 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총 20개의 임의 primer를 이용하여 PCR 한결과, 육성 계통과 수집종 들을 구별할 수 있는 OPA-1 등 10개의 재현성과 다형성이 좋은 프라이머 들을 선발하였다. 특히 OPA-10, OPA-11 및 OPA-19는 고려지황과 지황1호를 다른 계통 및 수집종 들과 구별할 수 있었으며, 이들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0.9 kb, 1.2 kb, 1.3 kb 및 1.4 kb등의 육성계통 특이적인 DNA 밴드들을 확보할 수 있었다. 한편 이들의 결과를 토대로 통계처리에 의한 유전분석 결과, 고려지황, 지황1호 및 일본지황은 집단 내 유사도가 높아 다른 집단들과 구별되었다. 결론적으로, RAPD 분석을 통한 결과는 지황의 유전적 다양성 이해와 특정 계통을 다른 계통 및 수집종 들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Comparison of Gene Expression Patterns in Longissimus dorsi of Pigs between the High-parent Heterosis Cross Combination andrace×Large White and the Mid-parent Heterosis Cross Combination Large White×Meishan

  • Liu, G.Y.;Xiong, Y.Z.;Deng, C.Y.;Zuo, B.;Zhang, J.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9호
    • /
    • pp.1192-1196
    • /
    • 2004
  • In order to detect the molecular mechanism of heterosis in pigs, the mRNA differential display technique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gene expression of pig's Longissimus dorsi between the high-parent heterosis cross combination Landrace${\times}$Large White and the mid-parent heterosis cross combination Large White${\times}$Meishan. Three pig purebreds, Large White, Meishan, and Landrace and four types of reciprocal $F_1$ hybrids were analyzed using nine 3'-end anchored primers in combination with ten 5'-end arbitrary primers and nearly 7,000 reproducible bands were examined. The patterns of gene expression of each cross combination were analyzed and eight common patterns (fifteen kinds) were found. When the results from the two cross combinations were put together and compared, eight different typical expression patterns were observed, these indicated that the patterns of gene expression of these two cross combinations had obvious differences. Gene expression correlation and cluster analyses of the two cross combinations indicated that the gene expression of the mid-parent heterosis cross combination was correlated with maternal effect, but in the high-parent heterosis cross combination, paternal effect acted in the gene expression of the hybrids or the gene expression of the hybrids was biased towards one parent.

IS THE ANOMALOUS MICROWAVE EMISSION DUE TO THE ROTATION OF INTERSTELLAR PAHS? PLANCK RESULTS: PLANCK - AKARI PROJECT

  • Planck Collaboration, Planck Collaboration;Giard, M.;Berne, O.;Doi, Y.;Ishihara, D.;Joblin, Ch.;Kaneda, I.;Marshall, D.;Nakagawa, T.;Ohsawa, R.;Onaka, T.;Sakon, I.;Shibai, H.;Ysard, N.
    • 천문학논총
    • /
    • 제27권4호
    • /
    • pp.195-200
    • /
    • 2012
  • We show how the rotation emission from isolated interstellar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can explain the so-called anomalous microwave emission (AME). AME has been discovered in the last decade as microwave interstellar emission (10 to 70 GHz) that is in excess compared to the classical emission processes: thermal dust, free-free and synchrotron. The PAHs are the interstellar planar nano-carbons responsible for the near infrared emission bands in the 3 to 15 micron range. Theoretical studies show that under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interstellar medium (radiation and density) the PAHs adopt supra-thermal rotation velocities, and consequently they are responsible for emission in the microwave range. The first results from the PLANCK mission unexpectedly showed that the AME is not only emitted by specific galactic interstellar clouds, but it is present throughout the galactic plane, and is particularly strong in the cold molecular gas. The comparison of theory and observations shows that the measured emission is fully consistent with rotation emission from interstellar PAHs. We draw the main lines of our PLANCK-AKARI collaborative program which intends to progress on this question by direct comparison of the near infrared (AKARI) and microwave (PLANCK) emissions of the galactic plane.

The Studies on Molecular Geometries and Electronic Structures of Substituted meso-Catecholic Porphyrins: DFT Methods and NSD

  • Park, Seung-Hyun;Kim, Su-Jin;Kim, Jin-Dong;Park, Sung-Bae;Huh, Do-Sung;Shim, Yong-Key;Choe, Sang-J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9권6호
    • /
    • pp.1141-1148
    • /
    • 2008
  • Geometry optimizations and electronic structure calculations are reported for meso-tetraphenyl porphyrin (TPP) and a series of meso-substituted catecholic porphyrins (KP99150, KP99151, KP99152, KP99153, and KP99090) using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The calculated B3LYP//RHF bond lengths are slightly longer than those of LSDA//RHF. The calculated electronic structures clearly show that TPP and meso-catecholic group contribute to π-electron conjugation along porphyrin ring for HOMO and LUMO, significantly reduced the HOMO-LUMO gap. The wavelength due to B3LYP energy gaps is favored with experimental value in Soret (B), and LSDA energy gaps are favored with experimental value in visible bands (Q). The electronic effect of the catecholic groups is to reduced energies of both the HOMOs and LUMOs. However, the distortion of porphyrin predominantly raises the energies of the HOMOs, so the net result is a large drop in HOMO and smaller drop in LUMO energies upon meso-substituted catecholic group of the porphyrin macrocycle as shown in KP99151 and KP99152 of Figure 5(a). These results are in reasonable agreement with normal-coordinate structural decomposition (NSD) results. The HOMO-LUMO gap is an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in the development of photodynamic therapy (PDT).

용해성 전구체를 통한 Sulfonated Poly(phenylene sulfide)의 합성과 암모니아가스 흡착 (Synthesis of Sulfonated Poly(phenylene sulfide) via Soluble Precursor and its Ammonia Gas Adsorption)

  • 손원근;김현석;박수길
    • 공업화학
    • /
    • 제10권5호
    • /
    • pp.666-671
    • /
    • 1999
  • 본 연구에서 술폰화된 poly(phenylene sulfide)(SPPS)는 10%의 발연황산으로 PPST를 술폰화한 후 NaOH 수용액으로 demethylation하여 제조하였다.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PPST는 methyl-(phenylthio)phenyl sulfoxide(MPPSO)의 자가축합 반응으로 합성되었다. SPPS는 $1200cm^{-1}$에서 $-SO_{3}H$의 비대칭 O=S=O 신축진동에 의한 흡수피크와 $621cm^{-1}$에서 S-O 신축진동에 의한 흡수피크가 관찰된 것으로 보아 술폰산기가 도입된 것을 알 수 있다. PPST의 술폰화를 $150^{\circ}C$에서 12시간 반응했을 때 반복단위당 1.48개의 술폰산기가 도입되었으며, 고온 GPC로 측정된 PPST와 SPPS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각각 118323과 131204이었다. SPPS의 암모니아 가스 흡착능은 $9.67mmol\;NH_{3}/g$이었고, 활성탄, 실리카겔보다 월등히 높았다.

  • PDF

알로자임에 의한 무 씨의 순수성 검증 (Determination of Seed Purity in Radish (Raphanus sativus L.) Using Allozyme)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907-911
    • /
    • 2008
  • 무(Raphanus sativus L.)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작물 중의 하나이다. 십자화과 식물 종자 생산에서 원하지 않은 내교잡에 의한 종자 결실로 오염이 발생하므로 씨의 순수성 검증은 매우 중요하다. 재배종 진주 대평 무(R. sativus cv. Daepeng)와 백자 무(R. sativus cv. Backza)의 교잡 분석을 실시하였다. 알로자임으로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잡종 제1세대($F_1$) 무에 있어서 씨의 순수성을 평가하였다. 웅성과 자성 양친 360개체에 27개 대립유전자좌위를 조사하였다. 특히 Par-1 ($aa{\times}bb$), Lap-1($aa{\times}bb$), Est-1 ($aa{\times}bb$)에서 명확한 잡종 밴드를 나타내었다. Est-1 대립유전자좌위에서 자성 배우체로부터 기원된 것이 15개체(8.3%)가 발견되었고, 웅성 배우체로부터 기원된 것이 26개체(14.4%)가 발견되었다. 또한 다양도 측면에서 양친 계통에 비해 잡종 계통에서 높은 유전적 다양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샤논의 정보지수(Shannon's index)를 이용한 표현형 다양도는 교잡 계통이 가장 높았다. 알로자임에 의한 무 계통의 교잡에 의한 종자 생성에서 씨에 대한 순수성 검증이 효과적으로 탐지되어 육종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삼포장에서 뿌리섞음병원균의 진단을 위한 RT-PCR KIT의 개발 (Development of RT-PCR Kit for Diagnosis of Pathogenic Agent of Ginseng Root Rot in the Ginseng Field)

  • 도은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0-48
    • /
    • 2003
  • C. destructans는 인삼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뿌리섞음병을 유발하는 매우 중요한 미생물이다. 현재까지 정상적인 인삼포장이나 폐포지에서도 이 병원균의 농도를 조사할 만한 방법이 없어 이를 쉽게 조사함으로서 인삼 예정지 관린시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절실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ested PCR이란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매우 낮은 농도의 C. destructans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2개의 universal ITS primers(ITS5F와 ITS4R)을 사 용 하 여 Cylindrocarpon spp.의 rDNA로부터 ITS영역을 증폭하였다. 이어 C. destructans의 specific primer(Nest 1 과 Nest 2)을 사용하여 최적의 PCR조건으로 재증폭시켜 밴드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런 2번의 과정을 4개의 primer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서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따른 PCR조건도 확립하였다. 따라서 본 방법에 의해서 인삼포장의 토양에서 채취된 매우 낮은 농도의 wild type C. destructans spore로부터 성공적으로 positive band을 확인함으로써 추후 인삼포장의 선정 및 4년생에서 6년까지(홍삼포) 재배기간등의 예측에 활용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