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 concentration

검색결과 1,216건 처리시간 0.031초

혐기성 유동층 반응기에서 페놀 폐수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Phenol Wastewater in an Anaerobic Fluidized-Bed Reactor)

  • 박동일;안재동;신승훈;장인용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6-103
    • /
    • 199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biodegradation of phenol using the anaerobic fluidized bed reactor(AFBR). Mixed microorganisms were selected from the anaerobic digestion tank, and could be adapted to high concentration of phenol by increasing the phenol concentration 600-3600 mg/l step by step.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of phenol was 90%, decreased by increasing concentration of phenol, and then a shock range was 1200~2400 ppm. 2. The production rate of biogas in overall limits wa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influent phenol. 3. At steady state, compositions of gases were $CH_4$ 55~60%, $C0_2$ 34~43%, respectively. These were similar to that of the theoretical estimates. 4. The production rates of biogas and methane per the molarity of phenol removed were linearly increased, 56.45 l gas/mol-phenol and 29.20 l $CH_4/mol$-phenol. Using this biogas, the recoverable energy was 269.1 kcal/mol phenol. It was 120.2 kcal/g-COD, transforming into the chemical oxygen demand. 5. The bulk of microorganisms existed in suspended section of fluidized bed with type of biofilm and its concentration was 340 mg/g-media. In conclusion, the anaerobic treatment of pure phenol was possible and its removal efficiency, introducing the AFBR, was successful. Also toxic organic compound such as phenol was biodegradable and was recoverable as resource of energy.

  • PDF

A Study on $CeO_2/SiO_2$ Composite Powder Synthesis Using Ultrasonic Spray Pyrolysis Method and Effect of Sensory Texture Improvement

  • Lee, Dong-Kyu;Lee, Jin-Hwa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5-181
    • /
    • 2005
  • The spherical particles of $CeO_2/SiO_2$ composite powder with narrow-size distribution and pure phase particles were synthesized by ultrasonic spray pyrolysis method from aqueous cerium sulfate solution. The resulting composite powder was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ransmittance electron microscopy, in-vitro sun protect factor, and BET surface area analysis. The concentration of cerium sulfate was tested to vary the particle size from $3.40{\times}10^{-3}$ to $1.02{\times}10^{-2}mol/cm^3$ to study concentration effect of starting material. The average particle size from the $3.40{\times}10^{-3}mol/cm^3$ concentration was foun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at from the $1.02{\times}10^{-2}mol/cm^3$ concentration, because of the relation between the droplet siz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tarting material solution.

Concentration of 6-Amonopenicillanic Acid from Penicillin Bioconversion Solution and Its Mother Liquor by Nanofiltration Membrane

  • Xuejun Cao;Wu, Xing-Yan;Tong Wu;Keming Jin;Hur, Byung-Ki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6권3호
    • /
    • pp.200-204
    • /
    • 2001
  • In this study, nanofiltration was applied to the concentration of the 6-aminopenicillinic acid (6-APA) from bioconverted penicillin solution and also to its mother liquor. The 6-APA in the solution was concentrated from 0.211 mol/L to 0.746 mol/L by nanofiltration. The final maximum concentration was 3.6 times higher than the initial concentration an the recovery yield was 97% to 99% of the original 6-APA. The concentrated solution was crystallized with the yields of 88.9-90.2% and the purity of the crystallized product was about 98%. The concentration of 6-APA in the mother liquor after crystallization was 0.014 mol/L and thus was concentrated 20-30 fold by nanofiltration and crystallization. The recovery of 6-APA was over 98%. The salts contained in the mother liquor, such as NH$_4$Cl and KCl, could be removed by allowing them to permeate through the membrane.

  • PDF

MOD법에 의해 합성한 Willemite($Zn_2SiO_4$:Mn) 형광체의 발광 특성 (Photoluminescence of willemite ($Zn_2SiO_4$ : Mn) phosphors prepared by the MOD process)

  • 이병우;이선길;조현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7-62
    • /
    • 2007
  • Metallo-organic decomposition(MOD)법으로 willemite 녹색 형광체를 합성하였고, 열처리 온도($800{\sim}1100^{\circ}C$) 및 Mn 활성제 농도($4{\sim}12 mol%$)에 따른 발광특성과 상합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254nm 여기원을 사용한 측정에서 형광체의 열처리 온도가 $800^{\circ}C$에서 $100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상대 발광 피크강도는 크게 증가하였고, XRD 분석 결과 $1000^{\circ}C$ 이상의 열처리 온도에서 전형적인 willemite 결정 구조를 보여 주었다. $1000^{\circ}C$의 온도로 열처리한 willemite 형광체는 Mn 활성제 농도가 8mol% 일 때 최대 발광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10mol% 이상에서는 발광 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농도 ??칭 현상이 관찰되었다. SEM 분석 결과 형광체 입자 형상은 구형에 가까웠으며 $1000^{\circ}C$에서 소성된 형광체 입자 크기는 약 $0.4{\sim}0.5{\mu}m$ 이었다.

Effect of pH, Redox Potential (Eh) and Carbonate Concentration on Actinides Solubility in a Deep Groundwater of Korea

  • Keum Dong-Kwon;Lee Han-Soo;Lee Chang-Wo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6권2호
    • /
    • pp.196-202
    • /
    • 2004
  • KAERI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is at present preparing a preliminary performance assessment to set up the HLW disposal concept of Korea. The solubility of the radionuclides contained in HLW is necessary as a source term in order to predict their potential migration in both the near and far fields. The solubility of actinides (Th, Am, U, Np and Pu) for a reference deep groundwater of Korea has been calculated using a geochemical code with thermodynamic data selected by a peer review of existing thermodynamic databases and literature. The solubilities from the experimental study and/or field observations from natural analogue studies are compared. The sensitivity of solubility to the variability of three main parameters of groundwater (pH, Eh, and carbonate concentration) is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sensitivity analysis show that the solubility of actinides strongly depends on the parameters considered. Within the range of parameter values studied (pH=7 to 10, Eh=-0.4 to -0.1V, and carbonate concentration=1.E-5 to 1.E-2 mol/L), the solubility of each actinide exists between 1.4E-10 and 1.6E-6 mol/L for Am, 4.9E-9 and 2.8E-6 mol/L for Th, 3.2E-9 and 5.7E-4 mol/L for U, 1.1E-9 and 1.0E-7 mol/L for Np, and 4.0E-11 and 2.8E-6 mol/L for Pu, respectively.

형광분광법을 이용한 수용액 중의 carbaryl의 정량 (Determination of carbaryl in aqueous solution by fluorescence spectrometry)

  • 김욱현;이상학
    • 분석과학
    • /
    • 제22권4호
    • /
    • pp.307-312
    • /
    • 2009
  • 수용액 중의 carbaryl을 형광분광법을 이용하여 정량하기 위한 분석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분석의 최적 조건을 구하기 위해서 들뜸 파장, 계면활성제의 농도, 보조계면활성제인 ethanol의 농도 및 방출 파장의 방출 세기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Carbaryl 용액에 계면활성제인 sodium dodecyl sulfate (SDS)을 첨가하였을 때 방출세기가 조금 증가하였으며 보조계면활성제인 ethanol을 첨가하였을 때 방출 세기가 현저히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최적 분석 조건의 들뜸 파장, 계면활성제의 농도, 보조계면활성제인 ethanol의 농도 및 방출 파장은 각각 281 nm, $1.0{\times}10^{-2}mol/L$, 20% (v/v), 349 nm 이었다. 최적 분석조건에서 carbaryl의 검정곡선의 감응범위와 검출한계($3{\sigma}$)는 각각 $5{\times}10^{-7}$에서 $1.0{\times}10^{-4}mol/L$$1.1{\times}10^{-8}mol/L$이었다. 검정곡선에서 직선성이 성립하는 농도 범위에서 상관계수(S/N=3)는 0.9996이었다.

온도와 FA 농도가 암모늄 이온의 아질산 전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FA Concentration on the Conversion of Ammonium to Nitrite)

  • 김정훈;송영채;박흥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B호
    • /
    • pp.427-432
    • /
    • 2006
  • 생물학적 질산화 과정에서 비이온성 용존 암모나아(FA) 농도와 온도가 아질산 이온($NO_2{^-}$)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암모늄 산화와 아질산 축적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암모늄 이온($NH_4{^-}$) 농도와 온도를 탈리한 다양한 FA 농도 조건에서 질산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암모늄산화균과 아질산산화균의 활성화에너지를 산정한 결과, 암모늄산화균의 활성화에너지는 $20^{\circ}C$ 이하에서 81.7 KJ/mol, $20^{\circ}C$ 이상에서는 32.5 KJ/mol로 차이가 있었으나, 아질산산화균의 활성화에너지는 온도에 관계없이 35.5 KJ/mol로 나타났다. 특히, FA 농도와 온도에 따른 질산화 실험결과, FA 농도에 의한 질산화 저해 및 아질산이온 축적 효과는 극히 미미하였으며, 온도조건이 아질산 이온 축적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어로졸 마이크로반응기에 의한 Titanium Tetraisopropoxide로부터 TiO2 나노입자 제조 (Preparation of TiO2 Nanoparticles from Titanium Tetraisopropoxide Using an Aerosol Microreactor)

  • 최재길;박균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5호
    • /
    • pp.609-615
    • /
    • 2005
  • $1{\mu}l$ 정도의 미량 titanium tetraisopropoxide(TTIP)를 주사기를 사용하여 1 cc 부피의 증발관에 주입하여 기화시킨 후 질소에 의해 직경 4 mm, 길이 35 cm의 관형 에어로졸반응기로 운반하여 열분해 시킴으로써 30-300 nm 크기의 $TiO_2$ 나노입자를 제조하였으며, 반응온도 및 TTIP 증기 농도가 생성된 $TiO_2$ 입자의 형상, 크기, 결정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구체 증기 농도 1 mol%에서 반응온도를 300, 500, $700^{\circ}C$로 변화시킨 결과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응집체를 구성하고 있는 1차 입자 크기가 감소하였고, $700^{\circ}C$에서는 입자 크기분포가 bimodal 형태를 나타내었다. 반응온도를 $700^{\circ}C$로 유지하고 전구체 증기 농도를 1, 3.5, 7 mol%로 변화시킨 결과 전구체 증기 농도 3.5 mol% 이상에서는 1 mol%에서 관찰되었던 bimodal 분포가 사라지고 응집체 내 1차 입자들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증가하였다. 반응온도 및 전구체 농도가 입자의 형상, 크기분포에 미치는 이와 같은 영향들을 이전의 연구결과들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통성혐기성 수소생산균주 Rhodopseudomonas sp. MeL 6-2를 이용한 수소생산효율에 미치는 포도당 및 자당 농도의 영향 (Effect on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Sucrose on the Hydrogen Production using by the Facultative Anaerobic Hydrogen Producing Bacterium Rhodopseudomonas sp. MeL 6-2)

  • 이은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6-182
    • /
    • 2009
  • 안양천 공단 주변 슬러지를 미생물 접종원으로 무기염배지에 10 g/L의 자당을 첨가하여 수소 생산 균주 MeL 6-2을 분리하였다. 분리 균주 MeL 6-2은 호기성조건과 혐기성 조건에서 모두 생장하는 통성 혐기성 균주 Rhodopseudomonas sp.였다. 유기성 폐기물 내에 다량 함유되어있는 포도당과 자당의 농도변화가 수소 생산 속도 및 수소 생성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포도당을 1~12 g/L의 범위로 첨가할 경우 lag phase 없이 생장하였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위시간 및 단위부피당 수소 생산성 이 증가하여, 10 g/L에서 최대값인 $4.2\;mmol-H_2{\cdot}L^{-1}{\cdot}h^{-1}$을 보이고 그 이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균체량에 대한 수소생산수율은 $0.76{\sim}2.46\;L-H_2{\cdot}g-DCW^{-1}$의 값을 보였으며, 첨가된 기질인 포도당에 의한 수소생산수율은 $2.6{\sim}3.1\;mol-H_2{\cdot}mol-glucose^{-1}$의 범위였다. 자당을 1~12 g/L의 범위에서 첨가할 경우 약 10시간의 지체기 후 원할한 생장을 보였다. 단위시간 및 단위 세포무게 당 비수소 생산속도는 및 수소 생산수율은 자당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각각 $163\;mmol-H_2{\cdot}mg-DCW^{-1}{\cdot}h^{-1}$$4.5\;mol-H_2{\cdot}mol-glucose^{-1}$의 최대값을 보였다.

암모니아수 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제거 공정에서 침전생성이 조업영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cipitation on Operation Range of the CO2 Capture Process using Ammonia Water Absorbent)

  • 유정균;박호석;홍원희;박종기;김종남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3호
    • /
    • pp.258-263
    • /
    • 2007
  • 배가스 이산화탄소 처리를 위한 화학적 흡수공정의 새로운 흡수제로서 암모니아수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이산화탄소 흡수용량과 침전 발생의 관점에서 적합한 암모니아수 흡수제 농도와 $CO_2$ 부하(loading, $molCO_2/molNH_3$)를 결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해액에 대한 Pitzer 모델을 이용하여 암모니아 흡수제 농도에 따른 흡수용량과 침전 발생여부를 계산하였다. $5\;molNH_3/kgH_2O$ 이상의 암모니아수 흡수제를 사용하여 기존 아민류 흡수제 이상의 흡수용량은 얻을 수 있었다. 각 암모니아 흡수제 농도에서 $NH_4HCO_3$ 침전의 발생으로 인하여 조업이 제약되는 $CO_2$ 부하를 구하였다. $5{\sim}14\;molNH_3/kgH_2O$의 암모니아 흡수제는 293, 313 K에서 $CO_2$ 부하 0.5 이상에서 침전이 발행하였다. 침전 생성 $CO_2$ 부하값 이하로 흡수탑을 조업함으로써 고농도 암모니아 흡수제가 배가스 $CO_2$ 처리 공정에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흡수용량과 침전발생을 고려하여 배가스 이산화탄소 처리를 위한 흡수제 최적온도는 암모니아수 농도에 따라 297~312 K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