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l of classroom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21초

교육시설의 실내환경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의 열 및 음환경 실측조사에 의한 사례연구) (Analysis of the Indo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Facilities (Case Study of Thermal and Acoustical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by Field Measurement))

  • 조민관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59-65
    • /
    • 2007
  •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basic data for deciding remodeling of wornout educational facilities. In order of it, the indoor environmental standar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rmal environment and sound insulation of walls were examined through field measurement in the subjected open elementary school(J school) and modernization model of elementary school(Y school) which they are located in Seoul. As the result, standard for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of educational facilities which is esta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is not subdivided into indoor environmental performances considering usages and characteristics of classrooms for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he vertical temperature difference in general classroom and in open classroom showed to be $11.2^{\circ}C$ and $12.1^{\circ}C$ respectively, while indoor temperature of special classroon was, on the whole,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classroom due to its specific heat flux of wall materials.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masonry brick wall of classroom satisfied the minimum standard of AIJ,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in the open elementary school and the modernization model of elementary school. That is to say, the movable partition wall between the classroom and the corridor disturbed students in their class in the open school.

수동형 태양열 교실 난방장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ssive Solar Classroom Heating System)

  • 박희용;정해관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12권2호
    • /
    • pp.71-80
    • /
    • 1983
  • The passive type solar energy heating system for the classroom was investigated. A classroom in a primary school located at Gangnam-ku, Seoul was taken as a model classroom the heat balance equation was established. The temperature in the classroom and solarium were calculated from the heat balance. at clear days, the temperature in the classroom and solarium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values. The calculated and measured values for the temperature agreed with, in general, in the increasing of $20\%$ range. It was found that the smaller size of solarium could Provide the increasing of energy efficiency for the classroom temperature.

  • PDF

수학 영재 수업에서 사회적 구성주의 적용 방안 (A Model of Mathematics Classroom for Gifted Students Applying Social Constructivism)

  • 서동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3호
    • /
    • pp.237-252
    • /
    • 2005
  •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수학 영재 수업을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서 사회적 구성주의의 적용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좋은 영재교육자료의 특징 중 한 가지는 학생들로 하여금 수학적으로 의미 있는 추측과 토론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며, 이를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사회적 구성주의에서 논하는 지식 형성 과정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방안의 주요 단계는 주관적 지식 형성, 객관화, 객관적 지식 형성, 개인적 재형성의 4단계로 이루어지며, 4단계 후에는 보다 발전된 학습 소재에 대한 4단계의 사이클이 다시 작용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의 성질을 소재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수업을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럼으로써 학생들은 토론을 통한 활발한 탐구를 수행하고, 이를 통하여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전체적인 내용과 효과적으로 구조화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A Flipped Classroom Model For Algorithm In College

  • Lee, Su-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53-159
    • /
    • 2017
  •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rise in the use and interest of the flipped learning as a teaching and learning paradigm. The flipped learning model includes any use of Internet technology to enrich the learning in a classroom, so that a professor can spend more time interacting with students instead of lecturing. In the flipped model, students viewed video lectures online outside of class time. Students then performed two kinds of assignments, a teamwork assignment and an individual work assignment, through the class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a flipped educational model for a college class. This experimental research compares class of college algorithm using the flipped classroom methods and the traditional lecture-homework structure and its effect on student achievement. The result data of mid-term exam and final exam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previous year data.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of student between two lecturing methods. The survey result and lecture evaluation by students show that students are in favor of the flipped learning.

컴퓨터를 활용한 수학과 수업 모형

  • 강윤수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3-124
    • /
    • 200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ypes of class using computer in the school mathematics classroom. For this purpose, we will first survey the Tyle's theory relate to the curriculum model and its details. Then we will investigate the crucial points using computer in the school mathematics classroom in the viewpoint of Glaser's teaching model. From this, we will device several types of mathematics class using computer.

  • PDF

<인생나눔교실> 사업 평가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odel of project)

  • 이상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79-8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인생나눔교실> 사업 평가를 시행하기 위해 본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지표를 설계하고 이를 사업평가 모형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AHP 분석을 통해 가중치를 설정하였고, 개발한 평가지표를 토대로 현장 평가를 진행하여 <인생나눔교실> 사업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 영향과 사업 내용의 적정성 지표가 20개의 지표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17년 5개 지역주관처의 현장평가를 실시한 결과, 탁월 및 우수 등급이 4개 기관, 보통 등급이 1개 기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생나눔교실>의 사업평가 모형을 개발하여 평가를 체계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아직 피평가자의 수용성과 효용성에 대해서는 평가지표에 충분하게 담아내지 못했기 때문에 앞으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매년 평가 영역과 평가 지표의 가중치를 재설정하여 평가모형을 지속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아프리카 지역의 교육 여건에 따른 블록형 스마트 교실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lock Type Smart Classroom under the Educational Conditions in Africa)

  • 최종천;노인호;유갑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227-234
    • /
    • 2019
  • 본 연구는 교육인프라가 취약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교육 콘텐츠, 교실환경, 그리고 ICT기술에 대한 종합적인 보급을 위한 블록형 스마트교실 모델 제시를 목표로 한다. 수업관리시스템, 전력관리시스템 및 교실환경 관리시스템을 통합하는 상황별 솔루션을 제시하고, 아프리카 지역의 국가별 경제적, 비경제적 여건에 최적화가 가능한 융합 모델이 될 것이다. 이는 기존의 서비스, 콘텐츠, 솔루션에 대한 독립적 연구개발이나 단일 컨테이너로 보급된 기존교실과는 차별화되는 효율적인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통합 연구 과정을 통해 기존 컨테이너교실에서 나타나는 공간과 기능적 한계를 극복하고 이러닝 기술 고도화에 대비한 융통성 있는 공간을 구축한다. 향후 보다 다양한 지역의 교육 및 인프라 여건에 부합하는 성능과 모델에 대한 탐구로 후속 연구의 깊이와 범위의 확장이 가능할 것이다.

1차 단순 확산체를 적용한 교실음향설계 (The Application of 1-Dimensional Diffusers in Classroom Acoustics)

  • 최영지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11
    • /
    • 2011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reating 1-dimensional diffusers on the classroom acoustics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if the diffuser are beneficial for performing the preferred acoustical conditions for speech. A 1/10 scale model of a classroom was used to measure the acoustical parameters, T30, $C_{50}$, STI and SNR in that room. The room acoustical conditions were varied by treating diffusers either on the front or side walls of the classroom. When the diffusers were treated on the side walls around the student's areas, a shorter reverberation time at low frequencies was obtained and resulted in performing uniform reverberation times across the frequency bands. The $C_{50}$ values at mid- and high-frequencies were increased by treating the diffusers either on front or side wall surfaces. The highest STI and SNR values were obtained when the diffuser was treated on the front wall around the teacher's areas. It is found that diffusers are beneficial to increase the intelligibility of speech for the rear seats of the rooms.

  • PDF

유비쿼터스 환경의 교실 공간 계획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Planning of Classroom Space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s)

  • 조현호;이재훈
    • 교육시설
    • /
    • 제14권4호
    • /
    • pp.4-13
    • /
    • 2007
  • In 21st century, mankind greets an era of ubiquitous computing where physical and virtual space are merged through the innovation of digital and IT(Information Technology), meanwhile ubiquitous computing and network paradigm suggest a new direction which our future educational system should head for. A society where people, computers, and objects can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anytime and anywhere, that is, a society of ubiquitous computing where everything in our living space are interconnected by a immense network system may bring a variety of changes into our educational environment in schools. In this study I analysed the forecast of school educational orientation and ubiquitou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in developed countries,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 I performed a fundamental work for formation of a ubiquitous classroom environment which is feasible in Korea. In the section of conclusion, I present a model of ubiquitous classroom as a scenario based on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applicable to future classroom environment.

스마트 교실을 활용한 '뒤집힌 교수학습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he Flipped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Smart Classroom)

  • 정영식;서진화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75-18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뒤집힌 교수학습모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스마트 교실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그것을 체계화하여 PATROL 모형을 개발하였다. 첫째, 계획단계(Planning)는 교사가 앞으로 진행할 수업을 설계한다. 둘째, 실행단계(Action)는 학생들이 가정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여 자율적인 온라인학습과 과제를 수행한다. 셋째, 추적단계(Tracking)는 디지털교과서가 실행단계의 활동 상황이나 결과물을 분석한다. 넷째, 추천단계(Recommending)는 디지털교과서가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사에게 교실 수업활동을 제안한다. 다섯째, 요구단계(Ordering)는 학생들이 교실 수업 중에 필요한 자료를 요청한다. 여섯째, 안내단계(Leading)는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관찰하여 수준별 자료를 제공한다. PATROL 모형을 2개 학교에 시범 운영한 결과, 학생의 주도적 발언이 많아졌고, 전체 활동보다는 모둠활동이나 개별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교사의 궤간 순시하는 시간이 증가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