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isture management property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2초

대추가루 첨가량을 달리한 대추인절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echu Injeolmi Prepared by Addition of Jujube Powder)

  • 홍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42-647
    • /
    • 2002
  • 대추가루를 찹쌀의 6%, 8%, 10%, 12%, 14%로 첨가하여 제조한 대추 인절미의 색도, 수분함량, 기계적 품질특성 , 관능검사를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분함량은 대추가루 10% 첨가군이 52.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추가루 함량이 많을수록 L값은 낮게, a값은 높게 나타났으며 b값은 대추가루 첨가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경도는 제조직후부터 저장 24시간까지는 대추가루 10% 첨가군이 , 그 이후 저장기간동안에는 대추가루 14%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 응집성은 제조직후 대추첨가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감을 반복하였다. 탄력성은 저장 저장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감을 반복하였으며 점착성은 저장 12시간 이후에는 6%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대추가루 14% 첨가군이 다른 첨가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는 전반적으로 대추가루 첨가량이 높은 경우 색, 단맛, 쌉쌀한 맛, 부드러운 정도, 씹힘성, 촉촉한 정도를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대추가루 첨가량이 많을수록 전반적인 기호도가 좋게 나타났는데 그 중 대추가루 10% 첨가군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관능평가와 기계적 평가의 상관관계는 전반적인 기호도의 경우 수분함량, a값과 정의 상관관계를, 경도, 응집성과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대추인절미의 적색이 강하고 수분함량이 높아 촉촉하면서 딱딱하지 않은 경우 관능적으로 바람직하다고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찹쌀밥을 이용하여 대추인절미를 제조할 때 불린 찹쌀양의 10% 대추가루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딱딱하지 않고 촉촉하면서 단맛과 쌉쌀한 맛을 적당하게 느낄 수 있어서 전반적인 기호도 측면에서 적절한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돌발홍수 예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방법 (The big data method for flash flood warning)

  • 박다인;윤상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245-250
    • /
    • 2017
  • 돌발홍수는 강우유출수가 하천으로 모여드는 유역이 좁은 지역에 집중호우로 인해 유입되는 물의 양이 급증하여 나타난다. 돌발홍수는 유속이 빠르고 홍수를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므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돌발홍수를 예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수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2009년에서 2012년까지 국민안전처 국가재난정보센터에 보고된 38건의 홍수 피해 자료와 지표수문모형(TOPLATS)에 의해 생성된 수문기상정보인 강우량, 토양수분 상태, 지표유출량이다. 돌발홍수 발생 선행 6시간의 강우량, 토양수분 상태, 지표유출량 데이터를 요인분석을 통해 토양수분 상태, 장기요인에 의한 강우량과 지표유출량, 단기요인에 의한 강우량과 지표유출량으로 축소하였다. 빅데이터 분석 방법으로는 유형분석인 의사결정나무, 랜덤포레스트, 나이브베이즈, 서포트벡터머신,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사용하였다. 돌발홍수 사고발생 자료가 38건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측성능 정확도 판단이 중요하다. 예측성능 정확도 평가방법으로 kappa계수, TP Rate, FP Rate, F-Measure를 이용하였다. 이 외에 돌발홍수 발생 선행 시점별 재현성 평가와 과거 4년간 돌발홍수 경보 횟수를 통해 최적 유형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로지스틱회귀모형과 랜덤포레스트가 돌발홍수 예보를 위한 예측 성능이 가장 좋았다. 사고발생 자료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38건으로 한정되어 있어 분석을 위한 훈련자료와 검증자료 구축에 한계가 있었다. 장기간의 자료가 수집된다면 더욱 정확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Investigation of mulberry farm's soil properties and mulberry leaf nutritive components in local areas of Korea

  • Ju, Wan-Taek;Jeong, Chan Young;Kim, Seong-Wan;Park, Jong Woo;Kim, Nam-Suk;Kang, Sang Kuk;Kim, Kee-Young;Kweon, Hae-Yong;Lee, Seul-Bi;Kim, Woong;Gwak, Byeong-Sam;Han, Bong-Tae;Choi, Moon-Tae;Lee, Yoo Beom;Seok, Young-See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5권1호
    • /
    • pp.35-41
    • /
    • 2022
  • Mulberry is a hardy, perennial, deep-rooted plant capable of thriving under diverse agroclimatic conditions. The selection of suitable land and appropriate variety can help the sustainable mulberry field. However, no conclusive and comprehensive investigation has been conducted on the mulberry soil properties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mulberry cultivars from Korea local areas in previous studies. In our study, soil properties and mulberry leaf components of Korea local mulberry farms were briefly investigated. In result, the soil organic matter (OM)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 in Buan (6.81%) and Jangseong (6.14%). In contrast, available phosphate (P2O5) was different in each local area.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soil property and nutritive component of mulberry leaf, Cheongil leaf samples from 8 local areas were analyzed. Among the macrominerals (K+, Ca2+, Na+, and Mg2+), the concentration of K varied from (1884±9.36) mg/100 g to (2685±11.5) mg/100 g. The potassium (K+) of Cheongil leaf in Sangju was the highest at 2685 mg/100 g. Besides macrominerals, flavonoids, total dietary fiber contents and moisture of Cheongil leaf samples were studied in the 8 local areas. In terms of these contents, the variation was largely depending on the local areas. This study provides a possible industrial use of mulberry, and holds promise to enhance the overall profitability of seri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